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전통적 공연·예술
  •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 구전 전통 및 표현
  •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민속문화재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기념물
  •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지정 및 등록 여부 종목 주체
지정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문화재청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지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문화재청
시도등록문화재 시·도지사
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시·도지사


지정문화재

지정 주체 / 속성 유형문화재 기념물 무형문화재 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Image.png
보물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Image.png
사적 선사유적, 성곽, 고분, 도요지, 지석묘, 사지, 패총 등과 역사적으로 특별히 기념될 만한 지역과 시설물.
Image.png
명승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천연기념물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광물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국가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
Image.png
국가민속문화재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Image.png

등록문화재

Image.png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1]으로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
    •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종교, 생활 등 각 분야에서 기념이 되거나 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
    •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문화재자료

Image.png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참고자료

주석

  1. '개화기'를 기점으로 하여 '한국전쟁 전후'까지의 기간에 축조된 건조물 및 시설물 형태의 문화재가 중심이 되며, 그 이후 형성된 것일지라도 멸실 훼손의 위험이 커 긴급한 보호조치가 필요할 경우 포함될 수 있음. "등록문화재",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재를 위한 보존 방법론, 2008. 2. 20., 서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