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LDC(2023)Research3
red
작성자: 고려대 한문학과 김호수
목차
Contents
연구 목적
2023년 4월 4일, 거대양당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동물을 물건으로 규정하는 민법 조항을 4월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바꾸는 데 합의했다. [1]국민들의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여, 현행법상 물건에 불과한 동물의 법적 지위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1만 년 전 신석기 시대에 인류가 처음으로 야생동물의 가축화에 성공한 이후 끊임없이 변화해 온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를 실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역사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과연 어떠했을까. 본 연구는 우리 역사에서의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성시전도시」를 살펴본다. 「성시전도시」는 1792년 정조가 신하들에게 지어 올리도록 한 일백운의 칠언고시이며, 현재까지 13종의 작품이 알려져 있다. 「성시전도시」에는 당시 한양의 자연경관을 비롯해 풍속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이 드러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현들에 의거하여 당대의 사람들이 동물을 어떻게 인식하고 다루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정조의 명을 받아 지어진 「성시전도시」 13종을 살펴 본다. 「성시전도시」 13종은 아래와 같다.
작가 | 작품 |
---|---|
이덕무 | 「城市全圖 七言古詩百韻」 |
박제가 | 「城市全圖應令」 |
신택권 | 「城市全圖 擬應製 百䪨古詩」 |
신관호 | 「奉和 禁直諸臣城市全圖應制百䪨」 |
신광하 | 「御題御批 城市全圖七言百約古詩初試壯元親試御考書下有聲畵三字」 |
이만수 | 「城市全圖百韻文臣應製」 |
이집두 | 「城市全圖 七言百約古詩 潭善大夫前行承政院右承旨臣李集斗製進」 |
정동간 | 「城市全圖 七言百約古詩」 |
김희순 | 「城市全圖」 |
유득공 | 「城市全圖應製御評都是畵, 春城遊記」 |
서유구 | 「城市全圖 試券」 |
이희갑 | 「城市全圖 百約」 |
이학규 | 「城市全圖 一百韻」 |
연구 방법
13종의 성시전도시에 언급되는 동물을 모두 연구한다.
- 연구방법론
- 기술적 방법
작품에 언급되는 동물을 종별로 분류하고, 그 동물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어떤 쓰임을 가지는지 조사한다. 가령 ‘용’이라는 동물은 상상 속의 동물로서 지형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고, ‘갈치’라는 동물은 시장에서 식품으로 거래되는 동물로서 당대의 풍속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다.
2023년 4월 26일 기준으로 이덕무의 「城市全圖 七言古詩百韻」와 박제가의 「城市全圖應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상태이며, 학기 중에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논리적 방법
작품에 쓰이는 동물을 분석하되, 여러 맥락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동물에 주목한다. 특히, 종별 분류에서 같은 종으로 분류한 동물이 다른 맥락으로 쓰이는 경우에 주목한다. 이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 같은 종이 다른 표현으로 등장하는 경우
가령 같은 '말'임에도 '말'로 작품에 등장하는 경우와 '준마'로 작품에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품종에 차이가 있는 것인지, 같은 품종임에도 다른 사육 환경 등 다른 사회적 맥락에서 다루어짐으로써 다른 표현으로 다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같은 종이 같은 표현으로 등장하지만 다르게 다루어지는 경우
가령 '백로'의 경우 한가로운 자연 풍경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지배적이나, '백로'의 배설물로 인해 소나무가 죽는 모습을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당시 해당 동물이 어떻게 인식되고 다루어졌는지 등을 연구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 같은 종이 다른 표현으로 등장하는 경우
- 기술적 방법
데이터 샘플링
클래스(Class)
명칭(name) | 설명(description) |
---|---|
Poem | 18세기 말 이후 지어진 성시전도시 13종의 작품 |
Line | 구 |
Expression | 개별 시구를 몇 글자로 분절한 시어 |
Animal | 동물 |
관계(Relation)
관계정의 | 관계어(name) | 설명(description) |
---|---|---|
수록하다 | contains | 문집과 작품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
속성(Attributes)
속성(name) | 설명(description) | 클래스(class) | 예시 |
---|---|---|---|
식별자(id) | 개별데이터를 | All | PM001 |
대표명(name) | 해당 개별데이터의 대표적인 명칭 | All | 성시전도시_이덕무 |
한글제목(korname) | 해당 작품의 한글 제목 | Poem | 성시전도시_칠언고시백운 |
한문제목(chiname) | 해당 작품의 한문 제목 | Poem | 城市全圖_七言古詩百韻 |
작가(creator) | 해당 작품의 작가 | Poem | 이덕무 |
시구원문(originalText) | 해당 시구의 원문 | Line | 彷彿淪漪隱魴鯉 |
시구번역문(transText) | 해당 시구의 번역문 | Line | 물결 속에 방어와 잉어가 숨어 있는 듯하네 |
표현(Expression) | 개별 시구를 몇 글자로 분절한 시어 | Line | 隱魴鯉 |
기술(description) | 해당 시구에 대한 추가 사항 기술 | Expression | 사례 |
연구 데이터
데이터 수집 방법
(수집방법에 관해 서술)
데이터 목록
(추후 구글 시트에 정리)
연구 결과
(데이터 분석 내용에 관해 서술)
연구 소감
(연구를 진행한 소감에 관해 서술)
참고 자료
(참고자료가 있을 경우, 여기에 목록으로 정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