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연제리 모과나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CHfull
|대표명칭 = 연제리 모과나무
+
|사진 = N0522.jpg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522호
+
|지정지역 = 국가
|지정명칭 = 청원 연제리 모과나무
+
|지정유형 = 천연기념물  
 +
|지정번호 = 522
 +
|지정년 = 2011
 +
|지정월 = 1
 +
|지정일 = 13
 +
|지정명칭 = 청추 연제리 모과나무
 +
|한자명칭 = 淸州 蓮堤里 모과나무
 
|영문명칭 = Quince of Yeonje-ri, Cheongju
 
|영문명칭 = Quince of Yeonje-ri, Cheongju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연제리 647
+
|분류 = 나무
 +
|세부분류 = 모과나무
 +
|건립제작 =
 +
|건립제작세기 = 16
 +
|건립제작시대 = 조선
 +
|소유자 = 청주시
 +
|관리자 = 청주시
 +
|연락처 =
 +
|주소도 = 충청북도
 +
|주소시 = 청주시
 +
|주소구 = 흥덕구
 +
|주소면 = 오송읍
 +
|주소길 = 연제리
 +
|주소번호 = 647
 +
|주소번지 =
 
|위도 = 36.6380817
 
|위도 = 36.6380817
 
|경도 = 127.3196148
 
|경도 = 127.3196148
|사진 = N0522.jpg
+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6,05220000,33
}}
+
|관계1 = -와 관련있다
 +
|관련기사1 = 류윤
 +
|관계2 = -와 관련있다
 +
|관련기사2 = 세조
 +
|관계3 =
 +
|관련기사3 =
 +
|관계4 =
 +
|관련기사4 =
 +
|관계5 =
 +
|관련기사5 =
 +
|관계6 =
 +
|관련기사6 =
 +
|관계7 =
 +
|관련기사7 =
 +
|관계8 =
 +
|관련기사8 =
 +
|관계9 =
 +
|관련기사9 =
 +
|관계10 =
 +
|관련기사10 =
 +
|국문 = 높이는 12.5m 둘레 3.7m로 수관이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나무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ref>전국적으로 모과나무가 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국내에서 이 나무가 처음이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536&cid=40942&categoryId=37154 "청원연제리의 모과나무", 두산백과]</ref>
  
 +
수피는 홍갈색, 녹색의 얼룩무늬로 비늘 모양을 띄고 있다.
  
==영문 해설문==
+
모과나무는 장미과 식물로 5월에 담홍색 꽃이 피며 열매는 향기와 맛이 그윽하여 술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div style="font-family:Cambria; color:#afafaf; font-size:150%;">
+
'''Quince of Yeonje-ri, Cheongju'''
+
</div>
+
<div style="font-family:Cambria; font-size:120%;">
+
  
This Chinese quince is one of the biggest trees in the area, estimated to be about 500 years old.
+
이 모과나무가 있는 마을 이름은 모가울로써, 밀양 박씨의 세거지이며 조선시대 유학자 [[박훈|박훈(1484~1540)]]의 유허지이기도 하다.
 +
 
 +
조선 세조 등극 초에 서산 류씨 문중의 류윤이 이곳에 은거하며 세조의 부름에 구구한 변명을 하지 않고 자신을 이 모과나무에 비유하여 쓸모없는 사람이라 하며 불응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
세조가 친히 '무동처사(楙洞處士)'라는 어서를 하사한 유서 깊은 나무이다.
 +
 
 +
|영문 = This Chinese quince is one of the biggest trees in the area, estimated to be about 500 years old.
  
 
Mogaul, the village in which this tree is located, was the home of many generations of the Miryang Bak Clan, and includes the site of the house of [[박훈|Bak Hun (1484-1540)]],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Mogaul, the village in which this tree is located, was the home of many generations of the Miryang Bak Clan, and includes the site of the house of [[박훈|Bak Hun (1484-1540)]],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28번째 줄: 71번째 줄:
  
 
The height of this tree is 12.5 m and its circumference is 3.7 m at the base of the trunk.
 
