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
red
수사문체와 논리구축 방식의 변천사 연구
through Building the DB System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Contents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과시(科試)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종합하여 목록화하고 DB로 구축함으로써 조선시대 과문의 특징을 파악하고 학술, 문학, 출판인쇄문화의 발달상을 이해하며, 나아가 수사문체 및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과거 문제 및 문체, ② 수험 결과물(시험 답안), ③ 수험 참고서 세 방면에서 DB를 구축하고 이를 문헌학적으로 연구하며, 이상을 토대로 ④ 조선시대의 수사문체와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⑤ 동아시아 과거 문화의 비교 연구 ⑥ 과거를 통한 지성사와 학술사의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단계 1년차 : 〈과거 문제 및 문체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방목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역사기록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1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1단계 2년차 : 〈수험 결과물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시권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2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1단계 3년차 : 〈수험 참고서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과거 참고서적, 운서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3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2단계 :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기 구축한 DB에 대한 수정 보완과 추가 자료 보강 작업을 진행하면서, DB를 활용하여 아래의 주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매년 한 차례씩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총서를 출간한다. 2단계 1년차는 〈과거와 수사 문체 및 논리구축방식 연구〉, 2단계 2년차는 〈동아시아 과거 비교 연구〉, 2단계 3년차는 〈과거를 통한 조선시대 지성사와 학술사 연구〉를 진행한다.
Data Model
항목
클래스(Class)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Source (A) | Target (B) | Relationship |
---|---|---|
시험(Exam) | 시험(Exam) | ○시험(Exam)→시험(Exam): '시험'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험(Exam) | 시간(Time) | ○시험(Exam)→시간(Time): '시험'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험(Exam) | 장소(Place) | ○시험(Exam)→장소(Place): '시험'과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문제(Question) | 시험(Exam) | ○문제(Question)→시험(Exam): '문제'와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답안(Answer) | 문제(Question) | ○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권(Sigwon) | 답안(Answer) | ○시권(Sigwon)→답안(Answer): '시권'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방목(Bangmok) | 시험(Exam) | ○방목(Bangmok)→시험(Exam): '방목'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방목(Bangmok) | 시간(Time) | ○방목(Bangmok)→시간(Time): '방목'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인물(Person) | 답안(Answer) | ○인물(Person)→답안(Answer): '인물'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간(Time) | 시간(Time) | ○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장소(Place) | 장소(Place) | ○장소(Place)→장소(Place): '장소'와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클래스(Class)
시험(Exam)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시험(Exam)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
○ Context
○시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행년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대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시험일자의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복시를 기준으로 정리했는데, 본 연구의 경우 시험의 개별 정보(초시/복시) 시행일자를 찾아서 연월일을 최대한 구분해서 입력한다. 구체적 월/일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목 정보'에 기재된 시험일을 기준으로 입력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A(sortA) | 분류B(sortB) | 분류C(sortC) |
분류D(sortD) | 분류E(sortE) | 출처(Resource) |
●식별자(id)
E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대표명(name)
① 소과: 1393년_식년시소과_진사 / 1624년_증광시소과_초시
② 대과: 1835년_증광시대과_종장
③ 중시 : 예외적으로 1407년_중시_초장 (SortA에는 대과로 구분)
④ 발영시, 진현시, 제주별시 등의 이름은 일단 나와있는대로 입력.
⑤ 친시-별시, 회시-복시가 혼동될 경우 ‘친시’, ‘복시’(한중연 기준)로 입력
●분류A(sortA)
대과(Big) / 소과(Small) 구분.
●분류B(sortB)
생원(Scripture) / 진사(Literature) 구분.
●분류C(sortC)
식년시, 증광시, 별시 등 시험종류 구분.
●분류D(sortD)
초시(First) / 복시(Second) / 전시(ThrID) 구분.
●분류E(sortE)
초장(1) / 중장(2) / 종장(3) 구분.
-방목, 연구서, 사료, 문집 가운데 해당 시험정보의 출처가 되는 정보를 입력.
-연구서는 세부 Page 기재, 사료와 문집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사 URL 기재.
문제(Questi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문제(Question)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문제)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Category) | 요약(abstract) | 내용(Content) |
출처(source) |
시권(Sigw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을 기록한 답안지로서 시권(Sigwon)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1710년 권익문(權益文) 시권)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분류(sort) | 설명(description) |
점수(grade) | 등제(rank) | 세로(height) | 가로(width) | 제공처(provider) |
원소장처(institution) | webResourceURL |
방목(Bangmok)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방목(Bangmok)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경인증광사마방목(庚寅增廣司馬榜目))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
답안(Answer)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Answer)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답안)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Category) | 요약(abstract) | 내용(Content) |
출처(source) |
인물(Pers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인물(Person)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권익문(權益文))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이칭(alias) |
자字(courtesyname) | 호號(pseudonyms) | 생년(birthyear) | 몰년(deathyear) | 본관(origin) |
성씨(clan) |
시간(Tim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시간(Time)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1710년_05월11일)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sort) | 연(year) | 월(month) |
일(day) | 연간지(y_sc) | 월간지(m_sc) | 일간지(d_sc) | 윤달(intercalary) |
양력(solar) |
장소(Plac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장소(Place)를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예조(禮曹))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분류(sort) |
위도(lattitude) | 경도(longitude) | 출처(source) |
속성(Attribute)
식별자(id)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식별자 정보.
대표명(name)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대표명 정보.
