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논어를 통한 사과(四科)의 정의와 제자들의 성향 고찰

red

Snu김용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30일 (월) 02:31 판

탐구의 목적

탐구 방법 및 결과

자료의 구성 요소

최종 데이터 구성요소(node 및 relation 단어 설명)
변수명(Variable) 속성(Property) 세부사항(Detail)
Term korname, chiname 사과(덕행,언어,정사,문학)로 구성돼 있다.
Category korname, chiname 총 22개의 카테고리가 있으며 사과의 의미를 표현해주는 단어로 볼 수 있다. 덕행 10개, 언어 3개, 정사 6개 문학 3개로 구성돼 있다.
Part_Chapter korname, chiname 편과 장사이의 연결들을 없애고 하나의 편장 변수를 설정하였다. 논어 구성의 형식적인 측면에 얽매이지 않고 context적인 의미, 맥락에 집중해 분석해보기 위해서 편장 연결을 제거하였다.
Person korname, chiname, sex, country 공자 한 명과 총 20명의 제자로 구성돼 있다. 단순히 논어에 언급된 모든 제자가 아니라 사과와 연관되서 나타나는 제자들만을 포함하였다.
birthyear, deathyear 해당 인물의 출생연도와 사망연도이다. 제자와 공자간의 나이 비교, 공자 사후 제자들을 알아볼 수 있다.
middlename 해당 인물의 '자'를 나타낸다. 논어에서 이름과 '자'를 혼용해서 쓰기에 인물의 '자'를 알아야 한다.
succeed 해당 인물이 출세, 정사에 관여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appearance 해당 인물이 논어에서 총 몇 번 등장했는지를 알려준다.
Section context 해당 구절의 주요 내용을 나타낸다. 카테고리로 표현돼 있는 단어를 문장으로 좀 더 구체화해서 보여준다. 카테고리로는 행위의 본질만을 주요하게 나타낼 수 있고 부분적으로나마 행위의 맥락을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행위의 맥락을 구체화하기 위해 context를 설명해준다.
form 해당 구절의 형식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현재 구축해놓은 그래프데이터 구조상 relation 관계단어만으로는 구절, 대화의 형식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form 속성을 넣어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낸다.
nuance 제자와 관련해서 긍정적으로 본 부분은 positive, 부정적인 분위기는 negative, 그리고 마지막으로 neutral은 그 이외의 것들(제자와 상관없는 단순한 공자의 말씀과 같은 경우)로 구성하였다.
four 덕행은 1, 정사는 2, 문학은 3, 언어는 4로 표현하였다. 이 속성을 설정한 이유는 하나의 편장에 사과의 의미가 2개 이상 담긴 구절들이 있어서 그 구절들을 따로 나눠서 관찰하다보니 query 작성시 보고자하는 사과와 관련없는 구절이 추출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구절들의 사과 속성을 정의해줌으로써 query 작성 혼란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됐다.
relation means Term과 Category를 연결할 때 쓰였으며 'Term' means 'Category'로 쓰였다.
mentioned Category와 Part_Chapter를 연결할 때 쓰였으며 'Category' mentioned 'Part_Chapter'로 쓰였다
contains Part_Chapter와 Section을 연결할 때 쓰였으며 'Part_Chapter' contains 'Section'로 쓰였다.
say Person과 Section을 연결할 때 쓰였으며 'Person' say 'Section'로 쓰였다. 제자 위주로 먼저 구절의 대화형식을 판단했고, 제자가 등장하지 않는 경우 공자로 대화형식을 판단했습니다. say는 Person이 말을 할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공자가 단순히 말씀할 때 공자 say, 안회가 말을 할 때 안회 say로 설정하였다.
ask Person과 Section을 연결할 때 쓰였으며 'Person' ask 'Section'로 쓰였다. ask는 Person이 물어본 것일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안회가 질문하고 공자가 이를 대답할 때, 안회 ask로 설정하였다.
talk Person과 Section을 연결할 때 쓰였으며 'Person' talk 'Section'로 쓰였다. talk는 Person을 포함하여 둘 이상이 서로 대화를 할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공자와 재여가 삼년상에 대해서 논할 때 재여 talk로 설정하였다.
mentioned Person과 Section을 연결할 때 쓰였으며 'Person' mentioned 'Section'로 쓰였다. mentioned는 Person이 평가를 받을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안회가 공자에게 인하다고 평가받을 때 안회 mentioned로 설정하였다.

