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서원

DH 교육용 위키
112.216.205.154 (토론) 사용자의 2014년 5월 22일 (목) 19:41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리나라 유학자의 효시로 꼽히는 최치원(崔致遠)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서원. 최치원이 태산태수(泰山太守)를 지낸 연고를 좇아 태산서원으로 설립되었다가, 숙종 때 ‘무성서원’으로 사액(賜額)되었다. 현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다. 사적 제166호. [1] [2]

구조

무성서원 배치도[5]

서원의 배치는 약간 경사진 땅 위에 강당과 사당을 잇는 직선축을 중심으로 정문인 누각 현가루와 내삼문을 배치하고, 주변에 전사청과 교직사, 비각 등을 세웠다. 사당은 정면 3칸, 강당은 정면 5칸이고, 강당과 재실은 모두 마루와 온돌이 결합된 양식이다. 무성서원의 구조적 특징은 다른 서원과는 달리 재실이 담 밖에 세워졌다는 점이다. [6]


  • 서원 입구
    • 현가루(絃歌樓)
  • 기거 및 공부공간
    • 장수재(莊修齋)
    • 흥학재(興學齋)

문화유산

개념

사건

인물

문헌

장소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바깥고리

출처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