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도(양팽손)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내용

조선조 전기의 학자이며 화가, 양팽손의 그림이다. 《산수도(山水圖)》는 사인취향이 짙은 그림이라 그런지 점잖고 필선(筆線)이 부드럽고 심의(心意)가 엿보이며 어딘지 모르게 직업화가의 그림에서는 보기 드문 담백한 품격을 나타내고 있다. 전경(前景) · 중경(中景)의 뭉게구름 피어나듯 비스듬히 기울어진 산세(山勢)의 윤곽선이나 산악(山岳)의 중첩, 그리고 원경(遠景)의 삼봉형(三峯形) 등이 전안견(傳安堅)의 《화첩산수(畵帖山水)》와도 비슷하여 그 시대의 공통적인 산수양식(山水様式)이라고 할 수 있는 원체화풍(院體畵風)을 풍긴다. 화면 좌상부(左上部)에 다음과 같은 시(詩)가 적혀 있다.

체화 가주청강상 청밀일일개 호촌임영잡 농세뢰성최, 객도수조박 
어선권조회,
요지대상객 응위간산내 강활비진격 탄훤속어성 어주막내왕 
공여세상통
(體畵 家住淸江上 晴密日日開 護村林影迊 聾世瀬聲催, 客棹隨潮泊
漁船捲釣廻,
遙知臺上客 應爲看山來 江濶飛塵隔 灘暄俗語聲 漁舟莫來往 
恐與世相通)
해맑은 강가에 집 짓고 사니 문일랑 나날이 열어 놓노라
숲 그림자 빙 둘러 마을 감싸고 물소리 세상일 전혀 못 듣네
조수 따라 나그네 돛을 내리고 낚시 걷자 조각배 돌아간다
저기 저 대(臺) 위에 앉은 손님들은 응당히 산 구경 온 사람
들이겠지
강이 넓어 나는 티끌 가로막히고, 물결치니 속된 사연 아니
들리네
고깃배야 행여 다녀가지를 마라, 세상과 서로 길이 통할까 
염려하노라

경관

17.jpg


출처

  1. [네이버 지식백과 산수도 [山水圖, Landscape, 山水] - 양팽손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미술오천년)]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