사과에 따른 분류

방법론

카테고리 설정은 크게 2가지 방향에서 접근을 하였고 그 2가지 방향이 만나는 지점을 통해 도출하였다.

1. 연역적인 접근

사과의 성질의 근본적인 체계를 연역적 접근의 체계로 삼는 것으로 덕행, 정사, 언어, 문학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만들어나갔다. 사과란 무엇인가?

덕행: 행동이 바름

언어: 수사에 뛰어남

정사: 다스리는 것을 잘함

문학: 고전에 정통함

이 정의에 입각해 이런 것들이 당시 사람들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었을까라는 고민과 함께 조금이라도 관련돼 있는 구절들을 모두 추출하였다.


2. 귀납적인 접근

1순위로는 선진 2장에서 언급된 제자들의 성향에 기반해 제자들 관련 구절들을 모두 추출하였다. 2순위로는 사과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한 구절들, 3순위로는 간접적으로 언급한 구절들을 모두 추출하였다. 이 작업이 끝난 후, 비슷한 유형의 내용들을 범주화해 정리하였다. 범주의 매개가 되는 것은 제자들과 관련된 내용. 제자의 발화, 공자의 발화 등을 정리해서 나오는 용어들을 정리하면서 보이는 지점들의 항목을 하나씩 분절해서 만들어 나가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주의한 점은 단순히 사과의 위상 정리를 위해 들어갈 수 있는 것들을 모아보자는 식이 아닌 내용 하나 하나에 집중하여 의미 단위로 정리하고자 노력했으며 의미를 단위로 탐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두가지 접근방식을 통해 총 22개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었으며 각 구절의 context 또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카테고리로 행위의 본질을 볼 수 있고 context로 행위의 맥락을 볼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최대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타당한 맥락이 반영될 수 있도록 조원간 크로스체킹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가리고 그 구절을 다시 봤을 때 그 카테고리가 명확히 기억, 도출되는지를 반복적으로 테스트해 보았다.

대화형식이나 관계는 부분적으로 P-SE relation으로 나타내고 전체적으로는 각 section의 form에 그 양식을 기입하였다.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서 최대한 다양한 관계어 및 form을 작성하고자 노력했다. 제자와 일상에서의 자연스러운 이야기를 주고받는 경우, 제자를 알게모르게 일깨워주기 위한 의도로 대화를 하는 경우 등등 공자의 내면의 생각까지는 나아가지 못했으나 대놓고 제자를 꾸짖기 위한 말, 제자를 칭찬하는 경우 등등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대화의 의도, 맥락 파악까지는 할 수 있었다.

덕행

덕행(德行) 그 자체의 의미는 무엇인가? 행동이 바르다, 즉 ‘덕’을 행동으로 실천한다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공자가 생각하는 ‘덕’은 무엇이고 덕을 표현할 수 있는 ‘행’은 어떤 것일까에 대해 논어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생각해보았다. 공자가 직접적으로 ‘덕행’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다음 구절과 같이 간접적으로 ‘덕행’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자로 27장 공자의 말 ; 강하고 굳세고 질박하고 어눌(語訥)함이 인(仁)에 가깝다.

위영공17장 공자의 말 ; 예의 정신에 따라 실천하고 겸손한 말로 의견을 내고, 성실한 태도로 완성할 수 있으면 군자다.

