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읍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소개

북쪽은 성남시 분당구, 동쪽은 광주시 오포읍(五浦邑)·구성동, 남쪽은 수원시, 서쪽은 수원시·의왕시에 접한다. 2006년 현재 동천동, 신봉동, 성복동, 상현1동, 상현2동,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죽전1동, 죽전2동으로 이루어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기존의 수진면과 지내면을 합치고, 수진면의 수자와 지내면의 지자를 합쳐 수지면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때 8개 리로 편성되었다가 1973년 구성면 죽전리를 편입하여 9개 리가 되었고, 1983년 이의리와 하리가 수원시에 편입되면서 7개 리로 구성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6년 3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2001년 12월 24일 수지출장소로 승격하여 풍덕천 1동, 풍덕천 2동, 죽전 2동, 동천동, 상현동으로 분할되었다. 2005년 10월 31일자로 용인시 수지구로 바뀌면서 풍덕천 2동을 풍덕천 2동과 신봉동으로 분동하고, 상현동을 상현 1동과 상현 2동으로 분동하였다.

기반암은 대부분이 호상편마암이고 부분적으로 화강암질 편마암과 화강암도 분포한다. 동부와 남부는 주로 낮은 구릉성 산지와 충적지이지만 서부에는 산지가 많다. 주요한 산은 광교산·백운산·형제봉·바라산·응봉·소실봉 등이며 주요하천은 탄천과 그 지류이다. 수지목장을 비롯하여 약 20개 내외의 목장이 있고, 20여 개의 공장이 가동하여 섬유류·전자제품·건축자재 등을 생산한다. 서부는 산악지대로 교통이 불편하지만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중부는 지방도가 사방으로 분기(分岐)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문화재로는 서봉사 현오국사탑비(瑞峰寺玄悟國師塔碑:보물 9), 심곡서원(深谷書院:경기유형문화재 7), 이종무장군묘(李從茂將軍墓:경기기념물 25), 문정공 조광조묘 및 신도비(文貞公趙光祖墓-神道碑:경기기념물 169), 문간공 김세필묘역일원(文簡公金世弼墓域一圓:경기문화재자료 92), 풍덕천리(豊德川里) 성지, 이완묘(李莞墓), 이완 정문(旌門), 서봉사지(瑞峰寺址) 등이 있다.

출처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836&cid=40942&categoryId=33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