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간략하게)
잔글 (관계망추가)
23번째 줄: 23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염료식물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mentions B
+
| 천연염료 || 염료식물 || A의 재료는 B이다. || A dcterms:medium B
 
|-
 
|-
| 식물색소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mentions B
+
| 식물색소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foaf:member B
 
|-
 
|-
| 색소추출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mentions B
+
| 색소추출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foaf:member B
 
|-
 
|-
| 모브(mauve:적자색염료) || 영국 화학자 퍼킨(W.H.Perkin || A가 최초로 B를 만든 사람이다. || A creator B
+
| 동물성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foaf:member B
 
|-
 
|-
| 마젠타(magenta:자홍색) || 프랑스 베르갱(Verguin) || A가 최초로 B를 만든 사람이다. || A creator B
+
| 광물성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foaf:member B
 
|-
 
|-
| 알리자린(alizarine:붉은색) || 독일 그라에프(Graeb)&리베르만(Lieberman) || A가 최초로 B를 만든 사람이다. || A creator B
+
| 식물성         || 천연염료 || A는 B에 속한다. || A foaf:member B
 
|-
 
|-
| 인디고(indigo:청색 || 바이어(Bayer || A가 최초로 B를 만든 사람이다. || A creator B
+
| 모브(mauve:적자색염료) || 영국 화학자 퍼킨(W.H.Perkin || A는 B가 만들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침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마젠타(magenta:자홍색) || 프랑스 베르갱(Verguin) || A는 B가 만들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호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알리자린(alizarine:붉은색) || 독일 그라에프(Graeb)&리베르만(Lieberman) || A는 B가 만들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스크린날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인디고(indigo:청색 || 바이어(Bayer || A는 B가 만들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형지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침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납방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호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문양염 ||    염색법 || A는 B에 소속된다. || A member B
+
| 스크린날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옥양목 ||    직물 || A는 B에 포함된다. || A member B
+
| 형지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광목 ||    직물 || A는 B에 포함된다. || A member B
+
| 납방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당목 ||    직물 || A는 B에 포함된다. || A member B
+
| 문양염 ||    염색법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옥양목 ||    직물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광목 ||    직물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당목 ||    직물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대한제국인공양잠합자화사 ||    산업공장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대조선저머제사화사 ||    직조공장 || A는 B에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산간요록』 ||  염색법 || A에 B이 기록되었다. || A ekc:documents B
 +
|-
 +
|『규합총서』 ||    염색법 || A에 B이 기록되었다. || A ekc:documents B
 +
|-
 +
|『임원경제지』  ||    염색법 || A에 B이 기록되었다. || A ekc:documents B
 +
|-
 +
|『삼국사기』  ||    염색법 || A에 B이 기록되었다. || A ekc:documents B
 +
|-
 +
|중국『본초약방대전』한의서  ||  - || A에 언급되었다.         || ekc:mentions
 +
|-
 +
|중국『보제방』한의서      ||  - || A에 언급되었다.         || ekc:mentions
 +
|-
 +
|중국『천금익방』한의서    ||  - || A에 언급되었다.         || ekc:mentions
 +
|-
 +
|-중국『본초강목』한의서    ||  - || A에 언급되었다.         || ekc:mentions
 
|-
 
|-
 
|}
 
|}

2020년 11월 25일 (수) 18:31 판

2016.05.01.-쪽염&감물염색

개요

천연염색 자연 속에서 채취한 꽃, 나무, 풀, 흙, 벌레, 조개 등의 자연 염료로 염색힌 것을 말한다.

자연을 바라보늠 것과 같은 자연스런 색감을 얻을 수 있어,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사람의 정서를 차분하게 해줍니다.

내용

천연염색의 역사

천연염료의 종류

천연염료는 식물의 잎, 꽃, 줄기, 열매 등에서 추출하는 식물성 염료, 동물의 피, 오징어 먹물, 벌레의 곤충 집 등에서 추출하는 동물성 염료, 돌이나 흙에서 추출하는 광물성 염료로 나뉩니다.

매염제(媒染劑)

염료가 직접 섬유에 염색되지 않을 때, 미리 섬유에 금속염의 수용액을 충분히 배게 하여 염색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런 종류의 염료를 매염염료라 하고, 매염에 사용하는 금속염을 매염제라고 한다.

오방색(五方色)

색채의 기초지식

한국전통 염색법


지식관계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천연염료 염료식물 A의 재료는 B이다. A dcterms:medium B
식물색소 천연염료 A는 B에 속한다. A foaf:member B
색소추출 천연염료 A는 B에 속한다. A foaf:member B
동물성 천연염료 A는 B에 속한다. A foaf:member B
광물성 천연염료 A는 B에 속한다. A foaf:member B
식물성 천연염료 A는 B에 속한다. A foaf:member B
모브(mauve:적자색염료) 영국 화학자 퍼킨(W.H.Perkin A는 B가 만들었다. A dcterms:creator B
마젠타(magenta:자홍색) 프랑스 베르갱(Verguin) A는 B가 만들었다. A dcterms:creator B
알리자린(alizarine:붉은색) 독일 그라에프(Graeb)&리베르만(Lieberman) A는 B가 만들었다. A dcterms:creator B
인디고(indigo:청색 바이어(Bayer A는 B가 만들었다. A dcterms:creator B
침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호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스크린날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형지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납방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문양염 염색법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옥양목 직물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광목 직물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당목 직물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대한제국인공양잠합자화사 산업공장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대조선저머제사화사 직조공장 A는 B에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산간요록』 염색법 A에 B이 기록되었다. A ekc:documents B
『규합총서』 염색법 A에 B이 기록되었다. A ekc:documents B
『임원경제지』 염색법 A에 B이 기록되었다. A ekc:documents B
『삼국사기』 염색법 A에 B이 기록되었다. A ekc:documents B
중국『본초약방대전』한의서 - A에 언급되었다. ekc:mentions
중국『보제방』한의서 - A에 언급되었다. ekc:mentions
중국『천금익방』한의서 - A에 언급되었다. ekc:mentions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참고

『http://www.naturaldyeing.or.kr/www/dye_info』online, 한국천연염색박물관
●박옥련*김은정, 『COLOR』, 형설출판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