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2차 노드 및 관계 추출 결과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16년 6월 2일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강의 시간에 수집 및 검토한 아차산 문화유산 관련 클래스, 개체 및 관계표 입니다.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2차 노드 및 관계
A클래스 A노드 B클래스 B노드 A노드xB노드 관계 노트
인물 개로왕 인물 장수왕 ~와 적대관계이다.
인물 개로왕 기록 백제본기 ~에 (최후가)기록되어있다. 노드추가
인물 개로왕 기록 삼국사기 ~에 (치적이)기록되어있다.
인물 개로왕 개념 한성시대 ~에 속한다.
인물 개로왕 개념 신라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
인물 개로왕 인물 도림 ~의 책략에 당했다.
인물 개로왕 개념 나제동맹 ~을 결성하였다.
인물 개로왕 유적 아단성 ~와 관련있다.
인물 개로왕 유적 아차산성 ~와 관련있다.~에서 사망했다고 추정된다.
인물 개로왕 설화 도미설화 ~와 관련있다.
인물 건국대학교 박물관 기록 아차산지역 보고서 ~보고서를 발간했다. 서브클래스필요?
인물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기록 아차산지역 보고서 ~을 발간했다.
인물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기록 아차산지역 보고서 ~을 발간했다.
인물 광개토대왕 사물 광개토대왕비문 ~에 아단성이름이 나온다.
인물 광개토대왕 유적 아단성 ~와 관련있다.
인물 광진문화원 유적 아차산성 ~을 조사했다
인물 구리문화원 유적 아차산성 ~을 조사했다.
인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 아차산성 ~을 조사했다.
인물 도림 인물 장수왕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의 신하이다.
인물 도림 인물 개로왕 ~을 속였다.
인물 도림 개념 고구려 ~의 첩자이다.
인물 도림 기록 삼국사기 백제본기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뚝도출장소 장소 광진구 ~의 일부이다. 폐지됨. 모호
인물 망우출장소 장소 아차산 ~을 관할한다.
인물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유적 아차산성 ~을 조사했다.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유적 아차산성 ~을 조사했다.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기록 아차산성 ~을 발간했다.
인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기록 아차산성 ~을 발간했다.
인물 조선 세조 유적 영화사(永華寺) ~에서 기도를 드렸다.
인물 영양왕 인물 온달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
인물 온달 기록 삼국사기 열전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온달 인물 평원왕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의 신하이다.
인물 온달 유적 아단성 ~와 관련있다. 전사지로 추정된다.
인물 온달 설화 바보온달이야기 ~와 관련있다.
인물 온달 설화 온달설화,온달전 ~와 관련있다.
인물 온달 유적 구리 온달샘석탑 ~와 관련있다.
인물 온달 유적 온달산성 ~와 관련있다. 논란이 있다.
인물 온달 사건 온달장군추모제 ~와 관련있다.
인물 워커 장군 장소 워커힐호텔 ~와 관련있다.
인물 장수왕 인물 개로왕 ~와 적대관계이다.
인물 장수왕 기록 삼국사기 백제본기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장수왕 인물 도림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
인물 장수왕 사물 광개토대왕비 ~을 건립하였다.
인물 장수왕 개념 나제동맹 ~을 야기했다.
인물 장수왕 개념 신라,백제 ~와 적대관계이다.
인물 진흥왕 유적 아차산성 ~와 관련있다.~에서 싸웠다고 추정된다.
인물 책계왕 유적 아차산성 ~을 축조하였다.
인물 책계왕 기록 삼국사기 백제본기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평강공주 설화 바보온달이야기
인물 평강공주 기록 삼국사기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평원왕 기록 삼국사기 ~에 기록되어있다.
