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사마 설행회수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마 설행회수

조선시대 생원진사시는 총 230회[1] 실시되었다. 조선 전기 1393년(태조 2)부터 1451년(문종 1)까지 생원시가 22회 열릴 동안 진사시는 4회만 거행되었고, 18차례 設行되지 않았다. 그래서 생원시는 230회, 진사시는 212회가 거행되었다.

조선전기 생원시와 진사시 설행 회수
시험년 왕대년 간지 시험명 생원장원 선발 진사장원 선발
1 1393 太祖 2 癸酉 式年試 尹尙信 132 朴安信 102
2 1396 太祖 5 丙子 式年試 李隨 99 ×
3 1399 定宗 1 己卯 式年試 徐彌性 100 徐晉 100
4 1401 太宗 1 辛巳 增廣試 趙從生 100 ×
5 1402 太宗 2 壬午 式年試 閔無悔 100 ×
6 1405 太宗 5 乙酉 式年試 趙瑞老 100 ×
7 1408 太宗 8 戊子 式年試 尹粹 100 ×
8 1411 太宗 11 辛卯 式年試 權克和 100 ×
9 1414 太宗 14 甲午 式年試 趙瑞康 100 ×
10 1417 太宗 17 丁酉 式年試 權採 100 ×
11 1419 世宗 1 己亥 增廣試 成以儉 100 ×
12 1420 世宗 2 庚子 式年試 閔瑗 100 ×
13 1423 世宗 5 癸卯 式年試 南季瑛 100 ×
14 1426 世宗 8 丙午 式年試 辛石堅 100 ×
15 1429 世宗 11 己酉 式年試 庾智 100 ×
16 1432 世宗 14 壬子 式年試 鄭昌 100 ×
17 1435 世宗 17 乙卯 式年試 南輊 100 ×
18 1438 世宗 20 戊午 式年試 崔淸江 100 申叔舟 100
19 1441 世宗 23 辛酉 式年試 李石亨 100 李石亨 100
1444* 世宗 26 甲子 式年試 李瓚 × 韓伯倫 ×
20 1447 世宗 29 丁卯 式年試 卓中 200 ×
21 1450 文宗 0 庚午 式年試 洪叔阜 100 ×
22 1451 文宗 1 辛未 增廣試 孫舜孝 100 ×
* 1444년(세종 26) 사마시는 罷榜이 되어서 시험회수에서 제외하였다.


최진옥(1998)은 사마방목의 존재 형태를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국가에서 간행한 것, 둘째는 문집에 수록된 경우, 셋째는 후손에 의해서 重刊된 방목이다.[2]
현전하는 사마시는 230회 중 생원시는 193회로 약 84%정도이고, 진사시는 212회 중 191회로 약 90%정도가 전해지고 있다. 현전하는 사마방목 193회는 방목명과 소장처를 명기하여 “조선시대 사마방목 목록”으로 위키 사이트에 올려 두었다.
1546년(명종 1) 이후에 실전된 방목은 현재 3회분이다. 3회분 방목은 1546년(명종 1) 병오 증광시, 1601년(선조 34) 신축 식년시, 1735년(영조 11) 을묘 식년시 사마방목이다.

시기별 현전하는 사마방목
범위 연한 시험회수 현전 실전 비고
1393(태조 2)~1543(중종 38) 151 57 23 34 40.40%
1546(명종 1)~1723(경종 3) 178 88 86 2 97.70%
1725(영조 1)~1894(고종 31) 170 85 84 1 98.80%
전체 230 193 37 83.90%


▷ 1. 사마 단회방목
▷ 2. 사마 설행회수
▷ 3. 생원‧진사 합격자수


▷ 1. 문헌 자료 아카이브의 구현 목적
▷ 2. 과거의 由來
▷ 3. 고려문과방목 조사 분석
▷ 4. 문과방목 조사 분석
▷ 5. 무과방목 조사 분석
▷ 6. 사마방목 조사 분석
▷ 7. 잡과방목 조사 분석

  1. 崔珍玉, 앞의 책(1998), 21쪽.
  2. 최진옥, 앞의 책(1998), 23~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