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1-1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pre>
 
<pre>
 
#Links
 
#Links
E11-101A 정재_검기무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검무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운심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황창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윤순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교방검무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운심검무축제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동경잡기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검무기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증보문헌비고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청성잡기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원행을묘정리의궤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동야휘집 hasContextualElement
+
E11-101A 광문자전 hasContextualElement
+
 
#End
 
#End
 
</pre>
 
</pre>
 +
 +
{{clickable button | [[S11-101.story]]}}
  
 
==Theme==
 
==Theme==
조선후기에 정재로 편입된 <검기무>와 밀양기생 운심의 이야기.
+
칼춤의 유래 이야기
  
  
 
==Synopsis==
 
==Synopsis==
지방에서 먼저 유행한 <검기무>는 17세기 말 무렵부터 궁중행사에 동원되기 시작했고, 정조시대에 정재로 편입되었다. 영조시대에 활약하며 <검기무>의 효시로 불리는 밀양기생 운심은 선상기(選上妓)로 한양에 불려온 후 단박에 사대부들의 관심을 받았고, 한양은 물론 관서지방에 이르도록 많은 제자를 길러 전국적인 유명세를 얻었다. <검기무>가 정재에 편입된 공로는 운심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8세기 중엽 이후 19세기 중엽까지 여러 문집에서 전하는 운심의 이야기는 예술적인 재능과 로맨스, 의협심을 전하고 있으며, 현재 밀양에서는 운심을 기리는 <운심검무축제>를 거행하고 있다.
+
칼춤(劒舞)은 검기무(劒器舞)라고 불리기도 하며, 신라소년 황창이 백제왕을 죽이고 자신도 죽자, 신라인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가면을 쓰고 추기 시작한데서 유해했다고 한다. 황창은 관창을 오인했다고 하며, 고려말까지는 가면을 쓰고 칼춤을 추었다고 한다. 칼춤은 조선 초기에는 성행하지 않다가 조선후기에 다시 유행하면서 정재로 편입되었는데, 이전의 칼춤이 남성춤이었다면 조선후기에 유행한 칼춤은 기생춤으로 변화된 것이 특징이다. 밀양기생 운심에 의해 재창조된 칼춤은 동작과 도구 등에서 많은 변화를 겪으며 전해지고 있는데, 오늘날 비교적 조선 후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칼춤은 <진주검무>로 알려지고 있다.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1-101A"></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11-101A"></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1-101A'">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11-101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Graph.py?account=edu&script=E11-101A.episode'">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11-101A.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html>
 
</html>

2022년 3월 29일 (화) 09:24 기준 최신판

#Links
E11-101A	검무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황창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교방검무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동경잡기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증보문헌비고	hasContextualElement
E11-101A	원행을묘정리의궤	hasContextualElement
#End

S11-101.story

Theme

칼춤의 유래 이야기


Synopsis

칼춤(劒舞)은 검기무(劒器舞)라고 불리기도 하며, 신라소년 황창이 백제왕을 죽이고 자신도 죽자, 신라인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가면을 쓰고 추기 시작한데서 유해했다고 한다. 황창은 관창을 오인했다고 하며, 고려말까지는 가면을 쓰고 칼춤을 추었다고 한다. 칼춤은 조선 초기에는 성행하지 않다가 조선후기에 다시 유행하면서 정재로 편입되었는데, 이전의 칼춤이 남성춤이었다면 조선후기에 유행한 칼춤은 기생춤으로 변화된 것이 특징이다. 밀양기생 운심에 의해 재창조된 칼춤은 동작과 도구 등에서 많은 변화를 겪으며 전해지고 있는데, 오늘날 비교적 조선 후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칼춤은 <진주검무>로 알려지고 있다.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