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
DH 교육용 위키
- 전복[답호, 더그레]는 옆트임이 있는 반소매의 포(袍) 형태이다. 조선전기에는 단령(團領)이나 직령(直領)의 무처럼 사각형의 무가 달렸으나, 후기로 가면서 점차 작아져서 삼각형의 무가 달린다.
- 조선후기로 가면서 점차 섶이 좁아지면서 맞깃형[對襟]에 소매 없는 답호가 생긴다. 철릭과 짝이 되어 단령의 받침옷으로 착용하다가(겉에서부터 안으로 단령→답호→철릭의 순서로 착용), 조선후기에는 두루마기나 동다리[夾袖]와 짝을 이루어 입는다(두루마기나 동다리 위에 소매가 없는 전복 착용).
- 소매가 없는 답호는 맞깃 모양의 깃을 달았으나 점차 아예 깃을 달지 않는 모양으로 바뀌었다. 길의 옆선에 달았던 사각무도 삼각무로 바뀌었다. 트임도 양옆은 조금 트고 뒷 중심선을 깊이 트는 양식으로 자연스레 정착된다.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직책 | 동기, 기생, 집사, 기수 | 안릉신영도에 전복을 착용하는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복식1 | 화관, 여자 저고리, 치마, 말군 | 동기가 전복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2 | 전립, 여자 저고리, 치마, 말군 | 기생이 전복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3 | 전립, 동다리, 말군 | 집사가 전복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4 | 전립, 소창의 | 기수가 전복과 함께 착용한 복식 |
연관 복식
갑옷, 철릭, 까치등거리, 중치막, 도포, 갓, 복건, 투구, 전모, 쓰개치마, 장옷, 속바지
Writer: 김아람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상견례 참여자의 전복
- 전복(戰服)은 길에 섶과 소매가 달려 있지 않고, 여밈은 섶이 없으므로 좌우가 나란한 합임(合袵)이며, 뒷트임과 옆트임이 있다. 군인들이 전시(戰時)에 입으므로 이를 전복이라 하였다.[1]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 그려진 근장군사는 전복을 입었다.
- (위의 그림) 최원립(崔元立, 1618-1690) 장군의 전복이다. 전복의 뒷 중심선과 양 옆선에 트임이 있으며 무가 없는 형태이다. 합임이며, 매듭단추 3개로 여몄다. 담인복식미술관 소장이다.[2]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인물 | 근장군사 | 전복을 입은 상견례 참여자 |
복식 | 전립, 협수주의, 전대, 혜 | 근장군사의 복식 구성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행사도 그림 |
Writer: 김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