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계서원 KU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Bsbs36.gif

Meta Data

  • 한글명: 묵계서원
  • 지정: 경상북도민속자료 19호
  • 위치: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05


소개

묵계리 100m쯤 구 고갯길을 올라 왼쪽에 서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 건물은 보백당 김계행(1431~1517) 선생과 응계 옥고(1382~1436)선생을 봉향하는 서원으로 숙종 13년(1687) 에 창건되었다. 보백당 선생은 조선초기 성종때 대사성을 역임, 이조판서 양관대 제학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정헌공인 명헌이며 응계 선생은 세종때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바 있다. 고종 6년(1869)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뒤에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과 진덕문, 동재 건물 등을 복원하였다. 또한 서원 옆에 보백당 선생 신도비와 비각을 건립했다. 강당은 정면 5간 축면 2간의 팔작기와 지붕건물로 가운데 3간을 마루로 꾸미고, 좌우에 온돌을 들인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서원 좌측에는 이를 관리하는 정면 6간 축면 5간의 ′ㅁ′자형 주사 가 있다. 서원에서 멀지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묵계종택이 자리잡고 있다. 종택내에는 보백당이 있는데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제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묵계리에서 ′묵계새마을교′ 를 건너 하리 골짜기길을 따라 500m쯤 가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만휴정이 있는데 그 아래로 떨어지는 폭포가 장관이다. 정자에는 만후정 현판외에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 이란 선생의 유훈 및 류도원, 김굉, 김도행, 정박 , 이돈우, 김양근공 등 명망이 있는 분들의 시판과 김양근공의 중수기가 게판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