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스며든 여성의 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큐레이션을 기획하며) |
(→2020년 오늘날 한복)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방법론]] }} | ||
+ | <div style="text-align:right">작성자: [[김현승]]</div> | ||
=='''디지털 큐레이션을 기획하며'''== | =='''디지털 큐레이션을 기획하며'''== | ||
한복은 한국의 전통 복식으로 한국의 역사와 함께 그 명맥이 계승되어 왔다. | 한복은 한국의 전통 복식으로 한국의 역사와 함께 그 명맥이 계승되어 왔다. | ||
4번째 줄: | 6번째 줄: | ||
한복의 기본 구성은 위에 입는 상의(上衣)와 아래에 입는 바지 또는 치마로 이루어진다. 조선시대 남성의 경우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 종류를 걸치는 것으로 기본 구성을 갖추었고 주로 실외 활동을 많이 했으므로 포, 즉 겉에 걸치는 옷의 종류가 발달하게 되었다. 여성의 경우도 기본적으로는 상의인 저고리와 아래에 입는 치마로 그 기본 구성을 갖추었는데, 주로 실내에서 활동했던 만큼 겉옷의 발달보다는 속에 입는 속옷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달하게 되었다. | 한복의 기본 구성은 위에 입는 상의(上衣)와 아래에 입는 바지 또는 치마로 이루어진다. 조선시대 남성의 경우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 종류를 걸치는 것으로 기본 구성을 갖추었고 주로 실외 활동을 많이 했으므로 포, 즉 겉에 걸치는 옷의 종류가 발달하게 되었다. 여성의 경우도 기본적으로는 상의인 저고리와 아래에 입는 치마로 그 기본 구성을 갖추었는데, 주로 실내에서 활동했던 만큼 겉옷의 발달보다는 속에 입는 속옷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달하게 되었다. | ||
− | 근대와 현대에 이르러서는 복식 간소화와 여성의 사회활동이 권장되면서 남성의 겉옷은 두루마기를 남기고 대부분의 종류는 전멸하다시피 사라졌으며, 여성의 속옷은 조끼 어깨를 달아 만든 원피스형 속치마와 허리부분에 고무줄 밴드를 달아 만든 속바지 하나로 줄어들게 된다. | + | 근대와 현대에 이르러서는 복식 간소화와 여성의 사회활동이 권장되면서 남성의 겉옷은 두루마기를 남기고 대부분의 종류는 전멸하다시피 사라졌으며, 여성의 속옷은 조끼 어깨를 달아 만든 원피스형 속치마와 허리부분에 고무줄 밴드를 달아 만든 속바지 하나로 그 종류가 줄어들게 된다. |
− | 이번 디지털 큐레이션은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 속에서 여성의 한복이 어떤 변화를 겪고 현재로 이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국립여성사전시관]], [[경기도박물관]], [[여주박물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국대학교_석주선기념박물관 단국대석주선기념박물관]의 | + | 이번 디지털 큐레이션은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 속에서 여성의 한복이 어떤 변화를 겪고 현재로 이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국립여성사전시관]], [[경기도박물관]], [[여주박물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단국대학교_석주선기념박물관 단국대석주선기념박물관]의 소장유물을 참고하였다. |
=='''여성 한복'''== | =='''여성 한복'''== | ||
12번째 줄: | 14번째 줄: | ||
조선시대 여성 한복의 기본 구성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저고리(여성) 저고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치마 치마]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양말과 같은 역할을 하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버선 버선]을 함께 신는다. 속옷은 [[가슴가리개|대자(가슴가리개)]], [[속속곳]], [[속바지]], [[단속곳]],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등의 다양한 종류가 발달하였으며, 남성 한복의 포(袍)와 같이 겉에 걸치는 옷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702 장옷]을 비롯하여 [[쓰개치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두루마기 두루마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당의 당의] 등을 신분과 상황에 맞게 사용하였다. | 조선시대 여성 한복의 기본 구성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저고리(여성) 저고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치마 치마]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양말과 같은 역할을 하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버선 버선]을 함께 신는다. 