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문화유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적)
48번째 줄: 48번째 줄:
 
파일:북한_법운암.png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690 법운암]  
 
파일:북한_법운암.png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690 법운암]  
 
</gallery>
 
</gallery>
 +
 +
=='''천연기념물'''==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천연기념물''' ||
 +
* 식물, 동물, 광물, 지질 등 진귀하거나 희소하여 법률로써 지정하여 보존하는 모든 자연물을 총칭
 +
* 학술적 및 풍치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서 국가가 특별히 지정하고 보호 관리하는 대표적인 자연물
 +
* 최고지도자와의 관련성이 선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
 +
# 식물천연기념물(13가지) : 천연기념물나무를 비롯하여 특산식물 천연기념물 등
 +
# 동물천연기념물(8가지) : 짐승류, 황새와 두루미류, 바다새와 물새류, 기타 새류, 물고기류와 조개류, 량서류와 파충류, 곤충류, 집짐승류
 +
# 지리천연기념물(7가지) : 기묘한 바위, 바다기슭의 경치, 폭포, 담소, 호수, 동굴, 명소와 지형체
 +
# 지질천연기념물(4가지) : 화석, 암석과 광물의 로두(로드), 지층의 구조, 온천과 약수
 +
|}

2019년 3월 13일 (수) 16:40 판

한국의 문화유산

유물

유물
  • 생산도구·생활용품·무기·조형예술품·고서적·고문서·인류화석 등이 포함됨. 한국의 유형문화재에 해당.
  1. 국보유물
  2. 준국보유물

유적

유적
  • 원시유적, 성, 봉수터, 무덤, 탑, 비석, 도자기 가마터, 쇠부리터 등이 포함됨.
  1. 국보유적
  2. 준국보유적
  3. 교시유적 : 최고지도자와 관련된 것들 혹은 최고지도자가 특별하게 중요하다고 평가한 유적들이 포함되며, 남한에 있는 문화재도 포함됨.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 식물, 동물, 광물, 지질 등 진귀하거나 희소하여 법률로써 지정하여 보존하는 모든 자연물을 총칭
  • 학술적 및 풍치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서 국가가 특별히 지정하고 보호 관리하는 대표적인 자연물
  • 최고지도자와의 관련성이 선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
  1. 식물천연기념물(13가지) : 천연기념물나무를 비롯하여 특산식물 천연기념물 등
  2. 동물천연기념물(8가지) : 짐승류, 황새와 두루미류, 바다새와 물새류, 기타 새류, 물고기류와 조개류, 량서류와 파충류, 곤충류, 집짐승류
  3. 지리천연기념물(7가지) : 기묘한 바위, 바다기슭의 경치, 폭포, 담소, 호수, 동굴, 명소와 지형체
  4. 지질천연기념물(4가지) : 화석, 암석과 광물의 로두(로드), 지층의 구조, 온천과 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