이러한 구절들에 기반해 먼저 덕, 행을 구분하고 덕에 관련된 character와 행에 관련된 character를 나눠서 생각해보았다. 덕德은 인仁, 학學, 도道 로 생각해볼 수 있고 행行은 충忠, 서恕, 예禮, 효孝, 제悌 로 생각해볼 수 있다. 공자의 기본사상은 '인'이고 이것을 제일 중요시 여겼기에 '덕'과 동일하게 생각해볼 수 있다. '학'은 '덕'을 쌓고 얻기 위해서는 '학'이 필요하다고 보고 '도'는 덕을 쌓아서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충'은 자신의 참된 마음을 다하여 행동(거짓 없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서'는 참된 마음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면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령공23장 자공이 평생토록 가치 있는 말이 있냐고 묻자 공자는 서(恕), 남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아야 한다라고 답한다.

이인15장 공자의 말 ; 나의 도는 하나의 이치가 꿰뚫고 있다. 증자의 말 ; 선생님의 도는 '충서'라는 것이다

'예'는 외면적 규범으로 ‘인’을 표현할 수 있는 구체적 행위를 드러내고 '효', '제‘(공경) 또한 '덕'을 실현할 수 있는 행동 강령으로 볼 수 있기에 '행'에 포함했다.

기본적으로 공자는 덕, 행은 서로 분리되면 안된다고 보았고 ’덕‘을 실천해야 비로소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이것이 지행합일) 따라서 character만을 node로 하고 character 간의 관계를 relation동사로 나타내서 덕행의 위상을 봐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고 혹은 character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category를 만들어 node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우리는 사과의 의미를 분석할 때 후자를 택했다. 그 이유는 그래프상으로 구현했을 때 보다 직관적일 수 있고 character로 설명이 되지 않는 부분('안빈', ‘질박’, ‘어눌’ 같은 것들)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하기 위해서 category를 설정했다. 덕행에는 총 10개의 category를 설정하였는데 어떠한 사고방식 및 구절을 통해 구체화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덕행 연관 카테고리

[1]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공자가 생각하는 ‘덕’들은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의미가 생긴다.

2) 지행합일이라고 하는 것은 학문을 통해 배운 것, 아는 것을 실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다. 즉 공자의 중요한 가르침, 행동 지침 (‘충, 서, 효, 제’)을 행동으로 옮기려는 의지를 표명한다.

3) 지행합일을 너무 포괄적으로 보기보다는 구절에 집중하여 아는 것들을 실천하겠다는 의미가 들어있는 구절들만 추출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 중궁이 공자에게 ‘인’에 대해 질문하고 공자의 가르침을 실천하겠다는 구절

2) 안회은 ‘인’을 마음속에 새기고 인덕에 어긋나는 일을 하지 않는다는 구절, 사생활에서도 이치를 충분히 행동으로 옮긴다는 구절 -> 공자는 제자들에 대한 평가 중에서도 특히 ‘인’에 대해서는 칭찬에 상당히 인색했던 스승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공자가 공공연하게 칭찬했던 제자가 바로 안연이었다. 유일하게 ‘인’하다고 칭찬한 제자는 논어상 안회 뿐이다. (중궁, 자로, 염유 등에 대해서는 아직 인한지는 모르겠다고 평함)

3) 공자 및 기타 제자의 말 속에서 아는 것들을 실천하라는 의미가 들어 있는 구절

지행합일

[2]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안회의 질문에 공자는 ‘예’를 기준 삼아 모든 것을 판단하라고 말씀한다.

2) 극기복례라 하는 것은 사욕’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하자는 의미로 ‘예’에 따라 실천하자 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사욕, 재물욕을 극복한다는 구절 및 예에 따라 행동한다는 구절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재물을 탐하지 않음) 및 안회가 공자에게 ‘인’을 질문한 구절

2) 공자 및 기타 제자의 말에서 사욕, 이익을 극복, 절제하라는 구절

3) 공자 및 기타 제자의 말에서 예를 회복하고 예에 따라 실천하라는 구절

극기복례

[3]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덕행의 주된 지표를 안빈낙도 [4] 로 볼 수 있기에 안빈, 낙도를 나눠서 생각해본다.

