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Battle of Hong Kong

red

SKKU최연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22일 (화) 22:57 판

Battle of Hong Kong 웹사이트 가기

Who 누가

연구책임자

Kwong Chi Man.jpg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자(PI, Principal Investigator)인 Kwong Chi Man은 홍콩침례대학교(Hong Kong Baptist University)의 사학과(Department of History) 부교수로 홍콩 주둔 영국군, 중국 및 동아시아 근대사, 근대 군사사(軍事史)를 주 연구 분야로 한다. 보다 자세한 연구 성과는 홍콩침례대학교 교수진 소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본 프로젝트 관련 연구성과는 Battele of Hongkog 사이트의 프로젝트 소개페이지 내 목록(The related works previously published by the research team)으로 제시되어있다.

참여 연구진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연구진은 총 15명으로 명시되어있으며, 목록은 아래와 같다. 참여 연구진 외 기여자(Contributors)는 별도 목록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사이트 소개페이지 내 Contributors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름 소속
Dr. Kwong Chi Man History Department,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Dr. Tony Banham Reyner Banham Consulting
Rebekah Wong Digital Initiatives and Research Cluster, University Library,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Rusty Tsoi
Dr. Javier Cha
Ken Ng
Joe Wong Gunter
Kenneth Chan
Lego Cheung
Joey Chan Digital Initiatives and Research Cluster, University Library,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Rosana Wong
Peter Tam
Kater Yip
Tommy Tong
Zoe Ngai

When 언제

Kwong Chi Man의 연구팀은 2011년부터 홍콩 전투(Battle of Hong Kong, 1941년 12월 8~25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영국과 미국, 일본, 호주 등 전세계 각지로부터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홍콩침례대학교 사학과 프로젝트 일람에는 공식 프로젝트 개시일이 2021년 4월 1일, 종료일이 2021년 9월 1일로 명시되어있다.

Where 어디서

연구책임자인 Kwong Chi Man 교수가 홍콩침례대학교 사학과 부교수라는 점, 그리고 해당 프로젝트가 홍콩침례대학교 사학과 프로젝트로 해당 학교 홈페이지에 명시되어있는 점 등을 고려했을때, 연구는 홍콩침례대학교 사학과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What 무엇을

본 프로젝트는 태평양 전쟁 최초의 전투였던 홍콩전투(Battle of Hong Kong, 1941년 12월 8~25일)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진주만 공격과 같은 날, 일본 제국의 군대가 선전포 없이 영국의 왕령식민지였던 홍콩을 기습 공격하며 개시된 홍콩 전투는 홍콩 지역에서 발생한 두 개의 무장된 정규군 병력간 충돌 중 최대규모로, 약 3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일본군은 영국군, 인도군, 캐나다군, 그리고 홍콩 현지병력 약 13,500명으로 구성된 주둔군의 거센 저항에 직면하였다. 일본군과 주둔군의 KIA(전사), WIA(전상, 戰傷), MIA(전시행방불명) 포함 사상자 규모는 각각 3,445 명과 2,218 명에 이르렀으며 민간인 사상자 역시 4,000명 가량에 달했다. 해당 전투 이후 홍콩은 약 3년 8개월간 일본의 식민통치 아래 놓이게 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영문 위키피디아 참조)

활용된 자료는, 영국, 미국, 일본, 호주 등에서 소장기관의 협력 하에 데이터를 제공받은 것으로 설명되어있으며, 구체적인 자료 목록과 소장기관은 사이트 설명 페이지의 참조문헌(Bibliography)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How 어떻게

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기반으로 홍콩전투 관련 정보 및 이차세계대전 중 영국군의 홍콩 내 군사 주둔 정보를 웹 지도 형태로 구축하였다. 지도는 아래와 같이 총 일곱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어있다.

부대 배치(Unit disposition)

홍콩전투의 군사작전을 총 51개의 "타임스템프(time-steps)"로 분할한 뒤, 각 타임스템프별 영국군과 일본군 양측의 부대배치를 보여준다.

Map1.jpg

영국군은 파란색, 일본군은 붉은색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보이며(이 부분에 대해 명확히 규정된 내용은 찾지 못했으나, 각 아이콘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각 아이콘을 누르면 부대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정보출처가 우측 탭으로 표기된다. 화면 아래의 타임라인을 통해 시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타임라인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좌측 탭으로 표시된다.

이 중 부대 관련 정보는 병력의 종류(보병, 포병, 해군, 보급 등)와 사용 무기(기관총, 대 탱크 화기, 곡사포/대포 등), 전함, 전투기, 폭격기, 장갑차 등 상세정보를 아래와 같은 그래픽 아이콘으로 표기하였다.

UnitList1.png UnitList2.png UnitList3.png

또한 각 부대의 규모와 명령계통(command level)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표기법에 따라 아래와 같은 아이콘을 통해 division, brigade, regiment, battalion, company (battery), platoon, section 등 총 7가지 아이콘으로 표기하였다.

