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 2023년 12월 1일 (금) 09:26 광주 스토리 예시1 (역사) [1,602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 #Project h1 Story Network Script for S2023-X01a #Class Place grey box Concept grey box #Relation type isRealtedTo hasPart #Nodes 기독교_선교유적지 Place 기독교_선...)
- 2023년 11월 10일 (금) 08:26 김방 (역사) [3,382 바이트] My9univ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 광주 출신 김방(金倣, 미상)은 1418년 김제군사(知金堤軍事)로 있으면서 김제의 저수지인 벽골제를 보수 공사...)
- 2023년 11월 10일 (금) 03:35 S2023-003 (역사) [8,285 바이트] My9univ (토론 | 기여) (새 문서: <!-- #Links S2023-003 김방 hasContextualElement S2023-003 경양방죽 hasContextualElement S2023-003 증심사오백전 hasContextualElement S2023-003 광주광역시_유형문화...)
- 2023년 11월 3일 (금) 15:48 학교 시설 (역사) [74 바이트] Narasunny (토론 | 기여) (새 문서: # 본관 # 강당 # 도서관 # 운동장 # 체육관 # 복도 # 화장실)
- 2023년 11월 3일 (금) 15:46 교실 (역사) [107 바이트] Narasunny (토론 | 기여) (새 문서: # 교사 # 학생 # 책상 # 의자 # 교과서 # 필통 # 연필 # 지우개 # 색연필 # 자 # 게시판)
- 2023년 11월 3일 (금) 15:30 한몽 테마별 어휘 (역사) [261 바이트] Narasunny (토론 | 기여) (새 문서: == 한몽 테마별 어휘 == === 학교 === * 교실 * 학교 시설 * 도서관 * 학제 === 병원 === * 시설 * 접수 * 증상 및 질병 * 신체 * 기관 === 일상생활 ==...)
- 2023년 10월 25일 (수) 14:05 Network:민족기록화W03.lst (역사) [1,590 바이트] 홍자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ㄷㄷㄷㄷㄷ)
- 2023년 10월 25일 (수) 12:51 김태-황룡사 조영(2023-02실습) (역사) [3,009 바이트] 홍자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김태 「황룡사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1977]| 600px | right]] {{clickable button |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 2023년 10월 20일 (금) 13:17 팔괘정 작업노트 (역사) [194 바이트] Song-yi (토론 | 기여) (새 문서: ==팔괘정 파노라마== 1. 메모 ==팔괘정 드론== 1. 메모 ==팔괘정 고프로== 1. 메모 ==팔괘정 결과물== 1. 기존 방식 2. APP 이용 방식)
- 2023년 10월 19일 (목) 01:23 NetworkGraph:2023:101:김광우:민중가요02A (역사) [1,798 바이트] Okehkim (토론 | 기여) (새 문서: <!-- #Project 민중가요 #Class 기록물 단체 인물 사건 개념 장소 #Relation edm:isRelatedTo dcterms:publisher ekc:leads ekc:calligrapher...)
- 2023년 10월 8일 (일) 22:30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역사) [1,472 바이트] Song-yi (토론 | 기여) (새 문서: ==Meta Data== 한국유교문화진흥원 * 한글명: 한국유교문화진흥원 * 타입: 연구기관 * 유형:...)
- 2023년 10월 8일 (일) 19:23 강경근대문화거리 (역사) [3,435 바이트] Song-yi (토론 | 기여) (새 문서: ==Meta Data== 죽림서원 * 한글명: 강경근대역사문화거리 * 타입: 근현대 문화유적 * 유형: 유적/건물 * 지...)
- 2023년 10월 3일 (화) 19:53 정창섭-정약용과 저술(2023-02실습) (역사) [602 바이트] 박려정 (토론 | 기여) (새 문서: {{clickable button |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 {{clickable button | 민족기록화 }} 파일:정창섭-다산초당%28정약용%29-1979s.jpg|프레임|alt...)
- 2023년 9월 21일 (목) 09:18 Network:민족기록화W11.lst (역사) [1,090 바이트] Hanna 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pre> #Project h1 윤중식-8.15해방 #Class 작품 red circle 인물 olive triangle 장소 blue rect 문헌 olive rect 사건 orange star 기관 violet square 개념 grey dot #Re...)
