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Synopsis)
12번째 줄: 12번째 줄:
 
==Synopsis==
 
==Synopsis==
 
인왕산이 조선의 우백호가 된 이유는 태조 이성계가 한양천도를 결정하고 도읍을 정할 때 무악대사와 정도전이 설전을 벌인 것과 관련이 있다.
 
인왕산이 조선의 우백호가 된 이유는 태조 이성계가 한양천도를 결정하고 도읍을 정할 때 무악대사와 정도전이 설전을 벌인 것과 관련이 있다.
 +
무학대사는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아 지금의 필운동 일대에 정궁을 세우고 동향으로 배치해야 관악산의 화기(火氣)를 피할 수 있다고 한데 반해, 정도전은 백악산(白岳, 북악산)을 주산으로 남향으로 궁궐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정도전의 주장대로 경복궁은 백악을 등지고 남향을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보고 무학대사는 200년 안에 큰 화가 미쳐 내 말을 생각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ref>사실(事實), 삼봉집 제8권- 부록(附錄)</ref>경복궁을 지을 때 무학대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궁궐의 화기를 막기 위해 정문에 돌로 만든 해태상을 세우고, 그 앞에 연못을 파서 동으로 만든 용을 넣어두었다. 그러나 과연 200년 뒤인 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
정도전의 주장은 옛날부터 제왕(帝王)은 남쪽을 바라보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법도라는 유학의 이념과 질서에 근거한 것이다.<ref>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비고편 - 동국여지비고 제1권, 경도(京都)</ref> 이외에도 정도전은 유학을 대표하는 경서 중  『주례(周禮)』의 원리인 ‘左廟右社 面朝後市(좌묘우사, 면조후시)’에 따라 궁궐과 종묘, 사직단, 관청, 시장 등 주요한 공간의 자리를 잡았다. 즉 북악(北岳) 아래에 정궁(正宮)인 경복궁을 세우고 그 왼쪽인 지금의 종로4가 자리에 선왕(先王)의 위패를 모시는 종묘를, 오른쪽인 인왕산 아래 자락에는 토지신과 곡물신을 모시는 사직단을 배치했다. 그리고 육조 등 조정의 주요 관청들을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 좌우에 배열해 세우고, 종로에 저잣거리(시장)를 조성하도록 했다.
 +
 +
또한 정도전은 궁궐의 주요 건물 하나하나에 유교적 이념과 민본주의 의지를 새겨 이름을 지었다. 경복궁이란 이름은 유학의 삼경(三經) 중 하나인 『시경(詩經)』의 ‘기취(旣醉 : 이미 술에 취하다)’라는 시의 구절 중 “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기취이주 기포이덕 군자만년 개이경복)”, 곧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네. 군자 만년토록 큰 복을 누리리라”에서 뜻을 취하고 글자를 따와 경복궁(景福宮)이라고 하였다. <ref>태조실록 중 태조4년 1395년 10월 7일</ref>
 +
 +
이처럼 궁궐의 위치 및 이름 등 한양의 건설은 유학의 사상과 철학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2022년 4월 21일 (목) 08:43 판

#Links
E0-201A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조선의 우백호, 인왕산을 그리다.

Synopsis

인왕산이 조선의 우백호가 된 이유는 태조 이성계가 한양천도를 결정하고 도읍을 정할 때 무악대사와 정도전이 설전을 벌인 것과 관련이 있다. 무학대사는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아 지금의 필운동 일대에 정궁을 세우고 동향으로 배치해야 관악산의 화기(火氣)를 피할 수 있다고 한데 반해, 정도전은 백악산(白岳, 북악산)을 주산으로 남향으로 궁궐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도전의 주장대로 경복궁은 백악을 등지고 남향을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보고 무학대사는 200년 안에 큰 화가 미쳐 내 말을 생각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1]경복궁을 지을 때 무학대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궁궐의 화기를 막기 위해 정문에 돌로 만든 해태상을 세우고, 그 앞에 연못을 파서 동으로 만든 용을 넣어두었다. 그러나 과연 200년 뒤인 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정도전의 주장은 옛날부터 제왕(帝王)은 남쪽을 바라보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법도라는 유학의 이념과 질서에 근거한 것이다.[2] 이외에도 정도전은 유학을 대표하는 경서 중 『주례(周禮)』의 원리인 ‘左廟右社 面朝後市(좌묘우사, 면조후시)’에 따라 궁궐과 종묘, 사직단, 관청, 시장 등 주요한 공간의 자리를 잡았다. 즉 북악(北岳) 아래에 정궁(正宮)인 경복궁을 세우고 그 왼쪽인 지금의 종로4가 자리에 선왕(先王)의 위패를 모시는 종묘를, 오른쪽인 인왕산 아래 자락에는 토지신과 곡물신을 모시는 사직단을 배치했다. 그리고 육조 등 조정의 주요 관청들을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 좌우에 배열해 세우고, 종로에 저잣거리(시장)를 조성하도록 했다.

또한 정도전은 궁궐의 주요 건물 하나하나에 유교적 이념과 민본주의 의지를 새겨 이름을 지었다. 경복궁이란 이름은 유학의 삼경(三經) 중 하나인 『시경(詩經)』의 ‘기취(旣醉 : 이미 술에 취하다)’라는 시의 구절 중 “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기취이주 기포이덕 군자만년 개이경복)”, 곧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네. 군자 만년토록 큰 복을 누리리라”에서 뜻을 취하고 글자를 따와 경복궁(景福宮)이라고 하였다. [3]

이처럼 궁궐의 위치 및 이름 등 한양의 건설은 유학의 사상과 철학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Storytelling Network


주석

  1. 사실(事實), 삼봉집 제8권- 부록(附錄)
  2.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비고편 - 동국여지비고 제1권, 경도(京都)
  3. 태조실록 중 태조4년 1395년 10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