UnitSize.png

두 가지 아이콘 표기법 중 어떤 것을 사용해 시각화할지는 지도의 좌측 "부대 상징(Unit Symbols)" 메뉴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군사 시설물의 위치(The location of various military structures)

해안 방어진(coastal Defence batterie), 대공 방어진(anti-aircraft batteries), 사격진지(pillboxes), 군사본부, 대피소, 의료소(medical posts), 통신선(communication lines), 폭격지점(demolition points), 사전배열된 포격목표(pre-arranged artillery targets) 등을 포함

Map2 2.jpg

왼쪽 메뉴를 통해 원하는 종류의 시설물을 선택해서 볼 수 있다.

전쟁의 얼굴(Faces of War)

실제 전투를 경험했던 사람들

Map3.jpg

전투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가 해당 참여자가 참여한 전투의 발생 위치 위에 표시되며, 각 인물의 사진 및 생애, 전투 당시 지위 등의 정보를 우측 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쟁의 사물(Objects of War)

무기, 차량, 전투기, 선박, 개인장비 등 전투와 관련된 사물들

Db1.jpg

해당 정보의 경우, 지도 위에 표시되지 않고 별창으로 열리는 전투정보검색(Battle Data Search)을 통해 검색하거나, 해당 카테고리를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전쟁의 이미지(Images of War)

홍콩전투 당시 찍힌 사진들

Map4.jpg

전투 당시에 찍힌 사진들이 해당 사진에 찍힌 사물이 있는 위치 위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아이콘을 누르면 우측 탭을 통해 구체적인 이미지와 관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부대(Units)

전투에 참여한 양측의 부대에 관한 정보. 전쟁의 사물(Objects of War) 레이어와 마찬가지로, 지도 위에 표시되지 않고 별창으로 열리는 별창으로 열리는 전투정보검색(Battle Data Search)을 통해 검색하거나, 해당 카테고리를 눌러 확인할 수 있다.

홍콩 전투원들의 목록(A list of Hong Kong combatant)

전투에 참여한 다양한 인종과 배경의 홍콩 주민 1,600명에 대한 개인정보. 전쟁의 사물(Objects of War), 부대(Units) 레이어와 마찬가지로, 지도 위에 표시되지 않고 별창으로 열리는 별창으로 열리는 전투정보검색(Battle Data Search)을 통해 검색하거나, 해당 카테고리를 눌러 확인할 수 있다.

Why

최근 수년간 실제 홍콩전투를 경험한 사람들의 기억 등 보다 다양한 출처의 자료들이 발굴되었으나, 연구자들은 홍콩전투를 시간적, 공간적 차원에서 보여주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각 시간 및 공간과 주요 사건, 실제 사람들의 경험, 홍콩 내에 지금도 존재하는 전투의 유적(ruins)을 연결시키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주둔군이 사용하던 방어시설들의 상당수는 1950년대 영국이 홍콩에서 철수한 이후, 민간에 의해 점거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홍콩 정부에 의해서 철거되었으나, 여전히 홍콩 전투의 유적 일부는 그대로 남아있으며, 그 중 일부는 거의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되어 있다. 종종 도심지역에서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한 이들 유적은 시민자들과 방문자들이 홍콩의 역사적 경험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국제사회 내에서 홍콩의 역할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공간 역사(spatial history) 프로젝트 '홍콩 1941'은 GIS 기반으로 홍콩 전투에 대한 웹 앱과 제2차세계대전 당시 홍콩 내 영국군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교육자들과 관광객, 유적 보존 전문가(conservation professionals)들에게 사용하기 쉬운 역사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Comment 논평

기획의도에서도 나타나듯,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인 편이라 사전지식 없이도 좌측 메뉴를 통해 보고자 하는 정보를 쉽게 선택해서 볼 수 있고, 하단의 타임라인을 이동하며 아이콘의 배치를 비교해 보면 전투의 진행에 따른 영국군과 홍콩군의 부대 배치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좌측 텝을 통해 해당 타임라인에 발생한 사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점 역시 장점으로 보인다.

다만, 각 시간과 공간을 전투 중 주요 사건, 실제 사람들의 경험, 홍콩에 남아있는 실제 유적과 연결한다는 의도를 생각했을때, 사건에 대한 설명이 매우 간결해 각 사건의 구체적 내용과 정치적, 외교적 맥락, 향후 홍콩전투 및 제2차세계대전 전개에 있어서의 영향 등을 거의 파악하기 어려운 것은 아쉬운 점이다. 실제 사람들의 경험 역시, 별창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전투원들의 이름과 소속, 간단한 약력 정도가 제공될 뿐이라 전투 당시 상황에 대한 회고 등이 위치정보 및 타임라인과 매칭돼 우측 탭을 통해 확인 가능했다면 기획 의도가 보다 잘 실현될 수 있었을 것이다. 유적의 경우, 일부 군사시설이 우측 탭을 통해 사진 정보를 제공하는데, 많은 수가 위성 사진이라 실제 해당 유적을 방문한 시민이나 관광객들이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유적의 현재 모습에 대한 사진 기록을 첨부할 수 있도록 했다면 데이터베이스가 한층 풍성한 형태로 확대될 수 있었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