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문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 타입: 인물
  • 한글항목명 : 박수문
  • 한자항목명 : 朴守紋
  • 편자: 심곡서원팀 [송유빈 KU |송유빈]

내용

  • 이름 : 박수문[朴守紋]
  • 생몰년 : 미상
  • 역할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자는 원장(元章)이다.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08년 정언(正言)을 시작으로 지평(持平)·헌납(獻納)·전한(典翰)·집의(執義) 등 주로 삼사(三司)에서 활동하였다. 1517년 이성언(李誠言)을 탄핵했다가 체직된 정언 양팽손(梁彭孫)을 변호하였다. 1518년(중종 13) 사헌부로부터 전에 전라도 경차관(全羅道敬差官)으로 있을 때 불성실했던 일을 탄핵받아 물러났으나 다시 집의로 임명되었다.

1519년 여악(女樂)을 쓰지 말 것을 상소하였으며, 다시 중종반정 때의 공신들이 지나치게 많으니 위훈(僞勳)된 사람은 삭제해야 한다고 상소하였다. 그해 기묘사화가 일어나서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진사류(新進士類)가 축출되자 스스로 벼슬을 그만두었다. 이듬해 전한(典翰)에 제수되었으며 다시 시강관(侍講官)에 올라 사관(史官)이 사초(史草)를 사사로이 의논하여 고치는 폐단을 보고하였다.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정언·지평·헌납·전한·집의 등 주로 삼사에서 활동하였다. 1519년 여악을 쓰지 말 것과 중종반정 때의 공신들이 지나치게 많으니 위훈(僞勳)된 사람은 삭제해야 한다고 상소하였다.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