2) 안빈이란 문자 그대로 가난, 빈곤하여도 평온, 좀 더 나아가서는 즐거워하는 것을 의미한다.

3) 가난을 즐거워 한다는 것과 빈곤해지는 것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구절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가난을 즐거워함) 및 안회의 생활(버려지면 물러나서 은둔을 즐김)을 언급한 구절들

2) 가난을 즐거워하는 것이 어질다라고 공자가 언급한 구절들

안빈

[5]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덕행의 주된 지표를 안빈낙도로 볼 수 있기에 안빈, 낙도를 나눠서 생각해본다.

2) 낙도란 문자 그대로 ‘도’를 즐긴다는 의미이다. 좀 직관적으로 해석한다면 정사에 ‘도’가 있으면 출세를하여 정치에 나아가서 행동하고 ‘도’가 없다면 물러나서 ‘도’를 공부하고 즐긴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도를 즐긴다, 가깝다라는 것과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만 출세를 택한다는 구절을 모두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도에 가까움) 구절

2) 안회, 민자건, 남궁괄이 언급된 구절에서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 관직에 나가 도를 행한다는 구절

낙도

[6]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공자의 어질다라는 구절에 어진 이는 겸손하게 행동한다고 언급한다.

2) 겸손하게 행동한다는 것은 ‘예’의 하나의 본질이자 실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3) 겸손하게 행동한다가 언급된 구절 및 문맥상 겸손하다로 볼 수 있는 구절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의 겸손하게 행동한다는 포부 및 증자가 안회에 대해서 평가하는 구절

2) 겸손하게 행동함이 어질다라는 공자의 말씀

3) 안회, 염옹이 자신을 불민(不敏)하다고 표현하는 구절

겸손

[7]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효제는 덕을 실천할 수 있는 행동 강령이고 유자는 인의 근본을 효,제라고 보았다.

2) 효제 孝悌는 부모님에 대한 효와 공손, 공경하게 행동한다는 의미가 내포해있다. 효와 제를 따로 구분하지 않은 이유는 공손, 깍듯하다는 것이 효의 기본 전제이자 본질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3) 효성스럽다 등과 같이 효가 언급된 구절 및 공경, 공손하다 등이 언급된 구절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민자건이 효성스럽고 공손하다고 평가 받는 구절들

2) 효에 대한 제자의 물음과 공자의 대답 및 공자의 말씀

3) 효제에 대해서 언급한 제자들의 말

효제

[8]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자로 27장 강하고 굳세고 질박하고 어눌함이 인에 가깝다는 공자의 말씀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2) 질박하다라는 의미는 소박하고 수수하다는 것으로 얼굴빛을 꾸미려 하지 않고 ‘영색’의 정반대에 있는 단어이다.

3) 소박하다는 의미와 용모를 중요시 하지 않는다는 구절들을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공자는 안회를 자기자식처럼 여겨 장례식을 소박하게 하고 싶어하는 구절

2) 어진 이, 인에 대한 공자의 말씀

3) 배운 이, 어진 이에 대한 복상의 말

질박

[9]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자로 27장 강하고 굳세고 질박하고 어눌함이 인에 가깝다는 공자의 말씀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2) 어눌하다라는 의미는 표면적으로는 말을 잘 못한다이다. 하지만 그 속뜻을 살펴보면 필요한 말, 도리에 맞는 말만 하고 말할 때 신중하게,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언’의 정반대에 있는 단어이다.

