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1790년(正祖 14) 庚戌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178회 1790년(正祖 14) 庚戌 增廣試 進士:『崇禎三庚戌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9-70])

178회 1790년(正祖 14) 庚戌 增廣試 進士:『崇禎三庚戌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9-70])
시험년 왕대년 간지 시험명 등급 등위 진사시 합격자(126) 본관 거주지
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1등(一等) 1위[壯元] 서준보(徐俊輔) 대구(大丘) 한성([京])
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1등(一等) 2위 임이주(任履周) 풍천(豊川) 한성([京])
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1등(一等) 3위 한우규(韓羽奎) 청주(淸州) 충주(忠州)
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1등(一等) 4위 정겸용(鄭謙容) 동래(東萊) 한성([京])
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1등(一等) 5위 최복언(崔福彦) 삭녕(朔寧) 만경(萬頃)
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위 이상발(李祥發) 영천(永川) 의성(義城)
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위 윤종기(尹宗基) 파평(坡平) 한성([京])
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3위 임창진(林昌鎭) 나주(羅州) 한성([京])
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4위 김종헌(金宗憲) 안동(安東[舊]) 의성(義城)
1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5위 정면수(鄭冕綏) 동래(東萊) 한성([京])
1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6위 이의빈(李義彬) 전주(全州) 광주(廣州)
1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7위 남이규(南履奎) 의령(宜寧) 한성([京])
1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8위 심노숭(沈魯崇) 청송(靑松) 한성([京])
1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9위 이서(李舒) 전주(全州) 한성([京])
1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0위 이경구(李經九) 전주(全州) 한성([京])
1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1위 권대관(權大觀) 안동(安東) 포천(抱川)
1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2위 심응규(沈應奎) 청송(靑松) 한성([京])
1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3위 박종경(朴宗慶) 반남(潘南) 한성([京])
1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4위 윤광렬(尹匡烈) 해평(海平) 한성([京])
2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5위 신현록(申顯祿) 고령(高靈) 청주(淸州)
2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6위 박종귀(朴宗龜) 반남(潘南) 한성([京])
2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7위 신계(申綮) 평산(平山) 한성([京])
2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8위 유식(柳栻) 진주(晉州[土]) 상주(尙州)
2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19위 오삼환(吳參煥) 보성(寶城) 청주(淸州)
2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0위 고시훈(高時勳) 장흥(長興) 부안(扶安)
2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1위 황기한(黃夔漢) 창원(昌原) 풍기(豊基)
2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2위 김재준(金載駿) 연안(延安) 한성([京])
2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3위 홍석휴(洪錫休) 남양(南陽[唐]) 충주(忠州)
2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4위 임성진(林星鎭) 나주(羅州) 한성([京])
3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2등(二等) 25위 장최형(張最炯) 결성(結城) 개성(開城)
3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위 조시언(趙時彦) 배천(白川) 순천(順川)
3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위 김약검(金若儉) 경주(慶州) 진잠(鎭岑)
3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위 이기오(李起五) 단양(丹陽) 중화(中和)
3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위 박종현(朴宗鉉) 반남(潘南) 나주(羅州)
3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위 김경(金坰) 광산(光山) 한성([京])
3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위 심계지(沈繼之) 청송(靑松) 한성([京])
3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위 정재원(鄭載遠) 광주(光州) 양주(楊州)
3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위 배우(裵祐) 성산(星山) 성주(星州)
3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위 원담(元墰) 원주(原州) 천안(天安)
4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0위 김상유(金相裕) 김해(金海) 해주(海州)
4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1위 정이용(鄭履容) 동래(東萊) 한성([京])
4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2위 신초(申𣟶) 평산(平山) 제천(堤川)
4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3위 조기석(趙箕錫) 평양(平壤) 남양(南陽)
4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4위 이재안(李在安) 전주(全州) 한성([京])
4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5위 김경욱(金慶郁) 연안(延安) 정주(定州)
4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6위 이경회(李敬會) 광주(廣州) 충주(忠州)
4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7위 이하운(李河運) 함평(咸平) 용인(龍仁)
4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8위 서유진(徐有鎭) 대구(大丘) 한성([京])
4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19위 유맹주(兪孟柱) 기계(杞溪) 한성([京])
5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0위 민명혁(閔命爀) 여흥(驪興) 여주(驪州)
5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1위 장칙(張侙) 단양(丹陽) 한성([京])
5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2위 윤행간(尹行簡) 파평(坡平) 한성([京])
5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3위 이동만(李東萬) 전주(全州) 한성([京])
5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4위 이심도(李審度) 한산(韓山) 청주(淸州)
5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5위 이존수(李存秀) 연안(延安) 한성([京])
5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6위 김관해(金觀海) 김해(金海) 강서(江西)
5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7위 윤영기(尹榮基) 파평(坡平) 고부(古阜)
5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8위 서재수(徐在修) 대구(大丘) 한성([京])
5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29위 심능악(沈能岳) 청송(靑松) 한성([京])
6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0위 홍수준(洪秀俊) 남양(南陽[唐]) 한성([京])
6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1위 이소구(李韶九) 전주(全州) 한성([京])