The height of this tree is 12.5 m and its circumference is 3.7 m at the base of the trunk.
 
+
}}
</div>
+
 
+
 
+
==국문 해설문==
+
 
+
높이는 12.5m 둘레 3.7m로 수관이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나무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ref>전국적으로 모과나무가 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국내에서 이 나무가 처음이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536&cid=40942&categoryId=37154 "청원연제리의 모과나무", 두산백과]</ref>
+
 
+
수피는 홍갈색, 녹색의 얼룩무늬로 비늘 모양을 띄고 있다.
+
 
+
모과나무는 장미과 식물로 5월에 담홍색 꽃이 피며 열매는 향기와 맛이 그윽하여 술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
이 모과나무가 있는 마을 이름은 모가울로써, 밀양 박씨의 세거지이며 조선시대 유학자 [[박훈|박훈(1484~1540)]]의 유허지이기도 하다.
+
 
+
조선 세조 등극 초에 서산 류씨 문중의 류윤이 이곳에 은거하며 세조의 부름에 구구한 변명을 하지 않고 자신을 이 모과나무에 비유하여 쓸모없는 사람이라 하며 불응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
세조가 친히 '무동처사(楙洞處士)'라는 어서를 하사한 유서 깊은 나무이다.
+
 
+
 
+
 
==위치==
 
==위치==
 
 
<includeonly>
 
<includeonly>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6.6380817&longi=127.3196148" frameborder="0" ></iframe>
+
<iframe width="600" height="3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6.6380817&longi=127.3196148" frameborder="0" ></iframe>
 
</includeonly>
 
</includeonly>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6.6380817" lon="127.3196148"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6.6380817" lon="127.3196148"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6.6380817, 127.3196148,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36.6380817, 127.3196148,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googlemap>
 
</googlemap>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에 속한다||[[천연기념물]]
 
|-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와 관련있다||류윤
 
|-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와 관련있다||세조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천연기념물]]
 
[[분류:청주시 문화유산]]
 
[[분류:조선]]
 
[[분류:문화유산 안내판 영문 해설문]]
 

2016년 12월 19일 (월) 18:43 판

해설문 Interpretive Text

국문 Korean 영문 English
높이는 12.5m 둘레 3.7m로 수관이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나무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1]

수피는 홍갈색, 녹색의 얼룩무늬로 비늘 모양을 띄고 있다.

모과나무는 장미과 식물로 5월에 담홍색 꽃이 피며 열매는 향기와 맛이 그윽하여 술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모과나무가 있는 마을 이름은 모가울로써, 밀양 박씨의 세거지이며 조선시대 유학자 박훈(1484~1540)의 유허지이기도 하다.

조선 세조 등극 초에 서산 류씨 문중의 류윤이 이곳에 은거하며 세조의 부름에 구구한 변명을 하지 않고 자신을 이 모과나무에 비유하여 쓸모없는 사람이라 하며 불응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세조가 친히 '무동처사(楙洞處士)'라는 어서를 하사한 유서 깊은 나무이다.

This Chinese quince is one of the biggest trees in the area, estimated to be about 500 years old.

Mogaul, the village in which this tree is located, was the home of many generations of the Miryang Bak Clan, and includes the site of the house of Bak Hun (1484-1540),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Ryu Yun, of the Seosan Ryu Clan, also retired in this village.

When King Sejo (r. 1455-1468) requested him to work at the court, Ryu rejected his offer, calling himself useless, just like this inedible Chinese quince tree.

In return, the king sent him a calligraphy with the words Mudong Cheosa, Hermit of Quince Village.

The height of this tree is 12.5 m and its circumference is 3.7 m at the base of the trunk.

관련 항목 Related Entries

본 기사 Current Entry 관계 Relation 관련 기사 Related Entry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와 관련있다 류윤
-와 관련있다 세조

위치

주석

  1. 전국적으로 모과나무가 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국내에서 이 나무가 처음이다. 출처: "청원연제리의 모과나무",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