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 객사(客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행지도)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big>海口館前官道'''橫''' (<small>海口館前官道''''''</small>)    해구관 앞에는 큰길이 뻗어 있고, <br />廳房倉庫昔盈'''盈''' (<small>廳房倉庫昔盈''''''</small>)    관공서와 창고들이 옛적엔 즐비했었네.<br />丙寅甲午何堪說 (<small>丙寅甲午何堪說</small>)    병인년과 갑오년 일을 어찌 말로 하겠는가,<br />十有兩三仍舊'''名''' (<small>十有兩三仍舊''''''</small>)    열여섯 개 옛 건물의 이름이 남아있네.<br />
+
  <big>海口館前官道'''橫''' (<small>해구관전관도''''''</small>)    해구관 앞에는 큰길이 뻗어 있고, <br />廳房倉庫昔盈'''盈''' (<small>청방창고석영''''''</small>)    관공서와 창고들이 옛적엔 즐비했었네.<br />丙寅甲午何堪說 (<small>병인갑오하감설</small>)    병인년과 갑오년 일을 어찌 말로 하겠는가,<br />十有兩三仍舊'''名''' (<small>십유양삼잉구''''''</small>)    열여섯 개 옛 건물의 이름이 남아있네.<br />
  
 
</big>
 
</big>
19번째 줄: 19번째 줄:
  
 
○ 향청(鄕廳 : 상아(上衙)의 서쪽에 있다. 향임이 거주하며 편액은 향헌당(鄕憲堂)이다.)·비장청(裨將廳 : 상아의 동남쪽에 있다.)·
 
○ 향청(鄕廳 : 상아(上衙)의 서쪽에 있다. 향임이 거주하며 편액은 향헌당(鄕憲堂)이다.)·비장청(裨將廳 : 상아의 동남쪽에 있다.)·
집사청(執事廳 : 편액은 운주(運籌)이다.)·서리청(書吏廳 : 상아의 서쪽에 있다.)·장려좌우열장관청(壯旅左右列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영군청(營軍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의려좌우열급장관청(義旅左右列及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종사군관청(從事軍官廳 : 이아(貳衙)의 옆에 있다.)·별군관청(別軍官廳)·포도청(捕盜廳)·관청 <속수증보강도지>에는 ʻ사각참봉(史閣參奉)ʼ으로 되어 있다.
+
집사청(執事廳 : 편액은 운주(運籌)이다.)·서리청(書吏廳 : 상아의 서쪽에 있다.)·장려좌우열장관청(壯旅左右列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영군청(營軍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의려좌우열급장관청(義旅左右列及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종사군관청(從事軍官廳 : 이아(貳衙)의 옆에 있다.)·별군관청(別軍官廳)·포도청(捕盜廳)·관청(官廳)·군무장관청(軍務將官廳)·중영관청(中營官廳)·청직청(廳直廳 : 편액은 소성(小星)이다.)·별파진청(別破陣廳)·도훈도청(都訓導廳)·관노청(官奴廳)·순뢰청(巡牢廳)·종각(鐘閣)·내탕제고(內帑諸庫)·사창(司倉)·호조창(戶曹倉)·서창(西倉)·남창(南倉)·유비창(有備倉)·관청고(官廳庫)·보민청(補民廳)·부사고(府司庫 : 동문 안에 있다.)·군기고(軍器庫)·화약고(火藥庫 : 세 곳이다.)·경적고(京籍庫)·부적고(府籍庫)·공방고(工房庫)·호남고(戶南庫)·약방고(藥房庫)·진휼고(賑恤庫)·군수고(軍需庫)·수성고(修城庫)·부료고(付料庫)·빙고(氷庫)·병대청(兵隊廳:두 곳이다.)·옥(獄)이 있었다. 이상 여러 청(廳)과 방(房)은 병인양요 때 불타 없어졌기도 했고 다시 짓거나 증설하기도 했다. 갑오년(1894)에 개혁한 뒤에 모두 폐지되었는데 대체로 두세 개의 옛 이름이 있을 뿐이다.
 
+
(官廳)·군무장관청(軍務將官廳)·중영관청(中營官廳)·청직청(廳直廳 : 편액은 소성(小星)이다.)·별파진청(別破陣廳)·도훈도청(都訓導廳)·관노청(官奴廳)·순뢰청(巡牢廳)·종각(鐘閣)·내탕제고(內帑諸庫)·사창(司倉)·호조창(戶曹倉)·서창(西倉)·남창(南倉)·유비창(有備倉)·관청고(官廳庫)·보민청(補民廳)·부사고(府司庫 : 동문 안에 있다.)·군기고(軍器庫)·화약고(火藥庫 : 세 곳이다.)·경적고(京籍庫)·부적고(府籍庫)·공방고(工房庫)·호남고(戶南庫)·약방고(藥房庫)·진휼고(賑恤庫)·군수고(軍需庫)·수성고(修城庫)·부료고(付料庫)·빙고(氷庫)·병대청(兵隊廳:두 곳이다.)·옥(獄)이 있었다. 이상 여러 청(廳)과 방(房)은 병인양요 때 불타 없어졌기도 했고 다시 짓거나 증설하기도 했다. 갑오년(1894)에 개혁한 뒤에 모두 폐지되었는데 대체로 두세 개의 옛 이름이 있을 뿐이다.
+
  