- 2023년 9월 21일 (목) 09:08 국립부여박물관 (역사) [8,485 바이트] 조하영 (토론 | 기여) (새 문서: == 내용== 국립부여박물관 ==웹 자원== [https://buyeo.museum.go.kr/index.do 국립부여박물관])
- 2023년 9월 21일 (목) 01:13 윤중식-8.15해방(2023-02실습) (역사) [6,559 바이트] Hanna Lee (토론 | 기여) (새 문서: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민족기록화]]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
- 2023년 9월 19일 (화) 14:59 옥녀봉 (역사) [5,179 바이트] Shiyu (토론 | 기여) (새 문서: ==Meta Data== * 타입: 논산 8경 중 하나 * 한글명: 옥녀봉(玉女峰) * 별칭 : 강경산(江景山) * 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 내용==...)
- 2023년 9월 19일 (화) 14:51 팔괘정 (역사) [1,861 바이트] Shiyu (토론 | 기여) (새 문서: ==Meta Data== * 타입: 문화유산 * 한글명: 팔괘정 * 한자명: 八掛亭 * 유형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문화재지정번호 : 충청...)
- 2023년 9월 19일 (화) 14:44 임리정 (역사) [1,734 바이트] Shiyu (토론 | 기여) (새 문서: ==Meta Data== * 타입: 문화유산 * 한글명: 임리정 * 한자명: 臨履亭 * 유형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문화재지정번호 : 충청...)
- 2023년 9월 19일 (화) 14:10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2023 가을 학술답사 (역사) [6,149 바이트] Song-yi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clickable button|2022 가을 답사}}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9...)
- 2023년 9월 16일 (토) 16:39 국선 (역사) [1,404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신라시대 청소년으로 구성된 민간 수양단체. 일명 화랑도(花郞道)·국선도(國仙道)·풍류도(風流徒)로 불려지기도 한다. 혹은 그 단체의 총...)
- 2023년 9월 15일 (금) 14:17 앵포르멜 (역사) [1,060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부정형(不定形)인 것’이란 뜻. 프랑스의 비평가 미셀 타피에가 주창하고 지도한, 2차대전 후에 나타난 추상회화의 한 경향. 1951년 파리...)
- 2023년 9월 15일 (금) 14:07 큐비즘 (역사) [652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요약== 20세기 초 회화를 비롯해 건축, 조각, 공예 등 국제적으로 퍼져 전파된 미술 운동. 인상파에서 시작되어 야수파 운동과 전후해서...)
- 2023년 9월 15일 (금) 14:03 김유신 (역사) [13,983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요약== *김유신은 삼국시대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장수이다. 595년(진평왕 17)에 태어나 673년(문무왕 13)에 사망했다....)
- 2023년 9월 15일 (금) 10:08 RF1848 (역사) [32,011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무신년진찬&project=RF18458 무신년진찬 시맨틱 데이터 검색])
- 2023년 9월 13일 (수) 23:59 Network:민족기록화W05.lst (역사) [2,441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pre> #Project h1 이종상-김대성과_석굴암 #Class 작품 red circle 인물 olive triangle 장소 blue rect 유적 navy rect 유물 purple rect 문헌 olive rect 사건 orang...)
- 2023년 9월 8일 (금) 07:35 공연·전시 디지털 콘텐츠 개발 2023 (역사) [3,635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강좌 개요== * 강좌명: '''공연·전시 디지털 콘텐츠 개발'''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3년 2학기 수업 *...)
- 2023년 9월 7일 (목) 11:01 김서윤 (역사) [2,355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녕하세요)
- 2023년 9월 7일 (목) 11:00 김서윤2023 (역사) [15 바이트] 김서윤2023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녕하세요)
- 2023년 9월 7일 (목) 10:52 신은선 (역사) [853 바이트] 신은선 (토론 | 기여) (새 문서: 청강생 신은선입니다.)
- 2023년 9월 7일 (목) 10:52 박영선 (역사) [1,030 바이트] 박영선 (토론 | 기여) (새 문서: 반갑습니다!)
- 2023년 9월 7일 (목) 10:48 홍자현 (역사) [631 바이트] 홍자현 (토론 | 기여) (만드는 중입니다)
- 2023년 9월 7일 (목) 01:13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0:실습 (역사) [1,085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0: 클래스 프로젝트==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style="width:100px"| 큐레이터 ||style="width:400px"| 큐레이션...)
- 2023년 9월 7일 (목) 00:54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2023 (역사) [17,440 바이트] Admin (토론 | 기여) (새 문서: ==강좌 개요== * 강좌명: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3년 2학기 수업 * 담당...)
- 2023년 9월 1일 (금) 18:13 청강생2 (역사) [379 바이트] 윤종웅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이템 1 : 정의 1 ;아이템 2 : 정의 2-1 : 정의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