속옷은 [[가슴가리개|대자(가슴가리개)]], [[속속곳]], [[속바지]], [[단속곳]],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등의 다양한 종류가 발달하였으며, 남성 한복의 포(袍)와 같이 겉에 걸치는 옷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702 장옷]을 비롯하여 [[쓰개치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두루마기 두루마기],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당의 당의] 등을 신분과 상황에 맞게 사용하였다. | ||
− | [[파일:한복 조선시대 국립대구박물관.JPG| | + | [[파일:한복 조선시대 국립대구박물관.JPG|200px|조선시대 여성 한복-국립대구박물관 제공]] |
←조선시대 여성 한복-[https://daegu.museum.go.kr/ 국립대구박물관] 제공<ref>[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589618&memberNo=37451778 이미지 출처: 네이버 공연전시 올댓아트]</ref> | ←조선시대 여성 한복-[https://daegu.museum.go.kr/ 국립대구박물관] 제공<ref>[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589618&memberNo=37451778 이미지 출처: 네이버 공연전시 올댓아트]</ref> | ||
33번째 줄: | 35번째 줄: | ||
− | *''' | + | *'''한복 착용에 나타난 가치관 변화:''' 서울의 궁 투어나 전주의 한옥마을, 용인의 민속촌 등으로 나들이를 할 때에 관광객들은 주로 대여의 형태로 한복을 입는데, 여성은 남성 한복인 갓-도포-저고리-바지 구성이나 익선관-곤룡포-흑화 구성으로 왕의 복장 등을 입기도 하고, 남성은 여성 한복인 풍성한 속치마와 저고리-치마-여립 구성으로 입고 다니기도 한다. <ref>권지담,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93207.html 인권위 “남성 한복 입은 여성에 고궁 입장료 받는 건 차별”]", 『한겨례』, 2019년 5월 9일.</ref> <ref>이기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6261042001&code=960100 남자가 한복치마, 여자가 한복바지 입어도 고궁 무료입장한다]", 『경향신문』, 2019년 6월 26일.</ref> |
[[파일:한복 남녀한복.JPG|300px]] | [[파일:한복 남녀한복.JPG|300px]] | ||
− | 이와 같이 오늘날 한복을 대하는 모습에서 과거에 | + | 이와 같이 오늘날 현대인들이 한복을 대하는 모습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과거에 선명했던 남녀 역할의 구분선이 옅어지고 있고,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의식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흐름은 과거 조상들의 삶이 스며들었던 한복이 그 자리에 멈춰있지 않고 현대인의 삶이 더해지는 한복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며, 더불어 근현대 이후 격동적인 역사를 지녔던 여성 한복이 또 어떤 발자취를 남기며 나아갈지 그 걸음이 기대된다.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24년 10월 4일 (금) 13:32 기준 최신판
목차
디지털 큐레이션을 기획하며
한복은 한국의 전통 복식으로 한국의 역사와 함께 그 명맥이 계승되어 왔다.
한복의 기본 구성은 위에 입는 상의(上衣)와 아래에 입는 바지 또는 치마로 이루어진다. 조선시대 남성의 경우 저고리와 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 종류를 걸치는 것으로 기본 구성을 갖추었고 주로 실외 활동을 많이 했으므로 포, 즉 겉에 걸치는 옷의 종류가 발달하게 되었다. 여성의 경우도 기본적으로는 상의인 저고리와 아래에 입는 치마로 그 기본 구성을 갖추었는데, 주로 실내에서 활동했던 만큼 겉옷의 발달보다는 속에 입는 속옷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달하게 되었다.
근대와 현대에 이르러서는 복식 간소화와 여성의 사회활동이 권장되면서 남성의 겉옷은 두루마기를 남기고 대부분의 종류는 전멸하다시피 사라졌으며, 여성의 속옷은 조끼 어깨를 달아 만든 원피스형 속치마와 허리부분에 고무줄 밴드를 달아 만든 속바지 하나로 그 종류가 줄어들게 된다.