 
==기행지도==
 
==기행지도==
<googlemap lat="37.649507" lon="126.524359" type= "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width="800" height="570" lat="37.755627" lon="126.488011" type= "normal"  zoom="14.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000000
  
() 37.747316, 126.487190, [[강화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1003-15
 
() 37.647308, 126.525496, [[237.굴곶포(屈串浦)]] 현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 일명 '구리포'
 
  
3#000000
 
  
 +
(M) 37.753860, 126.478324, [[64. 명륜당(明倫堂)]] 현 향교길 강화군 강화읍 강화향교
 +
(N) 37.754014, 126.478194, [[65. 강당(講堂) 안연재(安燕齋)]] 현 강화읍 관청리 936-3
 +
(O) 37.755553, 126.482822, [[66. 북문(北門)]] 강화산성북문 강화읍 국화리 산3
 +
(P) 37.763184, 126.484513, [[67. 여제단(厲祭壇)]]?? 현 강화읍 대산리 1195
 +
(Q) 37.759656, 126.476231, [[68. 당주동(唐州洞)]] 현 강화군 송해면 당골길
  
(M)[[250.사복포(司僕浦)]] 현 불은면 덕성리
+
(R) 37.755592, 126.486896, [[69. 북장대(北將臺)]] 현 강화읍 대산리 북산공원
(N)[[251.능촌동(陵村洞)]] 현 불은면 덕성리
+
(S) 37.760032, 126.486663, [[70. 북장춘목(北場春牧)]] 현 강화읍 대월로277번길,북산(송악)의북쪽 우마장,강화10경
(O) 37.677455, 126.496196, [[252.능촌(陵村)]] 현 불은면 두운리 1482 능촌입구
+
(T) 37.755495, 126.487113, [[71. 기우청단(祈雨晴壇)]] 고려산 화산 마니악 송악산 혈구산 갑곶진중 여기는 송악
(P) 37.687287, 126.501630, [[253.고잔동(高盞洞)]] 현 불은면 고능리 710-4
+
(U) 37.754340, 126.484252, [[72. 행궁 궁아제단(宮娥祭壇)]] 현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부의 관아북쪽 송악산)
(Q) 37.688276, 126.501549, [[254.지천(芝川)]] 현 불은면 고릉리 (고잔마을 지레)
+
(V) 37.755006, 126.484252, [[73. 척천정(尺天亭)]] 현 강화읍 관청리(행궁의 북쪽)
(R) 37.692192, 126.495413, [[255.곶내동(串內洞)]] 현 불은면 고릉리 고능로262번길(아침가리마을)
+
(W) , [[74. 장녕전(長寧殿)]] 현
(S) 37.683937, 126.491910, [[256.두두미(斗頭尾)]]현 불은면 두운리 712-2(두두미마을)
+
(X) , [[75. 세심재(洗心齋)]] 현
</googlemap>
+
(Y) , [[76. 연초헌(燕超軒)]] 현
 +
(Z) 37.754223, 126.489997, [[77. 규장외각(奎章外閣)]] 현 강화읍 관청리 산32(??)(행궁의 동쪽)
 +
() 37.752387, 126.485997, [[78. 상아(上衙)]] 현 강화읍 관청리 강화유수부동헌
 +
() , [[79. 객사(客舍)]] 현
 +
() , [[80. 민풍시(民風詩)]] 현
 +
() , [[81. 도과(道科)]] 현
 +
() , [[82. 공도회(公都會)]]
 +
() , [[83. 이아(貳衙)]] 현
 +
() , [[84. 중영(中營)]] 현
 +
() 37.747652, 126.476736, [[85. 진무영(鎭撫營) 열무당(閱武堂)]] 현 연무당 옛터
 +
() 37.748305, 126.484933, [[86. 선원비각(仙源碑閣)]] 현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3 선원김상용순절비
 +
() 37.747529, 126.483159, [[87. 시장(市場)]] 현 강화읍 신문리 1003-6(시장??)
 +
() 37.747903, 126.485195, [[88. 용흥궁(龍興宮)]] 강화읍 관청리 441
 +
() 37.746572, 126.488306, [[89. 육궁(六宮)]] 현 강화읍 관청리 148-5 (동문안쪽??)
 +
() , [[90. 부내 심부윤(沈府尹*)]] 현
 +
() , [[91. 부내 최판서(崔判書*)]] 현
 +
() , [[92. 부내 김효자(金孝子*)]] 현
 +
() , [[93. 성황단(城隍壇)]] 현
 +
() 37.751875, 126.485356, [[94. 고려궁지(高麗宮址)]] 현 강화읍 북문길 42 강화 고려궁지
 +
() 37.749639, 126.491383, [[95. 동문(東門)]] 현 강화읍 관청리 49 동문로
 +
() 37.754337, 126.473381, [[96. 강화부성(江華府城*)]] 현 강화산성 강화읍 국화리
  
  
  
 +
</googlemap>
  
 
==인물==
 
==인물==
 
*  
 
*  
 
==참고==
 
==참고==
 +
* 이고참봉(吏庫參奉) : <속수증보강도지>에는 ʻ사각참봉(史閣參奉)ʼ으로 되어 있다.