6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2위 이종하(李鍾夏) 연안(延安) 한성([京])
6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3위 한용면(韓容冕) 청주(淸州) 한성([京])
6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4위 하서복(河瑞復) 진양(晉陽) 강릉(江陵)
6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5위 이제현(李躋賢) 양성(陽城) 지평(砥平)
6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6위 이노익(李魯益) 덕수(德水) 한성([京])
6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7위 이정복(李正馥) 남포(藍浦) 가산(嘉山)
6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8위 권도성(權度星) 안동(安東) 원주(原州)
6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39위 김기(金玘) 안동(安東[舊]) 한성([京])
7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0위 조정규(趙正逵) 양주(楊州) 안산(安山)
7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1위 차수겸(車守謙) 연안(延安) 경성(鏡城)
7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2위 박대권(朴大權) 울산(蔚山) 옥천(沃川)
7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3위 윤치중(尹致中) 해평(海平) 한성([京])
7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4위 한광절(韓光晢) 청주(淸州) 원주(原州)
7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5위 정존대(鄭存大) 동래(東萊) 한성([京])
7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6위 심윤지(沈允之) 청송(靑松) 한성([京])
7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7위 윤완(尹浣) 파평(坡平) 한성([京])
7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8위 장익렬(張益烈) 안동(安東) 평양(平壤)
7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49위 서노수(徐潞修) 대구(大丘) 한성([京])
8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0위 이성검(李誠儉) 전주(全州) 한성([京])
8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1위 정명의(鄭銘毅) 해주(海州) 진주(晉州)
8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2위 유신근(柳信根) 전주(全州) 한성([京])
8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3위 하진백(河鎭伯) 진양(晉陽) 진주(晉州)
8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4위 최종일(崔宗一) 전주(全州) 강서(江西)
8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5위 이화연(李華延) 연안(延安) 충주(忠州)
8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6위 성영우(成永愚) 창녕(昌寧) 한성([京])
8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7위 이한덕(李漢德) 전주(全州) 한성([京])
8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8위 이택(李澤) 덕수(德水) 수원(水原)
8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59위 홍시걸(洪始傑) 남양(南陽[唐]) 양성(陽城)
9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0위 원재명(元在明) 원주(原州) 한성([京])
9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1위 정사권(鄭思權) 하동(河東) 하동(河東)
9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2위 이문유(李文裕) 경주(慶州) 석성(石城)
9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3위 이도익(李度翼) 연안(延安) 한성([京])
9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4위 허간(許暕) 양천(陽川) 양주(楊州)
9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5위 임귀진(林龜鎭) 나주(羅州) 나주(羅州)
9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6위 박사신(朴思臣) 밀양(密陽) 대구(大丘)
9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7위 권응석(權應錫) 안동(安東) 한성([京])
9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8위 임희계(任希季) 풍천(豊川) 한성([京])
9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69위 심로(沈潞) 청송(靑松) 예산(禮山)
10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0위 이인협(李寅恊) 전주(全州) 한성([京])
10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1위 오수(吳琇) 동복(同福) 여주(驪州)
10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2위 김달성(金達聲) 무장(茂長) 장연(長淵)
10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3위 박창수(朴昌壽) 반남(潘南) 한성([京])
10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4위 박곤(朴錕) 울산(蔚山) 대흥(大興)
10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5위 김윤(金玧) 예안(禮安) 개성(開城)
10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6위 최봉우(崔鳳羽) 전주(全州) 선산(善山)
10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7위 이심영(李心永) 아성(牙城) 천안(天安)
10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8위 박수민(朴秀敏) 밀양(密陽) 성주(星州)
10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79위 이헌호(李憲祜) 용인(龍仁) 한성([京])
11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0위 이재양(李載陽) 요산(遼山) 황주(黃州)
11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1위 김형택(金亨澤) 광산(光山) 강화(江華)
11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2위 황장한(黃章漢) 창원(昌原) 풍기(豊基)
11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3위 황사영(黃嗣永) 창원(昌原) 한성([京])
11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4위 이유강(李儒綱) 함평(咸平) 양주(楊州)
11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5위 양종익(梁宗杙) 남원(南原) 영흥(永興)
11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6위 이정빈(李禎彬) 덕수(德水) 원주(原州)
117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7위 성인묵(成仁默) 창녕(昌寧) 춘천(春川)
118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8위 윤영길(尹永吉) 파평(坡平) 광주(廣州)
119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89위 유광배(柳光培) 삭녕(朔寧) 상주(尙州)
120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0위 최재현(崔在鉉) 삭녕(朔寧) 한성([京])
121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1위 신병(申秉) 고령(高靈) 한산(韓山)
122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2위 권옥성(權玉成) 안동(安東) 평강(平康)
123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3위 오익철(吳翼喆) 해주(海州) 연안(延安)
124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4위 이천용(李天用) 진주(晉州) 성천(成川)
125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5위 정지춘(鄭芝春) 연안(延安) 정평(定平)
126 1790 정조 14 경술 증광시(增廣試) 3등(三等) 96위 홍중섭(洪重燮) 남양(南陽[唐]) 익산(益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