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남구만 초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구만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한자명칭 南九萬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8세기 초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1484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62×88㎝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남구만 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단령본 전신상 1점, 개인 소장으로 단령본 전신상 1점, 유복본 전신상 1점, 단령본 반신상 1점 등 4점이 전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단령본 초상은 1902년에 구입한 유물이다.

초상의 우측 상단에는 영의정 최석정과 관련된 '영의정치사약천남선생진 문인영의정최석정찬(領議政致仕藥泉南先生眞 文人領議政崔錫鼎贊)'이라고 쓰여진 찬문이 있고, 좌측 상단에는 대사성 최창대가 쓴 긴 찬문이 있다. 최창대가 대사성으로 있었던 것은 1711년 뿐이어서 찬문을 쓴 시기는 1711년이 확실하나 이 찬문은 추서일 가능성이 크므로 초상의 제작연대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하한을 1711년으로 정할 수 있다.[1]

초상에 나타나는 정면관의 형식, 호피가 깔린 교의좌상, 운염법의 사용 등은 17세기 말, 18세기 초 중국 초상화의 영향으로 도입된 수법이다. 이 작품은 18세기 외래의 수법을 도입하여 형성된 조선 초상의 새로운 유형과 기법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2]

문헌에 기록된 외모

남구만의 외모에 관해서는 『숙종대왕실록(肅宗大王實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Quote-left.png 체구는 작고 못생겼으나 정기는 쇠나 바위를 뚫을만하다(體寢小而精氣可透鐵石). Quote-right.png
출처: 『숙종대왕실록(肅宗大王實錄)』, 보궐정오 50권, 숙종 37년 3월 17일 丙午 1번째기사.


초상에 묘사된 모습

남구만 초상은 정면관으로 오사모녹색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공수자세를 취하고 녹포단령을 입고 있는데, 당대의 복제를 따라 소매통이 아래로 갈수록 넓다. 가슴 부근에는 쌍학흉배가 부착되어 있으며, 허리에는 서대를 둘렀다. 의자 위에는 호피가 깔려 있으며 인물의 양 발 사이로 호랑이의 코 부분이 정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면묘사는 얼굴 전체에 선묘 대신 엷은 선염을 구사하여 얼굴 표면의 굴곡을 드러냈으며, 피부의 검버섯도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이는 선 위주의 안면 처리에서 얼굴의 높낮이를 선염으로 표현하는 이른바 운염법의 도입을 보여주며 새로운 경향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3]

남구만의 얼굴은 아주 늙은 노년의 모습으로 눈가나 이마, 볼 등에 주름이 아주 많은 모습이다. 특히 눈가의 주름이 특징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남구만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남구만 초상 남구만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남구만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구만 초상 최석정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최석정 최석정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남구만 초상 최창대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최창대 최창대의 남구만 초상 찬문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숙종대왕실록 남구만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오사모 남구만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녹포단령 남구만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쌍학흉배 남구만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서대 남구만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2006년 12월 29일 남구만 초상이 보물 1484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남구만 초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32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154쪽.
  3.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08쪽.
  4.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5.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6.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7.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8.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9. 국립중앙박물관, "남구만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황정연, "남구만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고연희,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