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나옹 진영(대곡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나옹 진영(대곡사)
"의성 대곡사 삼화상 · 조사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한자명칭 懶翁 眞影
작가 미상
제작시기 1782년
소장처 의성 대곡사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21.7×241.4㎝


정의

고려시대의 고승 나옹 혜근(1320∼1376)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의성 대곡사의 <나옹 진영>은 1782년에 화승 수인(守印), 보학(普學) 등이 그렸다.[1] 현재 대곡사 진영각에 봉안되어 있다. 나옹의 진영은 같은 고려 말의 선승인 지공, 무학과 함께 삼화상 진영의 형태로 그려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고려 말기의 이들 삼화상은 조선시대 조사 신앙(祖師信仰)의 대상이 되어 전국의 사찰에 모셔졌다. 대곡사의 <나옹 진영>도 삼화상 형식으로 그려졌으며 가로가 긴 화면에 지공화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나옹화상과 무학화상을 1폭에 나눠 나란히 병렬로 구성하였으며, 모두 의자에 가부좌상 형식으로 그렸다.
나옹·무학·지공의 삼화상을 한 폭에 그린 도상으로는 현존 진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며 그 필치와 묘사가 뛰어나 주목되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의성 대곡사의 <나옹 진영>은 우안칠분면에 신발을 벗고 의자 위에서 가부좌를 한 모습이며, 등받이에는 청녹색 법피가 걸쳐 있다. 나옹이 앉은 왼쪽 위에 '공민왕사 나옹 대화상 진영(恭愍王師懶翁大和尙眞影)'이라고 표제가 쓰여 있다. 나옹의 의자 좌우의 끝 부분은 금빛 문양에 용머리가 장식되어 있고 앞에는 책상과 그 위에 책, 벼루와 붓, 부채 등이 놓여 있다. 왼손에는 불자를 들고 오른손으로는 책장을 넘기려는 듯 한 모습이다.
나옹의 얼굴은 중후하고 위엄이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으나 무학의 얼굴과 비슷한 모습으로 인물의 개성이 드러나지 않는 종교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나옹 진영(대곡사)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나옹 진영(대곡사) 혜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나옹 진영(대곡사) 의성 대곡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우안칠분면 나옹 진영(대곡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법피 나옹 진영(대곡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불자 나옹 진영(대곡사)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2년 나옹 진영(대곡사)이 그려졌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4901350 128.3771430 나옹 진영(대곡사)의성 대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주우목, 「의성 大谷寺 三和尙 眞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예술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6쪽.
  2. "의성 대곡사 삼화상 · 조사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미경, "의성 대곡사 삼화상·조사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현화, "의성 대곡사 삼화상·조사 진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22, 성보문화재연구원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