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2005년 출시 게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메이플스토리 크레이지아케이드 서든어택 카트라이더 =기여= *정지수:처음 작성 분류:정지수 분류:NAME THE GAME(우리나...)
 
1번째 줄: 1번째 줄:
 +
=2001년~2005년 게임시장=
 +
==게임시장동향==
 +
<pre>
 +
* 1997년 말에 시작된 IMF 외환위기는 게임 산업에도 큰 영향: 수많은 유통사들의 도산. 많은 개발사들이 온라인 게임 개발로 전환하는 계기.
 +
* 불황 속에 전 분야에 걸친 소비가 위축되면서 불법복제가 특히 기승.
 +
* PC방’의 수와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는 갈수록 확대.
 +
</pre>
 +
 +
<pre>
 +
* 2002년~2003년 PC 패키지 게임 시장이 상당히 위축된 후에도 마니아층을 보유한 게임들은 계속 출시.
 +
* 외국 게임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부족한 완성도로 출시된 게임들은 결국 PC 패키지 게임 시장의 종지부를 찍는 역할.
 +
</pre>
 +
 +
<pre>
 +
* PC 패키지 게임 시장의 마지막을 지킨 게임: RPG의 명가 소프트맥스의 <마그나카르타>와 그리곤엔터테인먼트의 <천랑열전>.
 +
  두 작품 모두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모았던 작품들이었으나, 실제 출시 후에는 낮은 완성도로 인해 유저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으며,
 +
  제작사들에게는 PC 패키지 게임 시장을 포기하게 되는 계기.
 +
* 2003년에 출시된 <천랑열전> 이후 대작 RPG 게임은 거의 나오지 않았음.
 +
* <에이스 사가>나 <거울 전쟁> 등 RTS 게임들이 시장의 문을 두드렸지만 모두 성과를 내지 못함.
 +
</pre>
 +
 +
 +
==유행게임장르==
 +
 +
=게임목록=
 
[[메이플스토리]]
 
[[메이플스토리]]
 
[[크레이지아케이드]]
 
[[크레이지아케이드]]
 
[[서든어택]]
 
[[서든어택]]
 
[[카트라이더]]
 
[[카트라이더]]
 +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외환위기와 불법복제, 과도한 게임 번들(2000~2001)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
[네이버 지식백과] 최후의 패키지 게임들(2002~2003)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
[네이버 지식백과] 최후의 RPG들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
 +
 
=기여=
 
=기여=
 
*[[정지수]]:처음 작성
 
*[[정지수]]:처음 작성

2016년 6월 21일 (화) 23:04 판

2001년~2005년 게임시장

게임시장동향

* 1997년 말에 시작된 IMF 외환위기는 게임 산업에도 큰 영향: 수많은 유통사들의 도산. 많은 개발사들이 온라인 게임 개발로 전환하는 계기.
* 불황 속에 전 분야에 걸친 소비가 위축되면서 불법복제가 특히 기승.
* PC방’의 수와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는 갈수록 확대.
* 2002년~2003년 PC 패키지 게임 시장이 상당히 위축된 후에도 마니아층을 보유한 게임들은 계속 출시.
* 외국 게임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부족한 완성도로 출시된 게임들은 결국 PC 패키지 게임 시장의 종지부를 찍는 역할.
* PC 패키지 게임 시장의 마지막을 지킨 게임: RPG의 명가 소프트맥스의 <마그나카르타>와 그리곤엔터테인먼트의 <천랑열전>. 
  두 작품 모두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모았던 작품들이었으나, 실제 출시 후에는 낮은 완성도로 인해 유저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으며, 
  제작사들에게는 PC 패키지 게임 시장을 포기하게 되는 계기.
* 2003년에 출시된 <천랑열전> 이후 대작 RPG 게임은 거의 나오지 않았음.
* <에이스 사가>나 <거울 전쟁> 등 RTS 게임들이 시장의 문을 두드렸지만 모두 성과를 내지 못함.


유행게임장르

게임목록

메이플스토리 크레이지아케이드 서든어택 카트라이더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외환위기와 불법복제, 과도한 게임 번들(2000~2001)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네이버 지식백과] 최후의 패키지 게임들(2002~2003)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네이버 지식백과] 최후의 RPG들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