인물 평원왕 인물 삼국사기 열전 ~와 우호관계를 맺었다
기록 경기지(京畿誌)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관계 정의를 위해 '고려'와 '조선' 노드 임의로 삽입하였음
기록 경기지(京畿誌)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기록이 능동이 되는 경우 찾기 어려워 수동 관계 설정함
기록 고려사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고려사 장소 남행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고려사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조선시대
기록 고려사 인물 광개토대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삭제
기록 고려사 인물 장수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삭제
기록 고려사 유적 장한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여지도 장소 광진구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광나루->광진구(광진)
기록 대동여지도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명칭' 명료성, 의미성
기록 대동여지도 장소 용마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여지도 장소 망우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여지도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기록 대동지지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지지 장소 아차산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지지 장소 광진구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지지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대동지지 장소 용마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삭제
기록 대동지지 장소 망우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망우리
기록 대동지지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기록 삼국사기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장소 아차산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장소 아차산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개념 고려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책계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진평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평원왕
기록 삼국사기 인물 진흥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도림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개로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온달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평강공주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삼국사기 인물 평원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진평왕
기록 삼국사기 설화 온달장군 설화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세종실록 지리지 장소 아단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세종실록 지리지 장소 한강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세종실록 지리지 장소 광진구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광나루->광진구
기록 세종실록 지리지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장소 아차성(阿且城)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유적 아차산 봉수대지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장소 장한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장소 아차산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개념 조선 (어느 시대)~에 만들어졌다 조선시대
기록 조선고적조사보고자료 조선총독부 자료
기록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
기록 증보문헌비고 유적 양진고성(楊津古城) ~에 대한 기록이 있다
기록 증보문헌비고 유적 온달산성 ~에 대한 기록이 있다 단양 / 아차산성
사건 고구려 광개토태왕 축제 장소 한강시민공원 ~에서 열린다 "노드 삭제가 좋을 듯 (아차산과 직접적으로 연관 되는 것이 없음), 서울 같은 곳과의 관계성 분류"
사건 아차산 고구려축제 장소 광진구 ~에서 열린다 ~에 관련 있다 / 구체적으로 벌어지는 행위나 현상을 대응되게 애쓰는 것은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사건 아차산 토요 한마당 장소 아차산 생태공원 ~에서 열린다
사건 아차산 해맞이 축제 장소 아차산 해맞이광장 ~에서 열린다
사건 온달장군 추모제 장소 고구려 대장간마을 ~에서 열린다
사건 고구려 광개토태왕 축제 인물 광개토대왕 ~과 관련되어 있다 ~와 관련이 있다
사건 온달장군 추모제 인물 온달 ~과 관련되어 있다 "온달의 아버지에 대한 고증 (기록에 따른 다른 아버지)

"

사건 바보 온달 이야기 인물 온달 ~에 관련되어 있다 ~의 주요 인물이다 / ~의 대상이다 / ~소재이다
사건 온달 노래 인물 온달 ~에 관련되어 있다 ~의 주요 인물이다 / ~의 대상이다 / ~소재이다
사건 온달장군 설화 인물 온달 ~에 관련되어 있다 ~의 주요 인물이다 / ~의 대상이다 / ~소재이다
사건 온달전 인물 온달 ~에 관련되어 있다 온달에 대한 쟁론 여부
사건 바보 온달 이야기 기록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기록되어 있다 설화와 설화와의 관련성
사건 온달 노래 기록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인 위치 설명
사건 온달장군 설화 기록 한국구비문학대계 ~에 기록되어 있다 평강공주 이야기??? / 문화적 부산물?
사건 온달전 기록 삼국유사 ~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 삼국사기 비교, 삼국사기-삼국유사-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시간적인 흐름, 구비문학대계 관련한 경우는 각주로 추가적으로 수록 여부 , 위의 3개는 온달전을 기준으로 잡고 현대의 버전으로 부수적으로 설명"
사건 장한성가(長漢城歌) 기록 고려사 ~에 기록되어 있다 노드 : 평강공주
사건 장한성가(長漢城歌) 장소 아차산 ~에 관련되어 있다 ~의 주요 인물이다 / ~의 대상이다 / ~소재이다
사건 홍계관 설화 장소 아차산 ~에 관련되어 있다 ~의 주요 인물이다 / ~의 대상이다 / ~소재이다
사건 바보 온달 이야기 개념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졌다 정확한 제작년도가 밝혀지면 추가 요 / ~시기에 관련이 있다
사건 온달 노래 개념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졌다 시대를 이용한다면 ex.고구려시대
사건 온달장군 설화 개념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졌다 "제작시기에 관한 충돌 (구비문학대계 채록 / 실제 발생), 구비문학대계 관련하여서는 2차, 3차로 내릴 것"
사건 온달전 개념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졌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작 - 고려시대
사건 장한성가(長漢城歌) 개념 신라 ~시기에 만들어졌다 신라와 관련이 있다 o 신라 때 만들어졌다 x
사건 홍계관 설화 개념 조선 ~시기에 만들어졌다 관계 서술어가 너무 복잡함. 관계 서술어는 명료하게.
