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두두미동(斗頭尾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 두두미동(斗頭尾洞)<ref>두두미동(斗頭尾洞)  :  지명 유래[http://www.incheon.go.kr/board/288/1516545]
+
○ 두두미동(斗頭尾洞)<ref>두두미동(斗頭尾洞)  :  인정면(仁政面)은 두두미동을 비롯하여 백운동, 삼동암동, 서문동, 마장동, 석성 동 등이 속해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불은면에 통합되었다. 두두미동(斗頭尾洞)은 현재의 두운1리이다. 두두미동의 ʻ두ʼ자와 백운동의 ʻ운ʼ 자를 합하여 1914년부터 두운리라 하다. 두도미라고도 한다.
 +
 
 +
지명 유래[http://www.incheon.go.kr/board/288/1516545]
 
[https://blog.naver.com/wyindwyind/221336092526][https://blog.naver.com/ntashin/221490035514]
 
[https://blog.naver.com/wyindwyind/221336092526][https://blog.naver.com/ntashin/221490035514]
 
  </ref>은 강화부 관아로부터 남쪽으로 20리 떨어 진 곳에 있으며 인정면(仁政面)에 속한다. 우리 집안이 대대로 살아 온 곳이다. 병오년(1906) 봄에 내가 비록 병이 있는 몸이지만 강화 부 전체의 산천을 다시 관람하면서 고적을 살펴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따라 걸음을 옮겼으니, 두두미를 출발하여 다시 두두미로 돌아오려는 계획이었다. 오랫동안 사귄 친구 구(具)씨 집에서 술을 몇 잔 마신 후에 서쪽을 향하여 길을 떠났다.
 
  </ref>은 강화부 관아로부터 남쪽으로 20리 떨어 진 곳에 있으며 인정면(仁政面)에 속한다. 우리 집안이 대대로 살아 온 곳이다. 병오년(1906) 봄에 내가 비록 병이 있는 몸이지만 강화 부 전체의 산천을 다시 관람하면서 고적을 살펴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따라 걸음을 옮겼으니, 두두미를 출발하여 다시 두두미로 돌아오려는 계획이었다. 오랫동안 사귄 친구 구(具)씨 집에서 술을 몇 잔 마신 후에 서쪽을 향하여 길을 떠났다.

2019년 4월 7일 (일) 09:41 판

斗頭我步帶春 (두두아보대춘) 	봄바람 맞으며 두두미를 걷노라니, 
一府山川兩眼 (일부산천양안) 온 마을의 산과 내가 한 눈에 들어오네.
明月綠楊諸具榻 (명월녹양제구탑) 밝은 달 푸른 버들 여러 구(具)씨 탁상에서,
滿杯麯味使人 (만배곡미사인) 잔 가득한 술맛이 힘을 내게 하는구나.


○ 두두미동(斗頭尾洞)[1]은 강화부 관아로부터 남쪽으로 20리 떨어 진 곳에 있으며 인정면(仁政面)에 속한다. 우리 집안이 대대로 살아 온 곳이다. 병오년(1906) 봄에 내가 비록 병이 있는 몸이지만 강화 부 전체의 산천을 다시 관람하면서 고적을 살펴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따라 걸음을 옮겼으니, 두두미를 출발하여 다시 두두미로 돌아오려는 계획이었다. 오랫동안 사귄 친구 구(具)씨 집에서 술을 몇 잔 마신 후에 서쪽을 향하여 길을 떠났다.

○ 구씨 친구는 능성(綾城)의 세족(世族)으로, 문과(文科)를 거쳐 한림 전랑[2]과 대각[3]을 역임한 강암공(江菴公) 구강(具綱)의 후손이다. 강암공은 판안동공(判安東公) 구성량(具成亮)의 아들이다.


두두미동


인천광역시 불은면 37.684158, 126.482873


인물

참고

  1. 두두미동(斗頭尾洞)  : 인정면(仁政面)은 두두미동을 비롯하여 백운동, 삼동암동, 서문동, 마장동, 석성 동 등이 속해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불은면에 통합되었다. 두두미동(斗頭尾洞)은 현재의 두운1리이다. 두두미동의 ʻ두ʼ자와 백운동의 ʻ운ʼ 자를 합하여 1914년부터 두운리라 하다. 두도미라고도 한다. 지명 유래[1] [2][3]
  2. 한림 전랑(翰林 銓郞)[4] [5]
  3. 대각(臺閣)[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