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0-201.stor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Episode 2: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인왕산의 수성동)
(Episode 4: 봄날 꽃이 흩날리는 필운대)
64번째 줄: 64번째 줄:
 
===[[E0-201D.episode | Episode 4: 봄날 꽃이 흩날리는 필운대]]===
 
===[[E0-201D.episode | Episode 4: 봄날 꽃이 흩날리는 필운대]]===
 
* 미완성
 
* 미완성
 +
* 소스: 필운대, 인왕산, 이항복_집터, 정선-필운대도, 정선-필운상화도, 장시흥-필운대, 홍재전서, 경도잡지, 배화여자고등학교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2022년 3월 31일 (목) 08:57 판


Theme

조선의 우백호, 인왕산을 그리다.

Synopsis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인왕산은 예로부터 조선시대 한양인들도 조선의 우백호라 부르며 즐겨 찾는 장소였다.[1]

인왕산이 조선의 우백호가 된 이유는 태조 이성계가 한양천도를 결정하고 도읍을 정할 때 무악대사와 정도전이 설전을 벌인 것과 관련이 있다.

맑은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수성동(水聲洞), 산수의 풍광도 빼어나지만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별장으로 충절을 상징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된 청풍계(淸風溪) [2],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집터이자 봄날 꽃 구경의 명소로 기록된 필운대(弼雲臺) 등 인왕산에는 수많은 명소가 존재한다.

현실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진경산수화를 통하여 300년 전 옛 한양인들이 사랑한 명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Storyline

Episode 1: 태조 이성계의 양팔, 산으로 설전을 벌이다

  • 미완성
  • 소스: 무악대사(인왕산 주산) -정도전(백악산 주산)

Episode 2: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인왕산의 수성동

인왕산에는 맑고 경쾌한 물(水) 소리(聲)가 인상적인 계곡(洞)인 '수성동(水聲洞)'이 있다. 이 계곡은 인왕산 아래 첫번째 계곡으로 서울 한복판에 있지만 인왕산을 받치고 있는 그 모습이 호연지기를 가르치며 절로 한적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조선시대에도 많은 선비들이 여름철에 휴양을 즐기러 방문하였으며, 빼어난 경관으로 조선시대 지리서인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한경지략(漢京識略)』 등에서 '명승지'로 소개되어 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조선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의 집인 비해당(匪懈堂)의 옛 집터이다. [3] 안평대군을 비롯한 당대 많은 문인들은 수성동의 자연 경관에서 48가지 아름다움을 찾아내어 이를 극찬하며 '비해당사십팔영시(匪懈堂四十八詠詩)'를 남겼고, 비해당사십팔영시는 인조의 명으로 이광이 만든 《열성어제》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정선(鄭敾, 1676~1759)은 수성동 계곡의 아름다움을 담아 《수성동도(水聲洞圖)》를 그렸고, 이는 돌다리인 기린교(麒麟橋)를 비롯하여 나무 한 그루까지 매우 상세하게 묘사했으며,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는 모습도 그려져 있다. 이 《수성동도》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장동팔경첩에 수록되어 있다.[4]

1971년 서울특별시는 옥인시범아파트 건립을 위하여 계곡 일부를 메우고 기린교에 난간을 설치하는 등 수성동을 훼손하였으나, 2012년 옥인시범아파트를 철거하고 수성동을 복원하였다. 이때 옛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정선의 《수성동도》를 참고하여 복원하였으며, 이후 수성동 계곡은 2010년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Episode 3: 맑은 바람이 부는 청풍계

  • 미완성

Episode 4: 봄날 꽃이 흩날리는 필운대

  • 미완성
  • 소스: 필운대, 인왕산, 이항복_집터, 정선-필운대도, 정선-필운상화도, 장시흥-필운대, 홍재전서, 경도잡지, 배화여자고등학교

Storytelling Network


주석

  1. 1968년 김신조 등 북한 무장공비가 침투했던 1.21 사태로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었다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 다시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2. 애초의 이름은 ‘푸른 단풍나무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의 ‘청풍계’(靑楓溪) 였으나, 김상용이 이 곳에 별장을 꾸민 이후 선조가 ‘맑은 바람’, ‘충절’이라는 뜻이 담긴 청풍계(淸風溪)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그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결사항전을 주장하며 강화도에서 자결했고, 김상용의 동생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은 남한산성에서 항복을 거부했다. 이것으로 인조는 훗날 김상용을 충신으로 인정하며 장동김씨의 가세는 강해졌고, 덕분에 청풍계는 서인과 노론의 성지가 되었다.
  3. 안평대군의 호도 비해당이다. 비해(匪懈)는 게으름없이 라는 뜻으로, 시경(詩經)에 나오는 구절인 '숙야비해 이사일인(夙夜匪懈 以事一人)'에서 따온 말로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게으름 없이 사람을 섬기라는 의미이다.
  4. 장동팔경첩은 두 개의 본이 전해지는데, 하나는 간송미술관, 또 하나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