3) 어눌하다의 표면적 뜻, 속뜻이 포함되는 모든 구절들을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염옹의 말재주가 적은 것을 긍정적으로 본 구절과 민자건의 말수가 적은 것과 말을 하면 도리에 맞는다는 점을 칭찬한 공자

2) 인에 대한 공자의 생각 및 어진 이에 대한 공자의 생각

3) 말하는 것을 조심해야 되는 이유가 설명되는 구절들(내뱉은 말은 반드시 지켜내야한다->언행일치)

어눌

[10]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덕을 알아야 올바른 행을 할 수 있다. 이때 덕을 알기 위해서는 호학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 호학이란 문자 그대로 학문,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를 의미한다. 호학을 포함시킨 이유는 행동이 바르기 위해서는 학문을 통해서 ‘배움’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덕행의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단순히 학문을 배우는 것이 아닌 학문 배우는 것을 즐기게 된다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그 이치를 좀 더 자연스럽게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고 보았다.

3) 학문을 좋아한다, 호학의 개념 등에 대한 구절들을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안회는 특히 공자로부터 학문을 좋아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안회가 공자의 모든 말, 가르침에 기뻐했다는 구절

2) 널리 배우고 학문을 함으로써 도에 다다를 수 있다는 구절

3) 학문을 좋아한다고 볼 수 있는 공자의 기준이 담긴 구절

호학

[11]

카테고리 선정 이유

1) 어눌하다라는 카테고리로는 언행일치를 설명할 수 없기에 추가하였다.

2) 언행일치란 말하고 실천을 일치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말을 신중히 해야함, 실천하지도 않을 말은 꺼내지도 말라는 식으로 공자가 얘기한다. 그리고 일단 말을 했으면 실천이 꼭 뒤따라야 한다고 본다.

3) 말을 하고 실천이 뒤따른다는 내용이 포함된 구절들만 포함하였다.


상황적용(구절들)

1) 말하는 것을 조심하고 말한 것은 실천해야한다고 말한 구절들

2) 말보다 실행을 우선해야 군자다라고 평한 구절

언행일치

[12]

언어

정사

문학

사과에 대한 공자의 생각

제자의 성향

방법론

안회

덕행-안회

[13]

정사-안회

[14]

안회 횟수

[15]

안회 평가

[16]

염옹

사과-염옹

[17]

염옹 횟수

[18]

염백우

선진2장

[19]

민자건

사과-민자건

[20]

민자건 횟수

[21]

증삼

사과-증삼

[22]

증삼 횟수

[23]

기타논의 및 코멘트

덕행 긍정적

[24]

부정적 평가

[25]

덕행-언어

[26]

덕행-문학

[27]