장소 아차산 기록 경기지(京畿誌) ~에 기록되어 있다.
장소 아차산 기록 삼국사기 ~에 기록되어 있다.
장소 아차산 기록 고려사 ~에 기록되어 있다.
장소 남행산 기록 고려사 ~에 기록되어 있다.
장소 살곶이 목장 기록 조선왕조실록 ~에 기록되어 있다.
장소 아차산 사건 아차산 고구려축제 ~을 행한다
장소 아차산(아치울마을) 사건 온달장군 추모제 ~을 행한다
장소 아차산 설화 홍계관 설화 ~전해진다
장소 살곶이 목장 유적 살곶이 다리 ~이 있다.
장소 살곶이 목장 유적 화양정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아차산성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용마봉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아차산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홍련봉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망우산 고구려 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수락산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시루봉보루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아차산 봉수대지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아차산 3층 석탑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유적 영화사 ~이 있다.
장소 남행산 장소 아차산 ~의 이칭이다
장소 아차산 장소 고구려정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온달샘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공기돌 바위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아차산 다비터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강신샘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아차산 생태공원 ~이 있다.
장소 아천동(경기도 구리시) 장소 고구려 대장간 마을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대성암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고구려 대장간 마을 ~이 있다.
장소 아차산 장소 워커힐 호텔 ~이 있다.
장소 구의동(서울시 광진구) 장소 아차산역 ~이 있다.
장소 용마산 장소 아차산 ~와 인접한다.
장소 용마산 장소 아차산 ~와 인접한다.
장소 왕숙천 장소 한강 ~와 인접한다. 행정구역과 교차
장소 중랑천 장소 한강 ~와 인접한다. 행정구역과 교차
장소 광진구 장소 서울특별시 ~에 속해 있다. -
장소 아차산 장소 구리시(경기도) ~에 일부겹친다 -
장소 아차산 장소 광진구(서울시) ~에 일부겹친다 -
장소 아차산 장소 광장동(서울시 광진구) ~에 일부겹친다 -
장소 아차산 장소 중곡동(서울시 광진구) ~에 일부겹친다 -
장소 아차산 장소 구의동(서울시 광진구) ~에 일부겹친다 -
장소 아차산 둘레길 장소 아차산 ~을 지나간다 -
장소 워커힐 둘레길 장소 아차산 ~을 지나간다 -
장소 장군봉 장소 용마봉 ~의 이칭이다 확인필요
개념 고구려 유적 아차산성 ~을 차지하였다 "유적과의 관계는 대체로 ~을 차지하였다 로 일반화시킬 수 있음"
개념 백제 유적 아차산성 ~을 차지하였다
개념 신라 유적 아차산성 ~을 차지하였다
개념 삼국시대 유적 아차산성 ~은 요충지였다
개념 삼국시대 장소 한강 ~은 요충지였다
개념 신석기시대 장소 아차산 ~에는 사람이 거주했다
개념 청동기시대 장소 아차산 ~에는 사람이 거주했다
개념 구석기시대 장소 아차산 ~에는 사람이 거주했다
개념 한북정맥 장소 아차산 ~을 포함한다
개념 신라 사물 '羅王'명 토기편 ~을 만들었다 ~을 만들었다로 일반화
개념 신라 사물 북한주'명 기와 ~을 만들었다
개념 나제동맹 개념 백제 ~가 멤버였다 ~가 멤버였다로 일반화
개념 나제동맹 개념 신라 ~가 멤버였다
개념 나제동맹 인물 장수왕 ~으로 인해 만들어졌다 "개념과 인물 클래스로 관련성을 맺기 위해서 ~이 있다 형식을 취함"
개념 고구려 인물 광개토대왕 ~이 있다
개념 신라 인물 개로왕 ~이 있다
개념 고구려 사건 아차산 고구려 축제 ~와 관련이 있다 관련성이 구체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사물 "북한주" 명 기와 유적 ? ~에서 발견되었다 어디에서 발견건된지 모르겠음
사물 庚子'명 토기편 유적 홍련봉2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광개토대왕 동상 장소 구리시 경관광장 ~에 있다
사물 광개토왕릉비 장소 중국 길림성 ~에 있다 사물로서의 광개토대왕비
사물 광개토왕릉비문 유적 아차산성 ~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비문 속 아차산성 내용이 주가 될때 클래스가 '기록'인 '광개토왕릉비문' 노드를 추가해야 하지 않을까?
