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Synopsis)
(Synopsis)
23번째 줄: 23번째 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인왕산은 예로부터 조선시대 한양인들도 조선의 우백호라 부르며 즐겨 찾는 장소였다.<ref>1968년 김신조 등 북한 무장공비가 침투했던 1.21 사태로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었다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 다시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ref>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인왕산은 예로부터 조선시대 한양인들도 조선의 우백호라 부르며 즐겨 찾는 장소였다.<ref>1968년 김신조 등 북한 무장공비가 침투했던 1.21 사태로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었다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 다시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ref>  
  
맑은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수성동(水聲洞), 산수의 풍광도 빼어나지만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별장으로 충절을 상징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된 청풍계(淸風溪), <ref>애초의 이름은 ‘푸른 단풍나무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의 ‘청풍계’(靑楓溪) 였으나, 김상용이 이 곳에 별장을 꾸민 이후 선조가 ‘맑은 바람’, ‘충절’이라는 뜻이 담긴 청풍계(淸風溪)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그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결사항전을 주장하며 강화도에서 자결했고, 김상용의 동생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은 남한산성에서 항복을 거부했다. 이것으로 인조는 훗날 김상용을 충신으로 인정하며 장동김씨의 가세는 강해졌고, 덕분에 청풍계는 서인과 노론의 성지가 되었다. </ref>,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집터이자 봄날 꽃 구경의 명소로 기록된 필운대(弼雲臺) 등 인왕산에는 수많은 명소가 존재한다.
+
맑은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수성동(水聲洞), 산수의 풍광도 빼어나지만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별장으로 충절을 상징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된 청풍계(淸風溪) <ref>애초의 이름은 ‘푸른 단풍나무이 우거진 골짜기’라는 뜻의 ‘청풍계’(靑楓溪) 였으나, 김상용이 이 곳에 별장을 꾸민 이후 선조가 ‘맑은 바람’, ‘충절’이라는 뜻이 담긴 청풍계(淸風溪)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그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결사항전을 주장하며 강화도에서 자결했고, 김상용의 동생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은 남한산성에서 항복을 거부했다. 이것으로 인조는 훗날 김상용을 충신으로 인정하며 장동김씨의 가세는 강해졌고, 덕분에 청풍계는 서인과 노론의 성지가 되었다. </ref>,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집터이자 봄날 꽃 구경의 명소로 기록된 필운대(弼雲臺) 등 인왕산에는 수많은 명소가 존재한다.
  
 
현실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진경산수화를 통하여 한양인들이 사랑한 명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현실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진경산수화를 통하여 한양인들이 사랑한 명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2022년 3월 23일 (수) 15:46 판

#Links
E0-201A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인왕제색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강희언-인왕산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서울_수성동_계곡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수성동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청풍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청풍계도1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청풍계도2	hasContextualElement
E0-201A	필운대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필운상화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정선-필운대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A	장시흥-필운대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조선의 우백호, 인왕산을 그리다.

Synopsis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인왕산은 예로부터 조선시대 한양인들도 조선의 우백호라 부르며 즐겨 찾는 장소였다.[1]

맑은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수성동(水聲洞), 산수의 풍광도 빼어나지만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별장으로 충절을 상징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된 청풍계(淸風溪) [2],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의 집터이자 봄날 꽃 구경의 명소로 기록된 필운대(弼雲臺) 등 인왕산에는 수많은 명소가 존재한다.

현실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진경산수화를 통하여 한양인들이 사랑한 명소를 살펴보도록 한다.

Storytelling Network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