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의작품과문예주기
red
목차
작품
문예주기
1931년
황순원은 「나의 꿈」을 동광에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아들아 무서워 말라」라는 시 역시 동광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황순원의 작품 세계는 이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동아일보에 발표한 동요 「이슬」,「봄밤」,「수양버들」,「봄이 왔다고」,「봄싹」 등과 단편소설 「추억」을 2010년에 권영민 서울대 교수가 발굴해내면서 "동요와 함께 단편소설과 희곡이 초기 습작기에 이미 신문에 발표됐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며 "그동안 우리 문단에서는 황순원 선생의 문필활동이 1931년 시 창작활동으로부터 시작됐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번 발굴로 그 범위를 한정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단편 소설 「추억」은 소년소설=>중학생 소년 영일이 젊은 처녀의 사진을 품에 넣고 다니다가 동료들에게 놀림을 당하고 선생님에게 꾸중을 듣는 등 주인공의 유년기 체험을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1932년
함께 발굴된 것 중 단편 희곡 「직공생활」도 있다. 1932년 6월 27일-29일 조선일보 '독자문예'란에 실렸다. 공장에서 일하는 가난한 남매와 병든 어머니에게 닥친 궁핌과 고통을 다루는 작품이다.
1932년에 나온 시들은 대부분 첫 시 「나의 꿈」과 같이 동광에서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34년
황순원은 와세다 대학 제2학원에 입학하여 동경학생예술좌를 창립하였다. 그 시기에 그의 첫 시집 『방가』가 간행되었으며 시집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이 시집은 나의 세상을 향한 첫 부르짖음이다. 나는 이 부르짖음을 보다 더 크게, 힘차게, 또한 깊게 울리게 할 앞날을 가져야 하겠다.”
=> 일제 식민시대, 굴복하지 말고 이겨내자는 외침
1935년
삼사문학의 동인이 되어 시 「새로운 행진」 「歸鄕(귀향)의 노래」 「거지애」 「새出發(출발)」 「밤車(차)」 「街路樹(가로수)」 「굴뚝」 「故鄕(고향)을 향해」 「午後(오후)의 한 一片(일편)」 「고독」 「찻속에서」 「무덤」 「개미」를 조선중앙일보에 발표하였다. 시집 『방가』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검열을 피하기위해 동경에서 간행했다 하여 여름방학 때 귀성했다가 평양 경찰서에 붙들려 들어가 29일간 구류 당한다.
1936년
두 번째 시집 『골동품』 역시 동경학생예술좌에서 간행되었다. 와세다 대학 영문과에 재학하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시집 『방가』와 『골동품』에 묶인 두 권 분량의 시를 쓴 것이다.
『골동품』은 사물에 대한 관찰과 응시의 눈길을 재치 있게 표착한 시편들을 동물, 식물, 정물 등 세 부분으로 분류한다.
1937년
첫 번째 단편 소설이라고 알려진 「거리의 부사」 를 발표했다. 시와 소설의 분깃점이다.
1940년
첫 단편집 『늪』 출간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늪』 에는 집필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단편들이 묶여있다. 대표적으로 늪, 소라, 갈대 등이 있고 거리의 부사(1937, 첫 소설 작품)도 포함되어있다.
그러나 1942년 일제의 한글 말살 정책이 시작되면서 황순원은 평양의 빙장리로 낙향, 은둔하게 되고 1945년까지 작품을 발표하지 않는다. 이 기간에 「독 짓는 늙은이」를 썼다고 알려진다. 또한 1945년 8월에는 해방을 맞이하여 세번째 시집인 『목탄화』에 돌입했다.
1946년
북한에서 토지 개혁이 시작되자 부친이 개간한 토지가 몰수되어 월남하여 서울고등학교 교사로 재직. 본격적으로 소설 집필에 전념하였다.
1948년
단편 「목넘이 마을의 개」를 발표함으로써 활동을 재개했다. 해방 후의 혼란과 6.25의 수난, 그 속의 고통스런 삶과 참담한 현실을 간결하고 세련된 문체로 다룬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1950년대 이전의 단편소설은 시적 서정성의 문장이 주를 이루며 간결성이 나타나는 반면 「목넘이 마을의 개」를 발표하면서 50년대 이후에는 1인칭의 단문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전란을 배경으로 가난하고 피폐한 삶, 당대의 혼란하고 무질서한 사회 등을 표출하고자 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해방 이후의 단편만을 모아 육문사에서 『목넘이 마을의 개』를 간행하였다.
1951년
1950년 6.25 동란이 일어나고 부산 피난 생활을 시작한다.
1951년, 1940년부터 해방 이전의 단편을 수록한 『기러기』를 명세당에서 간행하였다. 이는 일제의 한글 말살 정책으로 인한 탄압 속에서 발표하지 못하고 숨겨 둔 소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작품 내에서 삶의 마지막 길에서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극심한 내면적 고통과 대면하지 않으면 안 되는 한 개인을 통해 자연스러운 휴머니티를 발현한다. 또한 주로 아이와 노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민족 전래의 설화적 모티프와 현대소설의 정제된 기법이 악수하는 깔끔한 작품이라는 평을 받았다.
1952년
피난살이의 설움과 고생을 핍진하게 드러낸 단편 「곡예사」를 『문예』를 통해 발표한다. 이는 황순원 일가의 어려움을 극한 삶과 작가의 울분 그리고 뜨거운 가족 사랑을 명료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인생에 대한 환멸과 쓰라림이 드러난다. 6월, 「곡예사」를 비롯하여 전란 바발 이후에 쓰려진 작품들을 모아 단편집 『곡예사』를 명세당에서 간행한다.
1953년
5월, 단편 「학」과 「소나기」를 발표한다. 이들은 황순원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라 칭해지며 단편소설로서는 원숙의 경지에 이른 기교와 선명하고 감동적인 주제, 따뜻한 인간사랑 정신이 담겨있다. 시에서부터 출발하여 온갖 간난신고를 해치면서도 갈고 다듬어 온 단편소설 창작의 기량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는 부분.
1954년
장편 『카인의 후예』을 집필한다. 이 작품을 기준으로 전과 후를 단편과 장편소설의 시기로 나누기도 한다. 이듬해 아시아 자유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