사물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장소 구리시 경관광장 ~에 있다
사물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사물 광개토대왕 동상 ~의 근처에 있다
사물 羅王'명 토기편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대형 동이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시루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심발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완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직구호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시루봉보루 합 유적 시루봉 보루군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유적 아차산 3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구절판형 토기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귀잔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대옹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등자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장동호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재갈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지도형' 명 접시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창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도끼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투구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후부도형' 명 접시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보습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솥 유적 아차산 4보루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 왕벚꽃나무 유적 아차산성 ~에 있다
사물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유적 아차산성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보습 유적 아차산성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초두 유적 아차산성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아차산성 토우 유적 아차산성 ~에서 발견되었다
사물 "북한주" 명 기와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庚子'명 토기편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羅王'명 토기편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대형 동이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시루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심발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완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직구호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시루봉보루 합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구절판형 토기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귀잔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대옹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등자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장동호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재갈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지도형' 명 접시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창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도끼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투구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후부도형' 명 접시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보습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솥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보습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초두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아차산성 토우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사물 "북한주" 명 기와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장소'로서 의미 부여될때
사물 庚子'명 토기편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羅王'명 토기편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대형 동이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시루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심발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완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직구호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시루봉보루 합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구절판형 토기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귀잔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대옹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등자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장동호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재갈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지도형' 명 접시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창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도끼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투구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후부도형' 명 접시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보습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솥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보습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초두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아차산성 토우 장소 서울대학교 박물관 ~에 소장되어 있다
사물 "북한주" 명 기와 시대 ? ~시대의 유물이다 시대'도 필요하지 않을까?
사물 庚子'명 토기편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羅王'명 토기편 시대 신라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대형 동이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시루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심발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완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직구호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시루봉보루 합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구절판형 토기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귀잔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대옹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등자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장동호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재갈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지도형' 명 접시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창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도끼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투구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후부도형' 명 접시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보습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솥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성 인화문토기 시대 통일신라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보습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성 철제 초두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사물 아차산성 토우 시대 고구려 ~시대의 유물이다
유적 아차산성 개념 삼국시대 A는 B에 만들어졌다 삼국시대를 '개념class'보다 '시간class'처럼 보고 만든 relation.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개념 삼국시대 A는 B에 만들어졌다
유적 용마산3보루 개념 신라 A는 B와 관련된다 A는 B의 보루로 추정되므로, 관계성이 명확하지 않아서 isRelatedTo를 사용함.
