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5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pre> #Links E09-1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천연정 h...)
 
 
(같은 사용자에 의한 1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clickable button | [[학술자료정보화연구]] }} {{clickable button | [[S0-501.story]] }}
 +
 
<pre>
 
<pre>
 
#Links
 
#Links
E09-1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남지기로회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연꽃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천연정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남지기로회도-서울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경기감영도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남지기로회도-부산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연지계회도-대전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죽란시사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죽란시사첩_서 hasContextualElement
+
E0-5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E09-101A 신윤복-청금상련 hasContextualElement
+
 
E09-101A 양화소록 hasContextualElement
+
 
#End
 
#End
 
</pre>
 
</pre>
  
 
==Theme==
 
==Theme==
연못에 모인 선비들, 연꽃과 어울리다
+
Episode 1: 그림으로 보는 남지(南池)
  
 
==Synopsis==
 
==Synopsis==
막 서늘해지면 서지(西池)에서 연꽃 구경을 하러 한 번 모여야 한다고 적은 정약용의 죽란시사첩 서문,
+
숭례문 근처에 있어 남쪽의 연못이라고 불린 남지는 지금은 그 터만 남아있다.<br/>
비록 몸은 세상에 매어 있지만, 옹기에 작은 연못을 만들어 연꽃을 기르며 정신은 만물 밖에서 즐겁게 거닐 수 있다고 한 강희안의 양화소록 등을 통해 조선시대 선비들의 '연꽃'대한 미의식을 알 수 있다.
+
1629년(인조 7)에 홍사효(洪思斅)의 집에서 열린 기로회(耆老會) 장면을 그린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에는 연꽃을 감상하고자 나이 많은 전‧현직 관료들이 모임을 가진 뒤, 이를 기념하여 그린 그림이다.<br/>
 
+
상단 '남지기로회'라는 표제에서 시작해 그림, 축하글, 참석자들의 명단을 적은 좌목이 적혀 있다. 이날 참석한 사람들은 81세 이인기를 비롯해 11명인데, 모임의 일원인 유순익이 공무로 인해 참석하지 못했지만 그림에는 그려 넣어 12명이 그려져 있다.<br/>
연꽃, 연못이 선비들의 어떤 모임에 함께 했는지 문헌과 그림을 살펴본다.
+
남지에서 열린 기로회에 대한 그림은 이기룡이 그린 <남지기로회도> 외에도 작자 미상으로 이모본이 8본이 전하며,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본이 보물 제866호로 원본으로 추정되고, 그밖에 부산동아대학교박물관(석당박물관)을 제외한 6본은 19세기 이후에 모사된 작품들로 추정된다.
 
+
# 남지(南池)에서의 모임, 남지기로회와 이기룡 作 남지기로회도
+
# 서지(西池)의 모습이 담긴 그림, 경기감영도
+
# 가야금을 들으며 연꽃을 감상하다, 신윤복 作 청금상련
+
# 정약용을 주축으로 한 시서모임인 '죽란시사'와 연꽃, 죽란시사첩 서
+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501A"></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501A"></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501A'">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501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Graph.py?account=edu&script=E0-501A.episode'">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0-501A.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html>
 
</html>
  
==출처==
+
[[분류:S0-501.story]]
<references/>
+

2022년 3월 31일 (목) 03:03 기준 최신판

학술자료정보화연구 S0-501.story

#Links
E0-501A	남지기로회	hasContextualElement
E0-501A	연꽃	hasContextualElement
E0-501A	이기룡-남지기로회도	hasContextualElement
E0-501A	남지기로회도-서울	hasContextualElement
E0-501A	남지기로회도-부산	hasContextualElement
E0-501A	연지계회도-대전	hasContextualElement
E0-501A	숭례문_남지	hasContextualElement
E0-501A	홍사효_집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Episode 1: 그림으로 보는 남지(南池)

Synopsis

숭례문 근처에 있어 남쪽의 연못이라고 불린 남지는 지금은 그 터만 남아있다.
1629년(인조 7)에 홍사효(洪思斅)의 집에서 열린 기로회(耆老會) 장면을 그린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에는 연꽃을 감상하고자 나이 많은 전‧현직 관료들이 모임을 가진 뒤, 이를 기념하여 그린 그림이다.
상단 '남지기로회'라는 표제에서 시작해 그림, 축하글, 참석자들의 명단을 적은 좌목이 적혀 있다. 이날 참석한 사람들은 81세 이인기를 비롯해 11명인데, 모임의 일원인 유순익이 공무로 인해 참석하지 못했지만 그림에는 그려 넣어 12명이 그려져 있다.
남지에서 열린 기로회에 대한 그림은 이기룡이 그린 <남지기로회도> 외에도 작자 미상으로 이모본이 8본이 전하며,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본이 보물 제866호로 원본으로 추정되고, 그밖에 부산동아대학교박물관(석당박물관)을 제외한 6본은 19세기 이후에 모사된 작품들로 추정된다.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