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2018 용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NetworkGraph | title=VH2018_용문사reference.lst}} 분류:VH2018)
 
 
(2명의 사용자에 의한 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기여
 +
|기여자=[[조선애]]
 +
|기여내용=
 +
}}
 +
=='''개요'''==
 +
양평 용문사는 서기913년(신라 신덕왕 2년) 대경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사찰이다. 현재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차례 중수되었다. 근대에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다가 1907년(순종 원년)에 일본군이 불태웠으며, 이후 1909년, 1938년, 1982년에 중건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
용문사 내에 있는 정지국사부도 및 비는 보물 제531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권근이 비문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밖에 지방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된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있다.
 +
양평 용문사의 은행나무가 유명한데,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은행나무의 뿌리가 되었다는 설과 경순왕의 세자인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세종 대에 정삼품보다 더 높은 당상직첩을 하사받았다고 전해지는 명목(名木)이다.
 +
 +
=='''지식관계망'''==
 
{{NetworkGraph | title=VH2018_용문사reference.lst}}
 
{{NetworkGraph | title=VH2018_용문사reference.lst}}
 +
 +
=='''참고자원목록'''==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양평_용문사 양평 용문사],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양평_용문사_정지국사탑 양평_용문사_정지국사탑],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양평_용문사_정지국사비 양평_용문사_정지국사비], 『한국 기록유산 Encyves』,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477 양평 용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1239 양평_용문사_금동관음보살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484 양평_용문사_정지국사탑_및_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yongmunsa.biz/main.php 양평_용문사], 양평 용문사 사이트, 양평 용문사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62599 용문사_정지국사비_탁본_유리건판], 주요 소장품 검색, 국립중앙박물관
  
 
[[분류:VH2018]]
 
[[분류:VH2018]]

2018년 12월 20일 (목) 00:11 기준 최신판

Pencil.png 기여자: 조선애

개요

양평 용문사는 서기913년(신라 신덕왕 2년) 대경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사찰이다. 현재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여러차례 중수되었다. 근대에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다가 1907년(순종 원년)에 일본군이 불태웠으며, 이후 1909년, 1938년, 1982년에 중건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용문사 내에 있는 정지국사부도 및 비는 보물 제531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권근이 비문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밖에 지방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된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있다. 양평 용문사의 은행나무가 유명한데,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은행나무의 뿌리가 되었다는 설과 경순왕의 세자인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설이 있다. 조선 세종 대에 정삼품보다 더 높은 당상직첩을 하사받았다고 전해지는 명목(名木)이다.

지식관계망


참고자원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