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명의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CHfull
|대표명칭 = 신숙주 초상
+
|사진 = SinSukju.jpg
|지정번호 = 보물 제613호
+
|지정지역 = 국가
|지정명칭 = 신숙주 초상 (申叔舟 肖像)
+
|지정유형 = 보물
 +
|지정번호 = 613
 +
|지정년 = 1977
 +
|지정월 = 11
 +
|지정일 = 15
 +
|지정명칭 = 신숙주 초상
 +
|한자명칭 = 申叔舟 肖像
 
|영문명칭 = Portrait of Sin Suk-ju
 
|영문명칭 = Portrait of Sin Suk-ju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3길 49-4
+
|분류 = 일반회화
 +
|세부분류 = 초상화
 +
|건립제작 = 1455
 +
|건립제작세기 = 15
 +
|건립제작시대 = 조선
 +
|소유자 = 고령신씨문중
 +
|관리자 = 고령신씨문중
 +
|연락처 =
 +
|주소도 = 충청북도
 +
|주소시 = 청주시
 +
|주소구 = 상당구
 +
|주소면 = 가덕면
 +
|주소길 = 인차3길
 +
|주소번호 = 49-4
 +
|주소번지 =
 
|위도 = 36.561718
 
|위도 = 36.561718
 
|경도 = 127.557204
 
|경도 = 127.557204
|사진 =SinSukju.jpg
+
|웹사이트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6130000,33
}}
+
|관계1 = -에 위치한다
 +
|관련기사1 = 구봉영당
 +
|관계2 = -이/가 그려졌다
 +
|관련기사2 = 신숙주
 +
|관계3 = -와 관계가 있다
 +
|관련기사3 = 한글
 +
|관계4 = -와 관계가 있다
 +
|관련기사4 = 공신
 +
|관계5 = -이/가 그려졌다
 +
|관련기사5 = 모란과 금계
 +
|관계6 = -를 묘사한다
 +
|관련기사6 = 정2품
 +
|관계7 = -로 만들었다
 +
|관련기사7 = 모시
 +
|관계8 = -와 관계가 있다
 +
|관련기사8 = 세조
 +
|관계9 = -와 관계가 있다
 +
|관련기사9 = 과거
 +
|관계10 = -(으)로 만들어졌다
 +
|관련기사10 = 붓/먹
 +
|국문 = 조선 초기의 학자 [[영의정]] 신숙주의 초상화이다.
  
 +
[[신숙주|신숙주(1417~1475)]]는 1438년(세종 20)에 진사<ref>조선시대 소과(小科)의 하나인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사람.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718 "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생원<ref>조선시대 소과(小科)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521 "생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에 들었고 이듬해에 문과에 3등으로 급제하여 여러 요직을 거치고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공을 세웠다.
  
==영문 해설문==
+
[[구봉영당|구봉영당(九峰影堂)]]에 전해지는 이 영정은 원본으로서 전체적인 형식으로 보아 1455년([[세조]] 1) [[공신|좌익공신]] 때의 초상화로 추정된다.
<div style="font-family:Cambria; color:#afafaf; font-size:150%;">
+
'''Portrait of Sin Suk-ju'''
+
</div>
+
<div style="font-family:Cambria; font-size:120%;">
+
  
This is a portrait of [[신숙주|Sin Suk-ju (1417-1475)]], a renowned civil official of the [[조선시대|Joseon Dynasty (1392-1910)]].
+
모시 바탕의 전신상으로 [[조선시대|조선 초기]] [[공신|공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
가슴부분 무늬는 관복에 직접 금박 혹은 자수를 하였는데 명나라 양식을 따랐으며 구름 아래 [[모란과 금계|모란과 금계(金鷄)]]를 수놓았으니 당시의 복식제도로 미루어 정2품을 나타낸 것으로 짐작된다.
 +
 
 +
화법은 붓과 먹에서 모두 세련된 기법이 나타나서 회화작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
|영문 = This is a portrait of [[신숙주|Sin Suk-ju (1417-1475)]], a renowned civil official of the [[조선시대|Joseon Dynasty (1392-1910)]].
  
 
Sin passed the [[과거|state examination]] in 1439, and was promoted to various high posts in the royal court.
 
Sin passed the [[과거|state examination]] in 1439, and was promoted to various high posts in the royal court.
  
H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Hangeul, the Korean alphabe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1418-1450).  
+
H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Hangeul, the Korean alphabet, during the reign of [[세종|King Sejong (r. 1418-1450)]].  
  
 
In 1455, the first year of [[세조|King Sejo's]] reign, he was bestowed the title of [[공신|meritorious subject]] for assisting the king to the throne.  
 
In 1455, the first year of [[세조|King Sejo's]] reign, he was bestowed the title of [[공신|meritorious subject]] for assisting the king to the throne.  
29번째 줄: 71번째 줄:
 
The gold embroidery on the chest follows the contemporary attire of Ming China, and the patterns of [[모란과 금계|peonies and peacocks]] show the full court attire of a high ranking official.  
 