관계(Relationship)
시험(Exam)→시험(Exam)
○ A includes B : A는 B를 부속하다
시험(Exam)→시간(Time)
○ A isHeldOn B : A는 B에 시행되다
시험(Exam)→장소(Place)
○ A isHeldAt B : A는 B에서 거행되다
문제(Question)→시험(Exam)
○ A isGivenIn B : A가 B에서 출제되다
답안(Answer)→문제(Question)
○ A isResponseTo B : A는 B의 답안이다
시권(Sigwon)→답안(Answer)
○ A contains B : A가 B를 담다
방목(Bangmok)→시험(Exam)
○ A isRecordOf B : A는 B의 기록이다
방목(Bangmok)→시간(Time)
○ A isAnnouncedOn B : A는 B에 발표되다
인물(Person)→답안(Answer)
○ A isWriterOf B : A가 B의 작성자다
시간(Time)→시간(Time)
○ A hasPart B : A는 B를 포함하다
장소(Place)→장소(Place)
○ A isLocatedIn B : A는 B에 위치하다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Data
Google Spreadsheet
→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링크)
○ 데이터 편찬 과업 구분
데이터 편찬은 1-3단계 과업으로 나누어 작업을 진행한다.
○ 전체 작업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1단계 : 2023년 05월부터 2023년 07월까지. 시험에 관한 기본 정보와 시간(년·월·일) 정보를 입력.
→2단계 : 2023년 09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시험과 관련된 정보(인물·장소·문체·문제 등등)를 입력.
※윤선영 선생님이 맡으신 '시권' 추가 입력 및 시험문제 출전 입력은 1-2단계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완료된 이후 진행할 계획.
○ 준비물
→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
→ 엑셀 데이터(1차년도 연구 결과물: 과시문제 파일)
→ 몇 가지 참고자료 : 『조선시대 문과백서』(송준호, 송만호 저),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한중연)〉, 『조선왕조실록』 및 『승정원일기』
○ 1차 과업 (2023.05-2023.07) : 내용
○ 2차 과업 (2023.0731.-2023.0827.) : 내용.
○ 3차 과업 : 내용
○ 1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방법
※우선 과거시험(소과, 대과, 기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시간(연월일) 정보를 입력해서 연결하는 작업을 1차적으로 진행한다.
01. 엑셀파일(1단계 연구에서 구축한 raw data)에서 연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 대과)에 관한 기본 정보를 스프레드시트의 Exam 시트에 옮겨 입력한다.
02. Exam 시트에 옮겨 입력한 시험의 일자정보(연월일 각각)를 Time 시트에 입력한다.
03. Time 시트에 입력한 일자정보(연월일 각각)를 Edge_Time 시트에 입력해서 연월일 정보를 연결해준다.
04. Exam 시트에 입력한 시험정보와 Time 시트에 입력한 일자정보를 Edge 시트에 함께 입력해서 시험정보와 일자 정보를 연결해준다.
05. 엑셀파일에 있는 정보를 스프레드시트로 옮기는 작업이 끝나면, 『조선시대 문과백서』(송준호, 송만호 저)와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한중연)〉,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등을 검토(검색)해서 엑셀파일에 빠져 있는 정보가 없는지 확인한 다음, 빠진 정보가 있을 경우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하게 스프레드시트에 해당 정보(과거정보, 시간정보)를 입력한다.
○ 1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
○ 검토 및 입력 대상
→ 소과 : 1,700여건
→ 대과 : 1,676여건
→ 기타 : 1,688여건
○ 입력 인력
→ 홍심두(050년) : 1393년부터-1444년까지
→ 변은미(050년) : 1445년부터-1494년까지
→ 강다형(100년) : 1495년부터-1594년까지
→ 김영인(100년) : 1595년부터-1694년까지
→ 남윤지(100년) : 1695년부터-1794년까지
→ 이길환(100년) : 1795년부터-1894년까지
○ 입력 일정
작업기간 | 홍심두 | 변은미 | 강다형 | 김영인 | 남윤지 | 이길환 | 검토일 |
---|---|---|---|---|---|---|---|
05월15일 - 05월26일 | 1393년부터 1397년까지 (5년) |
1445년부터 1449년까지 (5년) |
1495년부터 1504년까지 (10년) |
1595년부터 1604년까지(10년) |
1695년부터 1704년까지(10년) |
1795년부터 1804년까지(10년) |
05월29일 |
05월29일 - 06월09일 | 1398년부터 1402년까지 (5년) |
1450년부터 1454년까지 (5년) |
1505년부터 1514년까지 (10년) |
1605년부터 1614년까지(10년) |
1705년부터 1714년까지(10년) |
1805년부터 1814년까지(10년) |
06월12일 전체 검토회의 |
06월12일 - 06월23일 | 1403년부터 1422년까지 (20년) |
1455년부터 1474년까지 (20년) |
1515년부터 1554년까지 (40년) |
1615년부터 1654년까지(40년) |
1715년부터 1754년까지(40년) |
1815년부터 1854년까지(40년) |
06월26일 |
06월26일 - 07월07일 | 1423년부터 1444년까지 (20년) |
1475년부터 1494년까지 (20년) |
1555년부터 1594년까지 (40년) |
1655년부터 1694년까지(40년) |
1755년부터 1794년까지(40년) |
1855년부터 1894년까지(40년) |
07월10일 전체 검토회의 |
○ 2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방법
○ 2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