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

DH 교육용 위키
Hyunseung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9일 (일) 02: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큐레이션 주제)

작성자: 김현승

정해진찬의궤 강독

자료 분석

권1 '전교(傳敎)'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원문: 丁亥正月十六日 口傳下敎曰 “左命婦班首, 以貞敬夫人金氏, 右命婦班首, 以貞夫人徐氏爲之, ….”
  • 음  : 정해정월십육일 구전하교왈 “좌명부반수, 이정경부인김씨, 우명부반수, 이정부인서씨위지, ….”
  • 해석: 정해년 정월 16일 고종이 구두로 하교하기를 "좌명부의 반수는 정경부인 김씨로 하고, 우명부의 반수는 정부인 서씨로 한다. …."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금척(金尺)
  • 헌선도(獻仙桃)
  • 수연장(壽延長)
  • 향령(響鈴)
    • 원문: 響鈴【…又以金鈴十枚分絡左右手, 隨拍抃轉有聲, 名曰響鈴. ○女妓一人在前, 一人在後, 又四人作二隊, 在其後. 各繫鈴於左右手指, 竝北向, 隨樂節搖響而舞.】
    • 음  : 향령【…우이금령열매분낙좌우수, 수박변전유성, 명왈향령. ○여기일인재전, 일인재후, 우사인작이대, 재기후. 각계령어좌우수지, 병북향, 수악절요향이무.】
    • 해석: 향령【…또한 금령 10를 좌우에 나누어, 박자에 따라 박수를 치면 소리가 나는데, 이름을 향령이라 한다. ○여기(女妓) 1인이 앞에 있고, 1인이 뒤에 있고, 또 4인이 2대를 만들어 그 뒤에 있는다. 방울(향령)을 각 좌우 손가락에 매달고 모두 북향하여 악절에 따라 향(향령)을 흔들며 춤춘다.
    • 참고영상:

  • 아박(牙拍)
    • 원문: 牙拍【… ○女妓四人各執牙拍隨拍聲, 擊牙拍而舞】
    • 음  : 아박【… ○여기사인각집아박수박성, 격아박이무】
    • 해석: 아박【… ○여기(女妓) 4인이 각자 아박을 잡고 박소리에 따라 아박을 치면서 춤춘다.】
  • 보상무(寶相舞)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원문: 佳人剪牧丹【… 衣紅生色砌衣, 戴金鳳冠, ….】
    • 음  : 가인전목단【… 의홍생색체의, 대금봉관, ….】
    • 해석: 가인전목단【… 홍색 체의(砌衣??)를 입고, 금봉관을 쓰고, ….】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 무산향
  • 무고
  • 포구락
  • 오양선
  • 하황은
  • 춘앵전
  • 향발
  • 연화대무
  • 첨수무(춤추는 사람이 손에 아무것도 잡지 않고 춘다.)


'의주'에 쓰여진 복장/복식 품목에 쓰여진 복장/복식
찬품(채화)에 쓰여진 사권화/잠화
의위에 쓰여진 인물의 지위와 복장/복식
내외빈에 쓰여진 지위와 복장/복식
공령에 쓰여진 인물의 지위와 인원수 및 복장/복식
악기풍물(정재의물)에 쓰여진 복식 요소의 소요량
도식에 그려진 복식
반차도그림에 보이는 복장/복식
도병에 그려진 복장/복식
유물
재현공연

큐레이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