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로 군자보기 : 논어에서 찾는 군자의 길
red
목차
탐구의 목적
유가에서의 '君子'는 뛰어난 도덕성과 능력을 갖추었으며 성인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인간을 말한다. 춘추전국시대를 경험한 공자는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인 인간상의 추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공자는 스스로를 포함하여, 모든 인간이 도덕성을 완벽히 갖춘 성인(成人)이 되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에 인간은 성인을 닮기 위해, 즉 군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1]
『논어』에는 이러한 공자의 사상이 반영되어, ‘군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덕목, 군자로서 지켜야 하는 규범 등이 107회에 걸쳐 제시되고 있다.
『논어』에 출현하는 군자를 이해하는 것은
곧 공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목표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는 공자의 사상연구에 있어 핵심이 된다.
본 조에서는 『논어』에 출현하는 '君子'의 구체적 발화 맥락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仁, 義, 禮, 智 등 여러 공기어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논어』에서 언급되는 ‘君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 "君子로 가는 길"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탐구의 과정
데이터 수집
동양고전종합 DB와 https://ctext.org/plugins/texttools/#regex를 이용하여 『논어』의 학이편부터 위령공편까지에 대하여 '군자'가 언급된 모든 구절을 찾았다.
공자뿐만 아니라 증자, 자하 등 화자에 상관없이 『논어』에서 '군자'가 언급된 구절을 모두 데이터 처리에 포함시켰다.
학이편-위령공편에서 '군자'가 출현한 장은 총 62장으로 다음과 같았다.
편 | 장 |
---|---|
학이 | 학이시습, 기위인야, 군자부중, 군자식무구포 |
위정 | 군자불기, 선행기언, 군자주이 |
팔일 | 군자무소쟁, 의봉인청견 |
이인 | 부여귀시, 군자지어천하, 군자회덕, 군자유어의, 군자욕눌 |
공야장 | 군자재약인, 유군자지도사 |
옹야 | 자화사어제, 여위군자유, 질승문즉야, 인자수고, 군자박학 |
술이 | 성인오부득, 진사패문, 문막오유인야, 군자탄탕탕 |
태백 | 공이무례, 조지장사, 가이탁륙척지고 |
자한 | 부자성자, 자욕거구이 |
향당 | 군자불이감추 |
선진 | 선진어예악, 논독시여, 이오일일장호이 |
안연 | 군자불우불구, 인개유형제, 군자질이이의, 군자성인, 여살무도, 이문회우 |
자로 | 대자이위정, 군자화이, 군자이사, 군자태이 |
헌문 | 예선사, 군자이불인, 군자상달, 부재기위, 군자치기언, 군자도자삼, 수기이경 |
위령공 | 위령공문진, 직재사어, 군자의위, 군자병무능, 군자질몰세, 군자구제기, 군자긍이부쟁, 군자불이언거인, 군자모도, 군자불가소지, 군자정이 |
1차 데이터 처리
'군자를 언급하는 문장 구조는 네 가지 - 정의, 대비, 우화, 대화 - 로 분류하였다. 귀납적인 문장구조의 분류는 다음 논문을 참고하였다.
임형석. "君子와 君子曰 -고대 중국에서 이상적 인격 전형의 기원에 관한 연구." 퇴계학논총, no. 33 (2019): 243-69.
1. 정의 (Define) - 군자의 특성을 직접 규정하는 경우이다.
팔일편 의봉인청견장.
군자는 밥 한 끼를 먹을 만한 짧은 시간에도 인(仁)을 떠남이 없으니, 경황 중에도 이 인(仁)을 반드시 행하며,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도 이 인(仁)을 반드시 행한다.
헌문편 군자치기언장.
군자(君子)는 말은 신중하게 하고, 행동은 충분하게 한다.
2. 소인과의 대비 (Contrast)
도덕성이 뛰어난 군자와 대비되는 '소인'이 함께 출현하여 대조적으로 서술된 경우가 있었다. '소인'은 개인적인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도덕성이 부족한 일반이하의 사람을 일컫는다.