The gold embroidery on the chest follows the contemporary attire of Ming China, and the patterns of [[모란과 금계|peonies and peacocks]] show the full court attire of a high ranking official.  
  
The brush strokes and the use of Chinese ink are refined, adding aesthetic value to this portrait.
+
The brush strokes and the use of Chinese ink are refined, adding aesthetic value to this portrait.  
</div>
+
 
+
==국문 해설문==
+
 
+
조선 초기의 학자 [[영의정]] 신숙주의 초상화이다.
+
 
+
[[신숙주|신숙주(1417~1475)]]는 1438년(세종 20)에 진사<ref>조선시대 소과(小科)의 하나인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사람.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718 "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생원<ref>조선시대 소과(小科)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521 "생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에 들었고 이듬해에 문과에 3등으로 급제하여 여러 요직을 거치고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공을 세웠다.
+
 
+
[[구봉영당|구봉영당(九峰影堂)]]에 전해지는 이 영정은 원본으로서 전체적인 형식으로 보아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때의 초상화로 추정된다.
+
 
+
모시 바탕의 전신상으로 조선 초기 공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
가슴부분 무늬는 관복에 직접 금박 혹은 자수를 하였는데 명나라 양식을 따랐으며 구름 아래 모란과 금계(金鷄)를 수놓았으니 당시의 복식제도로 미루어 정2품을 나타낸 것으로 짐작된다.
+
 
+
화법은 붓과 먹에서 모두 세련된 기법이 나타나서 회화작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
 
+
  
 +
[https://www.khanacademy.org/humanities/art-asia/korea-japan/joseon-dynasty/a/sin-sukju Further Reading: "Portrait of Sin Sukju"]
 +
}}
 
==위치==
 
==위치==
  
 
<includeonly>
 
<includeonly>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6.561718&longi=127.557204" frameborder="0" ></iframe>
+
<iframe width="600" height="400" src="http://digerati.aks.ac.kr/VR/xsl6/navermap.htm?lati=36.561718&longi=127.557204" frameborder="0" ></iframe>
 
</includeonly>
 
</includeonly>
  
<googlemap width="700" height="400" lat="36.561718" lon="127.557204"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width="600" height="400" lat="36.561718" lon="127.557204"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6.561718, 127.557204, [[신숙주 초상]]
 
36.561718, 127.557204, [[신숙주 초상]]
 
</googlemap>
 
</googlemap>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신숙주 초상||-와 관련이 있다||[[신숙주]]
 
|-
 
|신숙주 초상||-에 속한다||[[보물]]
 
|-
 
|신숙주 초상||-에 위치한다||[[구봉영당]]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보물]]
 
[[분류:청주시 문화유산]]
 
[[분류:조선]]
 

2016년 12월 28일 (수) 10:39 기준 최신판

해설문 Interpretive Text

국문 Korean 영문 English
조선 초기의 학자 영의정 신숙주의 초상화이다.

신숙주(1417~1475)는 1438년(세종 20)에 진사[1], 생원[2]에 들었고 이듬해에 문과에 3등으로 급제하여 여러 요직을 거치고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공을 세웠다.

구봉영당(九峰影堂)에 전해지는 이 영정은 원본으로서 전체적인 형식으로 보아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때의 초상화로 추정된다.

모시 바탕의 전신상으로 조선 초기 공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가슴부분 무늬는 관복에 직접 금박 혹은 자수를 하였는데 명나라 양식을 따랐으며 구름 아래 모란과 금계(金鷄)를 수놓았으니 당시의 복식제도로 미루어 정2품을 나타낸 것으로 짐작된다.

화법은 붓과 먹에서 모두 세련된 기법이 나타나서 회화작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This is a portrait of Sin Suk-ju (1417-1475), a renowned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Si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439, and was promoted to various high posts in the royal court.

H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Hangeul, the Korean alphabe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 1418-1450).

In 1455, the first year of King Sejo's reign, he was bestowed the title of meritorious subject for assisting the king to the throne.

This full-length portrait painted on a sheet of ramie cloth is typical of portraits depicting meritorious subjects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gold embroidery on the chest follows the contemporary attire of Ming China, and the patterns of peonies and peacocks show the full court attire of a high ranking official.

The brush strokes and the use of Chinese ink are refined, adding aesthetic value to this portrait.

Further Reading: "Portrait of Sin Sukju"

관련 항목 Related Entries

본 기사 Current Entry 관계 Relation 관련 기사 Related Entry
신숙주 초상 -에 위치한다 구봉영당
-이/가 그려졌다 신숙주
-와 관계가 있다 한글
-와 관계가 있다 공신
-이/가 그려졌다 모란과 금계
-를 묘사한다 정2품
-로 만들었다 모시
-와 관계가 있다 세조
-와 관계가 있다 과거
-(으)로 만들어졌다 붓/먹

위치

주석

  1. 조선시대 소과(小科)의 하나인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사람. 출처:"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조선시대 소과(小科)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 출처:"생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