유적 용마산6보루 개념 신라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용마산7보루 개념 신라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개념 고구려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차산봉수대지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차산봉수대지 기록 세종실록 지리지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장한성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장한성 기록 고려사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단성 기록 삼국사기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차산성 기록 삼국사기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양진고성(楊津古城) 기록 증보문헌비고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차성(阿且城) 기록 삼국사기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온달산성 기록 증보문헌비고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차산성 기록 대동지지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유적 아단성 기록 광개토왕릉비문 A가 B에 기록되어 있다 광개토왕릉비(사물) → 광개토왕릉비문(기록)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구절판형 토기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귀잔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대옹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등자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장동호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재갈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지도형' 명 접시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창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철제도끼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투구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아차산 4보루 '후부도형' 명 접시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사물 羅王'명 토기편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 3보루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아차산성 사물 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홍련봉2보루 사물 '庚子'명 토기편 A는 B의 발견지이다
유적 장한성 설화 장한성가(長漢城歌) A는 B의 소재이다 장한성은 장한성가의 주요 소재이나, 아단성은 온달전에서 언급되는 정도의 소재이므로 차별성을 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 같음
유적 아단성 설화 온달전 A는 B의 소재이다
유적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남문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남벽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동문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서문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서벽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연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우물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장대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집수시설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고구려 온돌건물지 유적 홍련봉 2보루 A는 B에 속한다
유적 고구려 온돌건물지 유적 아차산 4보루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보루군 목책 유적 아차산 4보루 A는 B에 속한다
유적 용마산 1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용마산 2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용마산 4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용마산 5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망우산1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보루군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시루봉보루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홍련봉보루군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1보루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2보루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3보루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5보루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속한다
유적 영화사 미륵석불입상 유적 영화사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성 장대지 유적 아차산성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보루 단야시설 유적 아차산3보루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보루 단야시설 유적 아차산4보루 A는 B에 속한다
유적 아차산 살곶이 목장 구획석 유적 아차산 보루군 A는 B에 인접해있다
유적 아차산 살곶이 목장 구획석 유적 용마봉 보루군 A는 B에 인접해있다
유적 아차산성 유적 장한성 A는 B와 관련된다 A는 B로 추정되므로, 관계성이 명확하지 않아서 isRelatedTo를 사용함.
유적 아단성 유적 아차산성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단성 유적 온달산성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차성(阿且城) 유적 아차산성 A는 B이다 A는 B의 이칭' 관계로, 곧 A와 B가 지칭하는 것은 같으므로 'A는 B이다'라고 보았음. 그러나 구체적인 관계설정이 필요한 것 같음.
유적 아차성(峨嵯城) 유적 아차산성 A는 B이다
유적 아단성 유적 아차성(阿且城) A는 B이다
유적 장한성 유적 아차성 A는 B이다
유적 양진고성(楊津古城) 유적 아차산성 A는 B이다
유적 구리 온달샘 석탑 인물 온달 A는 B에서 유래하다
유적 영화사 인물 의상대사 A는 B에 의해 만들어지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책계왕 A는 B에 의해 만들어지다
유적 아단성 인물 책계왕 A는 B에 의해 수축되다
유적 아차성(阿且城) 인물 책계왕 A는 B에 의해 수축되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차산 4보루 인물 서울대학교 박물관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시루봉 보루군 인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구리문화원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광진문화원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국립문화재연구소 A는 B에서 조사되다
유적 아단성 인물 개로왕 A는 B의 사망지이다
유적 영화사 미륵석불입상 인물 세조 A는 B와 관련된다 세조가 미륵석불입상 앞에서 기도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노드 사이의 관계성을 구체화하기 어려워 isRelatedTo로 표현함
유적 아차산성 인물 개로왕 A는 B와 관련된다 A는 B의 사망지로 '추정'되므로 그 관계성이 명확하지 않아 isRelatedTo를 사용함
유적 아단성 인물 온달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차산성 인물 온달 A는 B와 관련된다
유적 아차산 보루군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영화사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구리 온달샘 석탑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수락산 보루군 장소 수락산 A는 B에 있다
유적 아차산 봉수대지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용마봉 보루군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아차산 살곶이 목장 구획석 장소 아차산 A는 B에 있다
유적 아차산성 장소 한강 A는 B의 근처에 있다
유적 아차산성 장소 워커힐 호텔 A는 B의 근처에 있다
유적 아차산성 장소 광나루 A는 B의 근처에 있다
유적 아차산성 장소 구리시 A는 B에 걸쳐있다(일부 겹쳐있다) B를 '장소class'에서도 '행정class'로 좁혀줘야 성립할 수 있는 관계 같음. 또한, 'A는 B에 일부 겹쳐있다'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음.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장소 서울특별시 A는 B에 걸쳐있다(일부 겹쳐있다)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장소 광진구 A는 B에 걸쳐있다(일부 겹쳐있다)
유적 아차산 고구려보루군 장소 구리시 A는 B에 걸쳐있다(일부 겹쳐있다)
유적 아차산성 장소 고구려정 A는 B를 포함한다 고구려정'이 과연 장소class에 속하는지 고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