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역사인물정보
[[분류:광진구]]
+
|사진 =
{{객체간단정보
+
|이름 = 온달
| 객체명 = 온달(溫達)
+
|한자 = 溫達
| 사진 = ondal.jpg
+
|출생 = 미상
| 아차산 입구의 온달과 [[평강공주]] 동상
+
|사망 = 590년
| 편찬자 = [[정유정]]
+
|성별 = 남
 +
|분류 = 장군
 +
|시대 = [[삼국시대]]
 
}}
 
}}
  
  
==생애==
 
  
온달(溫達, ? ~ 590년)은 고구려(高句麗)의 장군이다. 살림이 구차하여 구걸로 모친을 봉양했고 남루한 옷차림으로 거리를 다녀서 바보 온달로 불리었다.
 
  
뒤에 평원왕(平原王)의 반대를 물리치고 그 남자를 찾아온 [[평강공주]](平岡公主)와 혼인하고서 학문과 무예를 익히고 해마다 음력 3월 3일(삼짇날)에 열리는 사냥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올렸다. 북주(北周, 557년 ~ 581년)의 무제(武帝)가 요동을 거쳐 고구려에 침입하자 선봉에 나서 승전하여 제1의 전공자가 되고 대형(大兄) 작위를 받았다.
 
  
영양왕(嬰陽王) 1년(590년) 신라(新羅)에게 강탈당한 한강 이북 고토를 수복하고자 출전하여 아단성(阿旦城)에서 적병이 쏜 화살을 맞고 장렬히 전사했다.
 
  
==인물 분석==
 
  
'온달전설'은 평민의 신분으로 공주를 아내로 맞이하여 부마에 오르고 무장으로 이름을 떨친 온달장군의 인물설화이며 역사상 실존인물을 다루었기 때문에 역사설화라고도 할 수 있다. 영웅전설의 일반적인 구조처럼 온달의 죽음으로써 이야기의 결말을 맺는다. 바보온달로 구전되는 인물전설은 강화도일대와 중부지방에서 주로 전승되며, 갈등구조상 동일 유형으로 파악되는 쫓겨난 딸과 숯구이총각에 얽힌 민담은 전국적인 분포를 이루고 있다.
+
=='''개요'''==
 +
*'''정의'''
 +
삼국시대 고구려 [[평원왕|평원왕平原王(?~590)]]과 [[영양왕|영양왕嬰陽王(?~618)]] 때의 인물. ≪[[삼국사기|삼국사기 三國史記]]≫ [[온달전|『온달전 溫達傳』]]에 기록이 있다.
  
==참고 문헌==
+
*'''내용'''
 +
온달은 어린 시절에 집안이 몹시 가난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거리를 다니며 걸식을 하였다. 그런데 용모가 파리하고 우스꽝스러워 사람들이 ‘바보 온달’이라고 불렀다.
  
*삼국사기 온달전
+
그러다가 [[평원왕|평강왕(평원왕)]]의 딸 '울보 공주' [[평강공주]]를 처로 맞아 들이면서 새로운 인생이 시작되었다.
*조선상고사 제 9편,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침략과 바보 온달의 전사
+
  
 +
[[고구려]]에는 매년 3월 3일 군신(君臣) 및 5부의 병사 등이 낙랑(樂浪)의 언덕에서 사냥한 노획물로 천신(天神)과 산천신(山川神)에게 제사하는 국가적인 대제전이 있었다.
 +
온달은 여기에 공주가 기른 말을 타고 참여해 뛰어난 사냥 솜씨를 발휘해 [[평원왕|평강왕]]의 감탄을 샀다.
  