이인편 군자유어의장.
군자(君子)는 의(義)에 밝고, 소인(小人)은 이익(利益)에 밝다.
술이편 군자탄탕탕장.
군자(君子)는 평탄하고 여유가 있으며, 소인(小人)은 늘 근심한다.
3. 우화 (Exemplify) - 역사적인 인물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면서 군자를 언급하는 경우이다.
공야장편 유군자지도사.
공자께서 자산(子産)을 평하셨다.
“군자(君子)의 도(道) 네 가지가 있었으니, 몸가짐이 공손하고, 윗사람 섬김이 공경스러웠으며, 백성을 기름이 은혜로웠고, 백성을 부림이 의(義)로웠다.”
위령공편 직재사어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정직하다, 사어(史魚)여.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에도 화살처럼 곧으며, 나라에 도(道)가 없을 때에도 화살처럼 곧았다. 군자(君子)답다, 거백옥(蘧伯玉)이여. 나라에 도(道)가 있으면 벼슬하고, 나라에 도(道)가 없으면 감추었다.”
4. 대화 (Conversation) - 제자를 포함하여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 군자가 언급된 경우이다.
학이편 선행기언장.
자공(子貢)이 군자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에 앞서 실행하고, 그 뒤에 말이 행동을 따르게 하는 것이네.”
안연편 인개유형제장.
자하(子夏)가 말하였다. “나는 들으니, ‘죽고 사는 것은 명(命)에 달려 있고, 부유함과 귀함은 하늘에 달려 있다 하였다.’ 군자(君子)가 공경(恭敬)하고 잃음이 없으며 남을 대함에 공손하고 예(禮)가 있으면 천하[四海]가 다 형제이니, 군자가 어찌 형제가 없음을 걱정하겠는가?”
2차 데이터 처리
공기어 추출
군자가 언급된 모든 장에서 군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음절의 공기어를 추출하였다. 공기어는 출현 횟수에 따라 1차 공기어와 2차 공기어로 구분하였다. 1차 공기어는 언급된 모든 공기어가 해당되고, 2차 공기어는 2회 이상 출현한 공기어가 해당된다.
네트워크 그래프 작업에는 2차 공기어를 이용하였다.
2회 이상 출현한 2차 공기어는 '군자'의 덕목을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모든 공기어가 아니라, 2차 공기어만을 다루기로 결정했다.
2차 공기어는 총 30개가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2차 공기어에 대해서는 긍정, 부정, 중립의 속성을 부여하였다.
해당 공기어가 언급된 모든 구절에서 군자의 긍정적인 덕목 및 특성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속성을 '긍정'으로 분류했다. 반대로 해당 공기어가 언급된 모든 구절에서 군자의 부정적인 덕목 및 특성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속성을 '부정'으로 분류했다.
한편 어떤 공기어가 긍정적, 부정적인 맥락으로 모두 쓰이기도 하였다.
'중립(neutral)'은 해당 공기어가 긍정적, 부정적인 맥락으로 모두 쓰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인편 군자욕눌장.
“군자는 말에는 굼뜨고 행동에는 재빠르고자 한다.”
자로편 대자이위정장.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은 제쳐놓고 말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君子)가 명칭을 붙이면 반드시 말할 수 있으며, 말할 수 있으면 반드시 행할 수 있으니, 군자(君子)는 자신이 한 말에 대해서 구차히 함이 없을 뿐이다.”
군자욕눌장에서는 군자는 언변이 훌륭하지 않다고 하며, 언(言)이 부정적인 맥락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자이위정장에서는 언(言)이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서 말한다면 반드시 행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언(言)을 긍정적인 맥락에서 언급한 것이다.