이번 디지털 큐레이션은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 속에서 여성의 한복이 어떤 변화를 겪고 현재로 이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국립여성사전시관, 경기도박물관, 여주박물관, 단국대석주선기념박물관의 소장유물을 참고하였다.
여성 한복
조선시대 여성 한복
조선시대 여성 한복의 기본 구성은 저고리, 치마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양말과 같은 역할을 하는 버선을 함께 신는다. 속옷은 대자(가슴가리개), 속속곳, 속바지, 단속곳,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등의 다양한 종류가 발달하였으며, 남성 한복의 포(袍)와 같이 겉에 걸치는 옷은 장옷을 비롯하여 쓰개치마, 두루마기, 당의 등을 신분과 상황에 맞게 사용하였다.
근·현대 여성 한복
한복의 기본 구성은 과거와 같으나, 그 모양과 속옷·겉옷의 양식에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근대에 들어서는 고무줄을 허리에 끼워 만든 속바지와 어깨가 달린 원피스 형태의 속치마와 겉치마를 입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시대의 유행에 따라 조금씩 소재와 모양을 달리 하며 변형되어갔다. 겉옷 또한 그 종류가 간소화되었고, 이제는 개인의 취향이나 날씨, 또는 이벤트성 상황에 따라 두루마기, 당의 등을 선택적으로 입게 되었다.
2020년 오늘날 한복
2020년인 현재,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 브랜드의 한복이 대중에게 사랑받고 있고 여전히 일생의례(一生儀禮)에 해당하는 돌잔치, 혼례, 상례 등의 중요한 상황에서는 자연스럽게 한복을 입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격식을 갖추는 자리가 아니라면, 오늘날의 한복은 남녀 구분 없이 어느 한 종류로 국한되지 않고 입혀지고 있는 모습이다. 작년 2019년에 기사로 나온 대표적인 사례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철릭원피스: 조선시대 남성의 한복으로 분류되었던 철릭을 옷감과 형태를 조금씩 변형하여 지금은 여성들이 원피스로 즐겨 입고 있다. [3]
- 한복 착용에 나타난 가치관 변화: 서울의 궁 투어나 전주의 한옥마을, 용인의 민속촌 등으로 나들이를 할 때에 관광객들은 주로 대여의 형태로 한복을 입는데, 여성은 남성 한복인 갓-도포-저고리-바지 구성이나 익선관-곤룡포-흑화 구성으로 왕의 복장 등을 입기도 하고, 남성은 여성 한복인 풍성한 속치마와 저고리-치마-여립 구성으로 입고 다니기도 한다. [4] [5]
이와 같이 오늘날 현대인들이 한복을 대하는 모습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과거에 선명했던 남녀 역할의 구분선이 옅어지고 있고,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의식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흐름은 과거 조상들의 삶이 스며들었던 한복이 그 자리에 멈춰있지 않고 현대인의 삶이 더해지는 한복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며, 더불어 근현대 이후 격동적인 역사를 지녔던 여성 한복이 또 어떤 발자취를 남기며 나아갈지 그 걸음이 기대된다.
지식관계망
유물로 그려보는 조선시대와 근현대 여성 한복의 지식관계망(국립여성사전시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주석
- ↑ 이미지 출처: 네이버 공연전시 올댓아트
- ↑ 이미지 출처: 네이버 공연전시 올댓아트
- ↑ 이승은, “청바지, 운동화와 입어도 어울려요...新한복의 매력”, 『YTN』, 2019년 11월 5일.
- ↑ 권지담, "인권위 “남성 한복 입은 여성에 고궁 입장료 받는 건 차별”", 『한겨례』, 2019년 5월 9일.
- ↑ 이기환, "남자가 한복치마, 여자가 한복바지 입어도 고궁 무료입장한다", 『경향신문』, 2019년 6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