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작품과 인물) |
(→작품과 인물)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양정길01.PNG|섬네일|양정길과 「곡예사」, 「참외」]] | [[파일:양정길01.PNG|섬네일|양정길과 「곡예사」, 「참외」]] | ||
+ | |||
+ | ==생애== | ||
+ | *1915년 평남 숙천에서 출생. 1933년 평양 숭의여학교 문예반장이었던 당시 동갑인 황순원을 처음 만나 교제를 시작하여 1935년 2년만에 결혼. 2014년 9월 5일 낮 12시 50분 노환으로 별세. | ||
==작품과 인물== | ==작품과 인물== | ||
− | 「곡예사」: 한국전쟁 당시 부산 남포동에서 처자를 거느린 가장의 애환을 곡예사 피에로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작가 황순원이 대구를 거쳐 부산으로 피난하여 살면서 지내는 모습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 + | *「곡예사」: 한국전쟁 당시 부산 남포동에서 처자를 거느린 가장의 애환을 곡예사 피에로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작가 황순원이 대구를 거쳐 부산으로 피난하여 살면서 지내는 모습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
− | 「곡예사」 속 양정길: "한 걸음 떨어져 오던 아내가 가까이 와 한 팔을 내 허리에 돌린다. 이 단장 부인은 남편되는 단장의 곡예가 위태로워 보였던 모양이다. 나는 염려 말라고 아내의 손을 꼭 잡아 주었다. 그러는데 피애로 동아의 노래가 마지막 대목 다 가서 뚝 그친다. 이미 우리는 그 변호사댁이 있는 골목에 다다른 것이었다." - 작가 황순원의 가족들과 더불어 피난지 부산에서 부모님의 집에서 자기의 세들어 사는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으로 작품의 마지막 부분. | + | *「곡예사」 속 양정길: "한 걸음 떨어져 오던 아내가 가까이 와 한 팔을 내 허리에 돌린다. 이 단장 부인은 남편되는 단장의 곡예가 위태로워 보였던 모양이다. 나는 염려 말라고 아내의 손을 꼭 잡아 주었다. 그러는데 피애로 동아의 노래가 마지막 대목 다 가서 뚝 그친다. 이미 우리는 그 변호사댁이 있는 골목에 다다른 것이었다." - 작가 황순원의 가족들과 더불어 피난지 부산에서 부모님의 집에서 자기의 세들어 사는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으로 작품의 마지막 부분. |
− | 「참외」: 작가가 경기도 광주 일원리에 피난가서 작가 부친과 모친의 처소에서 무단으로 이웃집 참외를 깎아 먹으면서 느낀 소회를 그린 장면 속 양정길이 언급됨. | + | *「참외」: 작가가 경기도 광주 일원리에 피난가서 작가 부친과 모친의 처소에서 무단으로 이웃집 참외를 깎아 먹으면서 느낀 소회를 그린 장면 속 양정길이 언급됨. |
− | 인용: <아내가 새로이 끝놈의 참외를 깎고 있다. 끝놈은 바싹 고개를 들이 밀고 붙어 앉았다. "달디?" 아내의 말에 끝 놈은 그렇다고 고대를 끄덕거린다. 나는 어린 것과 그런 말을 주고받는 아내에게까지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었다.어머니가 더 거기 서있을 수 없다는 듯이 밖으로 나가신다 씻지 않은 얼굴의 물방울은 그냥 물방울이 아니라 새로 흘리신 땀방울만 같았다.> | + | *인용: <아내가 새로이 끝놈의 참외를 깎고 있다. 끝놈은 바싹 고개를 들이 밀고 붙어 앉았다. "달디?" 아내의 말에 끝 놈은 그렇다고 고대를 끄덕거린다. 나는 어린 것과 그런 말을 주고받는 아내에게까지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었다.어머니가 더 거기 서있을 수 없다는 듯이 밖으로 나가신다 씻지 않은 얼굴의 물방울은 그냥 물방울이 아니라 새로 흘리신 땀방울만 같았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으로 주인공의 아내가 마지막 참외를 깎아 놓자 막내가 눈치 없이 먹어 치우자 주인공의 어머니가 서운함을 느끼면서 밖으로 나가는 장면의 일부. |
− | + | ==황순원과의 관계== | |
+ | *황순원의 부인 | ||
==황순원과의 관계== | ==황순원과의 관계== |
2020년 6월 24일 (수) 22:55 판
생애
- 1915년 평남 숙천에서 출생. 1933년 평양 숭의여학교 문예반장이었던 당시 동갑인 황순원을 처음 만나 교제를 시작하여 1935년 2년만에 결혼. 2014년 9월 5일 낮 12시 50분 노환으로 별세.
작품과 인물
- 「곡예사」: 한국전쟁 당시 부산 남포동에서 처자를 거느린 가장의 애환을 곡예사 피에로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작가 황순원이 대구를 거쳐 부산으로 피난하여 살면서 지내는 모습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 「곡예사」 속 양정길: "한 걸음 떨어져 오던 아내가 가까이 와 한 팔을 내 허리에 돌린다. 이 단장 부인은 남편되는 단장의 곡예가 위태로워 보였던 모양이다. 나는 염려 말라고 아내의 손을 꼭 잡아 주었다. 그러는데 피애로 동아의 노래가 마지막 대목 다 가서 뚝 그친다. 이미 우리는 그 변호사댁이 있는 골목에 다다른 것이었다." - 작가 황순원의 가족들과 더불어 피난지 부산에서 부모님의 집에서 자기의 세들어 사는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으로 작품의 마지막 부분.
- 「참외」: 작가가 경기도 광주 일원리에 피난가서 작가 부친과 모친의 처소에서 무단으로 이웃집 참외를 깎아 먹으면서 느낀 소회를 그린 장면 속 양정길이 언급됨.
- 인용: <아내가 새로이 끝놈의 참외를 깎고 있다. 끝놈은 바싹 고개를 들이 밀고 붙어 앉았다. "달디?" 아내의 말에 끝 놈은 그렇다고 고대를 끄덕거린다. 나는 어린 것과 그런 말을 주고받는 아내에게까지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었다.어머니가 더 거기 서있을 수 없다는 듯이 밖으로 나가신다 씻지 않은 얼굴의 물방울은 그냥 물방울이 아니라 새로 흘리신 땀방울만 같았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으로 주인공의 아내가 마지막 참외를 깎아 놓자 막내가 눈치 없이 먹어 치우자 주인공의 어머니가 서운함을 느끼면서 밖으로 나가는 장면의 일부.
황순원과의 관계
- 황순원의 부인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의 부인.
출처
「월남문인의 형성과 정착과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황순원의 경우」, 이익성, 인문학지, 2017, Vol.54, pp.6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