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세계관
개요
판타지 작품에서 주로 배경으로 설정하고, 가상의 세계관을 구축할 때도 많은 모티프를 얻는 시공간적 배경.
설명
중세는 현재로부터 가깝고도 먼 과거로, 사전적 정의로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에서부터(476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기까지의(1453년) 기간, 즉 대략 A.D.5세기에서 15세기에 이르는 1,000여 년의 시기를 의미한다.[1] 그러나 관용적으로는 고대 이후부터 근현대 이전의 시대, 즉 '과거의 시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시기를 다소 광범위하게 일컫는 경우가 많다. 흔히 '중세'라 함은 서양의 중세를 말하는데, 중세 서양의 특징적인 모습으로는 상공업의 발달과 성벽, 봉건제와 신분제, 기사도, 의복과 종교 및 미신 신앙 등이 있다. 실제로 많은 판타지 작품의 배경이 중세로 설정되어 있으며, 중세 시대에서 착안한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한 작품 또한 다양하다.
클리셰 평가
위에서 설명한 중세 서양의 사회 모습은 다른 시대 및 공간 배경에 비해 접근성이 좋아 익숙하면서도 현대에 많이 남아있지 않기에 비교적 높은 이해도와 풍부한 신비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신비하고 불가해한 판타지적 배경, 사건 및 인물 설정에 용이한 세계관을 구축하기에 적합하다. 세계관이라는 큰 개념인만큼 자유롭게 자신만의 판타지 세계관을 구축하는 데에 쓸 수도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다만, 유용한만큼 자주 쓰이고 있으므로 이렇다 할 독창적 '세계관' 없이 역사적 시대 및 공간 배경에만 기댈 경우 식상함과 오글거림만 남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할 것.
클리셰가 사용된 작품
- 모노노케 히메(원령공주) : 일본의 중세를 배경으로 하며, 중세의 민간 신앙을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 오만과 편견(1940), (2006) : 1813년 초판 발행된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국 로맨스 영화. 무려 60여년 차를 두고 개봉된 영화인만큼 분위기나 각색 스타일에 차이가 있지만 원작을 바탕으로 당대의 사랑과 결혼, 가정에 대한 가치관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 테메레르 : 폴란드계 미국인 소설가 나오미 노빅의 판타지 장편소설 시리즈. 나폴레옹 전쟁 당시, 19세기 초반인 1805년의 유럽을 배경으로 하여 영국군 장교 로렌스와 중국 출신의 용 테메레르를 주인공으로 한 모험 이야기이다.
- 미녀와 야수(2017) : 수세기에 걸쳐 전해 내려온 이야기를 1756년 잔 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 부인이 동화로 쓰고 이를 기초로 애니메이션화 되었다. 2017년 3월 디즈니 실사 영화(주연: 엠마 왓슨, 댄 스티븐스)로 개봉되었다. 성과 성주, 봉건제 마을, 계급제가 존재하는 중세시대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본 클리셰가 적용된 추천작품
추천하는 이유
참고 문헌
기여
유다현 : 최초 문서 작성, 항목 양식 수정 및 통일, 온톨로지 틀&분류 작성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