2019년 5월 5일 (일) 15:44 기준 최신판

海口館前官道 (해구관전관도)     해구관 앞에는 큰길이 뻗어 있고, 
廳房倉庫昔盈 (청방창고석영) 관공서와 창고들이 옛적엔 즐비했었네.
丙寅甲午何堪說 (병인갑오하감설) 병인년과 갑오년 일을 어찌 말로 하겠는가,
十有兩三仍舊 (십유양삼잉구) 열여섯 개 옛 건물의 이름이 남아있네.

○ 해구보장지관(海口保障之館). 곧 객사이다. 예전에는 장녕전(長寧殿) 아래에 있었는데 지금은 상아(上衙)의 서쪽에 있다.

○ 옛 벽대청(舊甓大廳). 전패(殿牌)와 향축(香祝)을 이 포(鋪)에 봉안하였는데 이를 벽(甓)이라 해서 벽대청이라고 하였다.

○ 망궐례(望闕禮). 매월 삭망에 유수·경력·검률·중군·각 진의 장수들이 이 진의 뜰에서 예를 행하는 것이었다.

○ 영사(迎赦). 사면하는 글과 교서는 가져오는 관리가 남문 바깥에 이르면 용정(龍亭) 의장(儀仗)과 고취(鼓吹)를 갖추고, 경력(經歷)이 나아가 맞이하여 앞장서서 인도하여 여기서 예를 행하였다.

○ 영명(迎命). 경력·중군·각 진(鎭)의 장수들이 각각 부임할 때, 그리고 4영장(營將)이 일로 인하여 본부에 도달하는 자의 교서·유서를 받들어 예를 행하는 처소가 역시 위와 같다.

○ 전최(殿最). 매년 6월과 12월에 있다. 유수가 자리를 열고 동헌에 오르면 경력, 중군, 별검, 참봉, 각 진의 장수, 월령 검률, 이고참봉(吏庫參奉), 제 군문(軍門)의 장군과 장교들은 예에 의거하여 참배하고 알현한 후에 포폄(褒貶)하고 봉하여 아뢰었다.

○ 봉전(封箋). 해마다 정월 초하루·동지, 대전(大殿)의 탄신일과, 언제든 나라의 경사가 있어 하례하는 전문이 있을 때에도 동헌에 올라 봉하여 바쳤다. 그러므로 망궐례 등의 절차와 아울러 여기에 기록한다.

○ 향청(鄕廳 : 상아(上衙)의 서쪽에 있다. 향임이 거주하며 편액은 향헌당(鄕憲堂)이다.)·비장청(裨將廳 : 상아의 동남쪽에 있다.)· 집사청(執事廳 : 편액은 운주(運籌)이다.)·서리청(書吏廳 : 상아의 서쪽에 있다.)·장려좌우열장관청(壯旅左右列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영군청(營軍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의려좌우열급장관청(義旅左右列及將官廳 : 상아의 남쪽에 있다.)·종사군관청(從事軍官廳 : 이아(貳衙)의 옆에 있다.)·별군관청(別軍官廳)·포도청(捕盜廳)·관청(官廳)·군무장관청(軍務將官廳)·중영관청(中營官廳)·청직청(廳直廳 : 편액은 소성(小星)이다.)·별파진청(別破陣廳)·도훈도청(都訓導廳)·관노청(官奴廳)·순뢰청(巡牢廳)·종각(鐘閣)·내탕제고(內帑諸庫)·사창(司倉)·호조창(戶曹倉)·서창(西倉)·남창(南倉)·유비창(有備倉)·관청고(官廳庫)·보민청(補民廳)·부사고(府司庫 : 동문 안에 있다.)·군기고(軍器庫)·화약고(火藥庫 : 세 곳이다.)·경적고(京籍庫)·부적고(府籍庫)·공방고(工房庫)·호남고(戶南庫)·약방고(藥房庫)·진휼고(賑恤庫)·군수고(軍需庫)·수성고(修城庫)·부료고(付料庫)·빙고(氷庫)·병대청(兵隊廳:두 곳이다.)·옥(獄)이 있었다. 이상 여러 청(廳)과 방(房)은 병인양요 때 불타 없어졌기도 했고 다시 짓거나 증설하기도 했다. 갑오년(1894)에 개혁한 뒤에 모두 폐지되었는데 대체로 두세 개의 옛 이름이 있을 뿐이다.

기행지도

인물

참고

  • 이고참봉(吏庫參奉) : <속수증보강도지>에는 ʻ사각참봉(史閣參奉)ʼ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