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onPorcelain.story

DH 교육용 위키
Song-y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9일 (목) 17:1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Theme

조선 왕실문화의 한 단면, 조선백자와 사옹원

작업과정

  • 기본 데이터 목록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제13책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백자에 담긴 삶과 죽음>, <경기도자박물관 학술총서 제21책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에서 219점의 백자기를 기본 소장품 데이터로 선별, 총 227건의 소장품 데이터 구성됨. 조선시대 도자유물 데이터베이스는 소장품, 웹자원, 행위자, 장소, 사건, 기록물, 문화유산, 개념 클래스로 구분되는 832건의 노드로 구성됨.

No 데이터 편찬항목 편찬 데이터
1 도자공예 편찬항목 [도자기 소장품 데이터]
2 인물기관 편찬항목 [인물기관_데이터]
3 장소 편찬항목 [장소_데이터]
  •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은 개인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물과 연구기관의 발굴보고서와 전시도록 등의 자료물들을 중심으로 학술적인 성격의 인문학적 지식자원들을 수집, 분류, 구성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 메타버스라는 플랫폼 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백자 편들이 발견되었던 가마터의 사진자료와 실제 작업과정을 연상할 수 있는 영상자료에 관한 보완이 필요한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 박물관 소장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모든 과정에서 데이터 관리 실무자와 교육 분야 실무자 간의 긴밀한 협력은 필수적이다.

Synopsis

<세종실록> 세종 29년(1447) 문소전, 휘덕전에 쓰는 '은그릇'을 '백자기'로 대신한다는 기록과 백자기의 일반사용을 금한다는 <세조실록> 세조 12년(1466)의 기록은 백자기가 조선왕실의 어용자기로 전용(全用)되는 흐름을 보여준다. 여러 연구자들은 문헌기록과 실물자료들을 바탕으로 조선의 건국과 함께 15세기 백자가 왕실용 그릇으로 사용된 배경과 관요가 경기도 광주지역에 설치되는 시점 그리고 관요의 이동과정 등에 관한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내었다. 개별 연구성과들은 당시의 국내 정치, 경제, 외교 상황처럼 조선왕실의 큰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음식을 담는 용도로 실생활에서 사용되었던 자기는 그 문양과 기형에서 당시 사람들의 미의식, 생활상 더 나아가 한 왕조의 통치 철학이 내포된 물질자료이자 지식정보를 담고 있다.
고려왕실의 청자문화에서 조선왕실의 백자문화로 이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빠뜨릴 수 없는 중심단어는 조선시대 관청 사옹원과 경기도 광주라는 특정 지역이다. 도자 가운데 백자, 여러 관청 가운데 사옹원 그리고 경기도 광주 지역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차 Storyline

Episode 1: 시기별 경기도 광주지역 관요의 특징

분원(관요)에서는 전국에서 차출되어 부역을 하던 1140명의 사기장沙器匠이 380명씩 3개조로 나뉘어 돌아가며 일했고, 사옹원에서 파견된 감관(낭청)이 봄, 가을로 제작된 그릇을 배에 실어 한양으로 수송했다. 약 10년을 주기로 수목(땔감)이 무성한 곳을 찾아 옮겨 다녔던 분원가마는 1752년(영조 28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물자를 수송하기에 유리한 분원리에 정착하여 이후 130여년간 요업을 지속하였다. 현재까지 광주시 전역에는 340여개소에 이르는 분원가마터 유적이 고스라니 남아있다.

Episode 2: 조선시대 관요의 모습, 광주 상번천리 요지 보호각

광주 상번천리 요지 보호각은 조선왕실 백자를 생산하였던 광주지역 여러 가마 가운데 초기에 운영되었던 번천리 가마를 보존하고 있는 공간이다. 해당 유적은 자기를 구워냈던 가마터와 백토를 반죽해서 성형하고 건조시켰던 작업공간인 공방터가 남아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자기 제작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Episode 3-1: 관요에서 제작된 왕실과 관청의 자기 백자

1467년경 광주에 사옹원의 분원이 설치되고 왕실과 관청에 소용되는 백자를 직접 조달하게 되면서 광주 백자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분원설립 이후, 우산리, 도마리, 번천리, 관음리를 중심으로 화원이 그린 기품있는 청화백자와 함꼐 '천 지 현 황', '좌 우 별'명문을 새긴 고품격의 백자가 생산되었다. 왜란과 호란을 겪는 17세기에는 철화백자가 등장하는 동시에 진상백자에 간지를 새겨 관리 효율을 높였으며, 수목이 무성한 곳을 찾아 정지리, 탄벌동, 학동리, 상림리, 선동리, 송정동, 유사리, 신대리, 지월리 순으로 가마가 약 10년 주기로 이동하였다. 18세기에 들어, 오향리, 금사리 등지에서 활동하던 분원가마는 한강을 지나던 선박에 세금을 거둬 땔나무를 구입하면서 더 이상 이전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며 분원리에 정착하여 130여 년간 운영하였다.