번호 | 공기어 | 속성 |
---|---|---|
1 | 질(質) | positive |
2 | 인(仁) | positive |
3 | 능(能) | neutral |
4 | 예(禮) | positive |
5 | 악(樂) | positive |
6 | 우(憂) | negative |
7 | 구(懼) | negative |
8 | 덕(德) | positive |
9 | 지(知) | neutral |
10 | 언(言) | neutral |
11 | 행(行) | neutral |
12 | 문(文) | neutral |
13 | 비(鄙) | negative |
14 | 도(道) | positive |
15 | 안(安) | negative |
16 | 의(義) | positive |
17 | 신(信) | positive |
18 | 쟁(爭) | neutral |
19 | 당(黨) | negative |
20 | 식(食) | neutral |
21 | 공(恭) | positive |
22 | 신(慎) | neutral |
23 | 학(學) | positive |
24 | 민(敏) | positive |
25 | 기(器) | negative |
26 | 주(周) | positive |
27 | 부(富) | negative |
28 | 빈(貧) | positive |
29 | 혜(惠) | neutral |
30 | 경(敬) | positive |
Phrase(구) 지정
공기어 추출 작업을 하면서 단음절의 공기어를 추출했을 때 구절의 온전한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1)와 단음절의 공기어로 추출하기 어려운 경우(2)가 있었다.
1. 공기어 추출 시 구절의 온전한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위령공편 군자병무능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자신의 무능(無能)함을 근심하고,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않는다.”
위 구절에서 공기어를 추출할 경우 '병(病)'과 '지(知)'을 선정할 수 있으나
병들고 근심한다는 의미의 '병'과 안다는 의미의 '지'을 독립적으로 본다면
문장의 의미(불병인지불기지: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2. 공기어를 추출하기 어려운 경우
향당편 군자불이감추장.
군자는 감색(紺色)과 붉은 빛으로 옷깃에 선을 두르지 않으시고 다홍색과 자주색으로 평상복을 만들지 않으셨다.
위 구절에서는 군자의 의복예법을 서술하고 있어, 단음절의 공기어를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본 조에서는 1과 2에 해당하는 장에 대해서 다음절의 한자어로 구성된 Phrase(구)를 추출하여 이를 보완했다.
편 | Phrase |
---|---|
학이 | 인부지이불온, 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부중즉부위,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식무구포, 거무구안,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
위정 | 불기, 선행기언, 주이불비 |
이인 | 회덕, 회토, 회형, 회혜, 유어의, 유어리, 욕누렁언, 이민어행 |
공야장 | 행기야공, 사상야경, 양민야혜, 사민야의 |
옹야 | 주급부계부, 여위군자유, 무위소인유, 문질빈빈, 박학어문, 약지이례 |
술이 | 군자불당, 독어친, 흥어인 |
태백 | 독어친, 흥어인, 성인지미, 불성인지악, 림대절이부가탈야, 사원폭만의, 사근신의, 사원비배의 |
자한 | 다능비사 |
향당 | 불이감추식, 홍자불이위설복 |
선진 | 논독 |
안연 | 군자불우불구, 군자경이무실, 여인공이유례, 문유질, 질유문, 성인지미, 부성인지악, 군자지덕풍, 이문회우, 이우보인 |
자로 | 언지필가행, 이사, 난열, 난사, 이열 |
헌문 | 상달, 하달, 사불출기위, 치기언, 과기행 |
위령공 | 병인지불기지, 구제인, 이언거인, 이언폐인, 가수지, 대수 |
덕목의 의미 유형 설정
추출한 2차 공기어를 바탕으로 군자의 덕목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했다.
덕목의 유형은 다음의 논문을 참고하여 6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었다.
김권환. "『논어』의 군자와 소인 :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동양철학연구 78, no. 78 (2014): 37-68.
1. 내적 도덕규범: 덕행(Virtue)
인
2. (1의 반대개념) 불인不仁(Vice)
3. 외적 도덕규범 : 예악(Norm)
4. (2의 반대개념) 불예不禮(Deviance)
5. 행동 및 학습의 덕목: 학습(Discipline)
6. (5의 반대개념) 자포자기(Indiscipline)
Neo4j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탐구의 결과 및 의의
- ↑ 이철승. "『논어』속 군자관의 논리 구조와 정치의식." Tongbanghak 29, no. 29 (2013):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