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진
인물 정보 | |
---|---|
이름 | 이태진 |
출생 | 1943.10.14 |
사망 | |
성별 | 남성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역사학자 |
경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정의
이태진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내용
연구내용
특정 시대를 전공한다기보다는 한국사 전체에 포괄적으로 관심이 넓은 편으로, 학술대회에 참여하거나 논문을 내는 것 역시 시대를 가리지 않고 내는 편이다. 하지만 2000년에 <고종시대의 재조명>을 편찬한 뒤부터는 고종에 대한 재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꾸준히 진행 중이다.[1] 1980년대 붕당정치론을 제창하여 일제식민사학인 "당파성론"을 교과서에서 퇴출시켰으며, 1990년대에는 규장각을 독립시켜 조선후기를 르네상스로 평가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을 열었으며, 정조를 절대계몽군주로 최초로 평가하여 정조의 개혁군주로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2000년대에는 대한제국 연구에 집중하여 일제의 강제병합 불법성을 증명하였으며, 고종의 근대화 노력을 밝혀냈다. 일련의 연구과정으로 일제가 견고하게 구축한 식민사학의 토대를 붕괴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더욱이 외계충격설을 소개하여 식민 사학 타파를 넘어서 한국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의 논저는 수백편에 이르며 주요 저서는 일본, 미국 등에서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장기간 일본 <<세카이>>誌에서 일본 학자들과 논쟁을 벌여서 강제병합의 불법성을 주장하였으며, <<교수신문>>에서 식민지근대화론자들과 논쟁을 벌여서, 대한제국의 자주적인 근대 국가 지향을 역설하였다. 일본 동경대학에서 일본의 불법적인 식민지화과정을 강의하였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는 한국인 교수 최초로 한국어로 역사를 강의하였다. 2009년 정년 후 뉴라이트 계열과 근현대사 연구자들의 역사인식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특히 뉴라이트 계열에 대해서 식민지 근대화론은 대한제국의 근대화 노력을 무위로 돌리고,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대한민국사의 주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의 역사를 말살하는 일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양자의 극단적인 역사인식을 함께 비판하고 구시대의 냉전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갈 것을 주문하였다.[2] 올해에는 조선 유교 정치의 순기능 및 18세기 ‘민국’ 정치 연구, 고종 시대 근대화 정책 재조명 등을 통해 한국의 자립적 근대화 노력을 규명했으며, 일제 식민주의 역사관을 비판하고 한일 합병의 불법성을 증명하는 등 일제가 왜곡한 부정적 한국사 인식 개선 및 한국사학 발전에 기여한 공헌으로 제 28회 수당상 인문사회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하였다.[3]
외규장각 의궤 연구
1994년 5월 8일, 프랑스가 약탈한 외규장각 의궤 중 1권을 대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에 대한민국 내에 외규장각 도서반환운동을 일으켰고 의궤 환수에 공헌하여서 황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멀티미디어
이미지
외규장각 도서 반환에 공을 세운 인사 3명에 대한 포상식. 가장 왼쪽이 이태진교수이다.[4]
외규장각 도서 환수 관계자 초청 오찬의 모습. 왼쪽에서 네번째가 이태진교수이다.[5]
동영상
기여
오미래:최초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