Episode 3-2: 백자의 새로운 용도, 지석

지석은 조상계보와 인적사항, 그리고 업적과 무덤의 위치를 꼼꼼히 기록한 생의 마지막 기록물이다. 본래 지석은 네모난 석제에 글자를 새겨 제작하였지만, 조선시대에는 새기는 공력이 많이 들어가는 석제 대신 제작 공정이 간편한 도자기 지석이 유행하였다. 현존하는 백자지석들은 음식을 담는 그릇의 용도로만 생각되었던 백자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자 지석은 사대부층에서 선호되다가 왕실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청화백자를 가장 고급으로 쳐주었다. 장방형의 판석이 일반적이지만, 조선후기에 접어들면 묵서를 써놓은 생활용기가 유행하기도 한다.
백자지석은 죽인 이의 기록을 담은 물품이기에, 묘주의 몰년과 지석의 제작시기가 동일한 편이다. 그렇기에 해당 백자지석은 무문, 청화, 철화 등의 시기별 백자의 유행양식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기도 한다.

Episode 4-1: 관요의 등장

조선 왕실과 관청에서 사용하던 자기를 생산하였던 가마는 경기도 광주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 광주지역에 국가 직영 사기소인 관요가 설립되는 시점은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진 않지만, <세종실록>「지리지」 기록을 통하여 1432년 이전까지는 전국 군현 별로 운영되었던 184개의 자기소에서 자기를 공납받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지역에서 토산품으로 공납되었던 백자는 1467년경 왕실의 음식관련 업무를 맡고 있던 관청 사옹원에서 자기제작 관리, 감독의 업무를 맡게 되면서 경기도 광주라는 특정지역에서 제작하게 되었다.

Episode 4-2: 시기별 경기도 광주지역 관요의 특징

분원(관요)에서는 전국에서 차출되어 부역을 하던 1140명의 사기장沙器匠이 380명씩 3개조로 나뉘어 돌아가며 일했고, 사옹원에서 파견된 감관(낭청)이 봄, 가을로 제작된 그릇을 배에 실어 한양으로 수송했다. 약 10년을 주기로 수목(땔감)이 무성한 곳을 찾아 옮겨 다녔던 분원가마는 1752년(영조 28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물자를 수송하기에 유리한 분원리에 정착하여 이후 130여년간 요업을 지속하였다. 현재까지 광주시 전역에는 340여개소에 이르는 분원가마터 유적이 고스라니 남아있다.

1차 구상 결론

  • 해당 이야기 구성은 모질라 허브 교육자료물로 활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박물관 소장품을 소개하는 교육 자료물에서 다뤄야 할 범위를 생각하면서 이야기 구성이 필요하다.

최종 Storyline

Episode 1: 시기별 경기도 광주지역 관요의 특징

분원(관요)에서는 전국에서 차출되어 부역을 하던 1140명의 사기장沙器匠이 380명씩 3개조로 나뉘어 돌아가며 일했고, 사옹원에서 파견된 감관(낭청)이 봄, 가을로 제작된 그릇을 배에 실어 한양으로 수송했다. 약 10년을 주기로 수목(땔감)이 무성한 곳을 찾아 옮겨 다녔던 분원가마는 1752년(영조 28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물자를 수송하기에 유리한 분원리에 정착하여 이후 130여년간 요업을 지속하였다. 현재까지 광주시 전역에는 340여개소에 이르는 분원가마터 유적이 고스라니 남아있다.

  • 분원이 표기된 지도 필요, 그 지도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 고민필요/ 관요 운영방법 기록된 문헌기록 네트워크 그래프?/인트로를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터 표기 지도/ 해당 가마별 간단한 정보

Episode 2: 조선시대 관요의 모습, 광주 상번천리 요지 보호각

광주 상번천리 요지 보호각은 조선왕실 백자를 생산하였던 광주지역 여러 가마 가운데 초기에 운영되었던 번천리 가마를 보존하고 있는 공간이다. 해당 유적은 자기를 구워냈던 가마터와 백토를 반죽해서 성형하고 건조시켰던 작업공간인 공방터가 남아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자기 제작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실제 보호각 내부의 가마터 모습을 이미지 자료로 제공, 설명/ 가마와 공방에서의 작업공정 설명하는 방식은 전시관 모형 사진이나 웹콘텐츠 연결하여 제공

Storytelling Network

구현 예시

참고문헌

만든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