덕행-정사
[28]
  1. match (a:Term{korname:"덕행"}) - [] - (b:Category) return a,b
  2.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지행합일" and c.four = "1" return a,b,c,d
  3.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극기복례" and c.four = "1" return a,b,c,d
  4. 논어, 세번 찢다 리링 지음, 황종원 옮김, 157면.
  5.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안빈" and c.four = "1" return a,b,c,d
  6.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낙도" and c.four = "1" return a,b,c,d
  7.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겸손" and c.four = "1" return a,b,c,d
  8.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효제" and c.four = "1" return a,b,c,d
  9.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질박" and c.four = "1" return a,b,c,d
  10.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어눌" and c.four = "1" return a,b,c,d
  11.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호학" and c.four = "1" return a,b,c,d
  12. match (a:Category) - [r1] - (b) - [r2] - (c:Section)-[r3] - (d:Person) where a.korname = "언행일치" and c.four = "1" return a,b,c,d
  13. match (a:Term{korname:"덕행"})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 [r3:contains] - (d:Section{four:"1"}) - [r4] - (e:Person{korname:'안회'}) return a,b,c,d,e
  14. match (a:Term{korname:"정사"})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 [r3:contains] - (d:Section{four:"2"}) - [r4] - (e:Person{korname:'안회'}) return a,b,c,d,e
  15.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안회'})-[p]-(k:Section{four:'1'})-[]-(l:Part_Chapter)-[]- (m:Category)-[]-(b:Term{korname:'덕행'})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안회'})-[p]-(k:Section{four:'4'})-[]-(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언어'})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안회'})-[p]-(k:Section{four:'2'})-[]-(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정사'})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안회'})-[p]-(k:Section{four:'3'})-[]-(l:Part_Chapter)-[]-(m:Category)-[]-(b:Term{korname:'문학'}) return b.korname,type(p),count(p)
  16. match (a:Term{korname:'덕행'})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 [r3:contains] - (d:Section{four:'1'}) - [r4:mentioned] - (e:Person{korname:'안회'}) return a,b,c,d,e
  17. match (a:Term)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r3:contains] - (d:Section) - [r4] - (e:Person{korname:'염옹'}) return a,b,c,d,e
  18.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염옹'})-[p]-(k:Section{four:'1'})-[]-(l:Part_Chapter)-[]- (m:Category)-[]-(b:Term{korname:'덕행'})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염옹'})-[p]-(k:Section{four:'4'})-[]-(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언어'})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염옹'})-[p]-(k:Section{four:'2'})-[]-(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정사'})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염옹'})-[p]-(k:Section{four:'3'})-[]-(l:Part_Chapter)-[]-(m:Category)-[]-(b:Term{korname:'문학'}) return b.korname,type(p),count(p)
  19. match(a:Person) - [r1] - (b:Section) - [r2] - (c:Part_Chapter_s) - [r3] - (d) return a,b,c,d
  20. match (a:Term)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 [r3:contains] - (d:Section) - [r4] - (e:Person{korname:'민자건'}) return a,b,c,d,e
  21.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민자건'})-[p]-(k:Section{four:'1'})-[]-(l:Part_Chapter)-[]- (m:Category)-[]-(b:Term{korname:'덕행'})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민자건'})-[p]-(k:Section{four:'4'})-[]-(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언어'})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민자건'})-[p]-(k:Section{four:'2'})-[]-(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정사'})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민자건'})-[p]-(k:Section{four:'3'})-[]-(l:Part_Chapter)-[]-(m:Category)-[]-(b:Term{korname:'문학'}) return b.korname,type(p),count(p)
  22. match (a:Term) - [r1:means] - (b:Category) - [r2:mentioned] - (c:Part_Chapter) - [r3:contains] - (d:Section) - [r4] - (e:Person{korname:'증삼'}) return a,b,c,d,e
  23.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증삼'})-[p]-(k:Section{four:'1'})-[]-(l:Part_Chapter)-[]- (m:Category)-[]-(b:Term{korname:'덕행'})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증삼'})-[p]-(k:Section{four:'4'})-[]-(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언어'})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증삼'})-[p]-(k:Section{four:'2'})-[]-(l:Part_Chapter)-[]-(m:Category)-[]- (b:Term{korname:'정사'}) return b.korname,type(p),count(p) union optional match (a:Person{korname:'증삼'})-[p]-(k:Section{four:'3'})-[]-(l:Part_Chapter)-[]-(m:Category)-[]-(b:Term{korname:'문학'}) return b.korname,type(p),count(p)
  24. match (a:Person)-[]->(b:Section{nuance:'positive'}) return a,b
  25. match (a:Person)-[]->(b:Section{nuance:'negative'}) return a,b
  26. match p=(a:Term{korname:'언어'})-[*2]-(b:Part_Chapter)-[*2]-(c:Term{korname:'덕행'}) with p,b match(b)-[]-(d:Section)-[]-(e:Person) where d.four in ["1", "4"] return p,d,e
  27. match p=(a:Term{korname:'문학'})-[*2]-(b:Part_Chapter)-[*2]-(c:Term{korname:'덕행'}) with p,b match(b)-[]-(d:Section)-[]-(e:Person) where d.four in ["1", "3"] return p,d,e
  28. match p=(a:Term{korname:'정사'})-[*2]-(b:Part_Chapter)-[*2]-(c:Term{korname:'덕행'}) with p,b match(b)-[]-(d:Section)-[]-(e:Person) where d.four in ["1", "2"] return p,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