==관련 항목==
+
그 뒤, 북주(北周) 무제(武帝)군대의 요동 침입 때 고구려군의 선봉으로 북주군을 격퇴하는 대공을 세워 비로소 국왕의 사위임을 공인받고 대형(大兄)이라는 관위를 받음으로써 점차 고구려 지배세력 내에서 두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
590년 [[영양왕]]이 즉위하자,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 탈환을 위한 군사의 출정에 참전 하였으나 [[아단성]](阿旦城 : 지금의 峨嵯山城)전투에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달]</ref>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관련 항목'''==
! S (객체1)
+
{|class="wikitable"
! V (관계)
+
! 이 문서 A    ||  관련 문서 B  ||  관계
! O (객체2)
+
 
|-
 
|-
|온달
+
| 온달 ||  [[고구려]]  ||  A는 B의 사람이다.
|isRelatedTo
+
|-
|[[아차산]],[[아차산 고구려 축제]]
+
| 온달  ||  [[평강공주]] ||  A는 B의 남편이다.
 +
|-
 +
| 온달  ||  [[평원왕]] ||  A는 B의 사위이다.
 +
|-
 +
| 온달  ||  [[영양왕]]  ||  A는 B의 매제이다.
 +
|-
 +
| 온달  ||  [[온달산성]]  ||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
|-
 +
| 온달  ||  [[아차산성]]  ||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
|-
 +
| 온달  ||  [[온달전]]  ||  A는 B에 등장한다.
 +
|-
 +
| 온달  ||  [[온달 설화]]  ||  A는 B에 등장한다.
 +
|-
 +
| 온달  ||  [[온달 문학]]  ||  A는 B의 소재이다.
 +
|-
 +
| 온달  ||  [[온달 콘텐츠]]  ||  A는 B의 소재이다.
 +
|-
 +
| 온달  ||  [[광이 진이]]  ||  A는 B의 모티브이다.
 
|}
 
|}
  
[[Digerati Wiki]]
+
=='''관련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878&cid=49628&categoryId=49628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 온달]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4124 네이버캐스트 인물 한국사 - 온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21798&cid=42942&categoryId=42942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 온달과 평강공주]
 +
 
 +
=='''클래스'''==
 +
*인물
 +
 
 +
=='''기여'''==
 +
*[[신은혜]]: 처음 작성
 +
 
 +
=='''출처'''==
 +
<references/>
 +
 
 +
[[분류:신은혜]]
 +
[[분류:아차산성]]
 +
[[분류: 인물]]
 +
[[분류: 고구려]]

2017년 3월 5일 (일) 10:20 기준 최신판





개요

  •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평원왕平原王(?~590)영양왕嬰陽王(?~618) 때의 인물. ≪삼국사기 三國史記『온달전 溫達傳』에 기록이 있다.

  • 내용

온달은 어린 시절에 집안이 몹시 가난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거리를 다니며 걸식을 하였다. 그런데 용모가 파리하고 우스꽝스러워 사람들이 ‘바보 온달’이라고 불렀다.

그러다가 평강왕(평원왕)의 딸 '울보 공주' 평강공주를 처로 맞아 들이면서 새로운 인생이 시작되었다.

고구려에는 매년 3월 3일 군신(君臣) 및 5부의 병사 등이 낙랑(樂浪)의 언덕에서 사냥한 노획물로 천신(天神)과 산천신(山川神)에게 제사하는 국가적인 대제전이 있었다. 온달은 여기에 공주가 기른 말을 타고 참여해 뛰어난 사냥 솜씨를 발휘해 평강왕의 감탄을 샀다.

그 뒤, 북주(北周) 무제(武帝)군대의 요동 침입 때 고구려군의 선봉으로 북주군을 격퇴하는 대공을 세워 비로소 국왕의 사위임을 공인받고 대형(大兄)이라는 관위를 받음으로써 점차 고구려 지배세력 내에서 두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590년 영양왕이 즉위하자,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유역 탈환을 위한 군사의 출정에 참전 하였으나 아단성(阿旦城 : 지금의 峨嵯山城)전투에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1]

관련 항목

이 문서 A 관련 문서 B 관계
온달 고구려 A는 B의 사람이다.
온달 평강공주 A는 B의 남편이다.
온달 평원왕 A는 B의 사위이다.
온달 영양왕 A는 B의 매제이다.
온달 온달산성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온달 아차산성 A는 B와(과) 관련이 있다.
온달 온달전 A는 B에 등장한다.
온달 온달 설화 A는 B에 등장한다.
온달 온달 문학 A는 B의 소재이다.
온달 온달 콘텐츠 A는 B의 소재이다.
온달 광이 진이 A는 B의 모티브이다.

관련 링크

클래스

  • 인물

기여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