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LDC(2023)Research3

red

김호수 KU20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6월 26일 (월) 02:10 판 (데이터 목록)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3) 강의 페이지로 가기


성시전도시에 묘사된 동물들과 그 문화적 맥락

-조선시대 동물의 사회적 쓰임에 관하여-




목차

Contents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데이터 연구결과 연구소감 참고자료



연구 목적


2023년 4월 4일, 거대양당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동물을 물건으로 규정하는 민법 조항을 4월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바꾸는 데 합의했다. [1]국민들의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여, 현행법상 물건에 불과한 동물의 법적 지위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1만 년 전 신석기 시대에 인류가 처음으로 야생동물의 가축화에 성공한 이후 끊임없이 변화해 온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를 실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역사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과연 어떠했을까. 본 연구는 우리 역사에서의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성시전도시」를 살펴본다. 「성시전도시」는 1792년 정조가 신하들에게 지어 올리도록 한 일백운의 칠언고시이며, 현재까지 13종의 작품이 알려져 있다. 「성시전도시」에는 당시 한양의 자연경관을 비롯해 풍속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이 드러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현들에 의거하여 당대의 사람들이 동물을 어떻게 인식하고 다루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정조의 명을 받아 지어진 「성시전도시」 13종을 살펴 본다. 「성시전도시」 13종은 아래와 같다.

작가 작품
이덕무 「城市全圖 七言古詩百韻」
박제가 「城市全圖應令」
신택권 「城市全圖 擬應製 百䪨古詩」
신관호 「奉和 禁直諸臣城市全圖應制百䪨」
신광하 「御題御批 城市全圖七言百約古詩初試壯元親試御考書下有聲畵三字」
이만수 「城市全圖百韻文臣應製」
이집두 「城市全圖 七言百約古詩 潭善大夫前行承政院右承旨臣李集斗製進」
정동간 「城市全圖 七言百約古詩」
김희순 「城市全圖」
유득공 「城市全圖應製御評都是畵, 春城遊記」
서유구 「城市全圖 試券」
이희갑 「城市全圖 百約」
이학규 「城市全圖 一百韻」




연구 방법


13종의 성시전도시에 언급되는 동물을 모두 연구한다.

  • 연구방법론

    1. 기술적 방법

      작품에 언급되는 동물을 종별로 분류하고, 그 동물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어떤 쓰임을 가지는지 조사한다. 가령 ‘용’이라는 동물은 상상 속의 동물로서 지형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고, ‘갈치’라는 동물은 시장에서 식품으로 거래되는 동물로서 당대의 풍속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다.

      2023년 4월 26일 기준으로 이덕무의 「城市全圖 七言古詩百韻」와 박제가의 「城市全圖應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상태이며, 학기 중에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2. 논리적 방법

      작품에 쓰이는 동물을 분석하되, 여러 맥락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동물에 주목한다. 특히, 종별 분류에서 같은 종으로 분류한 동물이 다른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에 주목한다. 이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 같은 종이 다른 표현으로 등장하는 경우
        가령 같은 '말'임에도 '말'로 작품에 등장하는 경우와 '준마'로 작품에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품종에 차이가 있는 것인지, 같은 품종임에도 다른 사육 환경 등 다른 사회적 맥락에서 다루어짐으로써 다른 표현으로 다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같은 종이 같은 표현으로 등장하지만 다르게 다루어지는 경우
        가령 '백로'의 경우 한가로운 자연 풍경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지배적이나, '백로'의 배설물로 인해 소나무가 죽는 모습을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당시 해당 동물이 어떻게 인식되고 다루어졌는지 등을 연구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데이터 샘플링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클래스(Class)

명칭(name) 설명(description)
Poem 성시전도시 작품 13종
Line 각 성시전도시 작품 속 7언으로 이루어진 개별 시구
Expression 개별 시구를 1글자 이상으로 분절한 시구


관계(Relation)

관계정의 관계어(name) 설명(description) 자원(source) 대상(target)
부분으로 갖다 hasPart 작품과 해당 작품의 시구 간 포함 관계 Poem Line
시구와 해당 시구의 표현 간 포함 관계 Line Expression
가리키다 refers 작품의 구체적인 표현이 어떤 동물을 가리키는지 Expression Animal


속성(Attributes)

속성(name) 설명(description) 클래스(class) 예시
id 성시전도시 13종에 대한 개별 작품의 식별값 All PM001
name 개체데이터의 대표명 All 성시전도시_김희순
korname 개체데이터의 한글명 Poem 성시전도
chiname 개체데이터의 한자명 Poem, Animal 城市全圖, 龍
originalText 개별 시구의 원문 Line 九五飛龍吾王是
transText 개별 시구의 번역문 Line 구오의 비룡 바로 우리 임금이시네
sort 개별 동물의 분류 기준 Animal 포유류, 조류, 상상 속의 동물
description 시어의 의미 및 작품에서의 기능 Expression, Animal 구오의 비룡, 임금 찬양
use 개별 동물의 사회적 쓰임새 Animal 운송 수단, 애완 동물
method 작품에서 동물을 표현하는 방식 Animal 직접 표현, 주변어 활용
referenceURL 시어에 대한 부가 설명 및 주석 Animal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


연구 데이터


데이터 수집 방법

단행본 『성시전도시로 읽는 18세기 서울 - 13종 성시전도시 역주』에 나와있는 성시전도시 작품 13종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목록



데이터 목록은 구글 스프레드시트 '성시전도시 Dataset'에 정리함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hHIjQAS_1G6IipQonFtVJOJUeo1p7boprNhALydb0ms/edit#gid=0


Visualization


전체적인 데이터 목록의 시각화 자료


[3] 노란색이 작품(Poem), 분홍색이 시구(Line), 초록색이 분절 시구(Expression), 회색이 동물(Animal)


시각화 자료의 구체적 예시




연구 결과


(데이터 분석 내용에 관해 서술)

연구 소감


(연구를 진행한 소감에 관해 서술)

참고 자료


(참고자료가 있을 경우, 여기에 목록으로 정리)


주석


  1. https://newspim.com/news/view/20230404000430
  2. Match(n) return n
  3. Match(n) return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