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의 「호곡장론(好哭場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9번째 줄: | 9번째 줄: | ||
“[https://blog.naver.com/pdudskakk/60202468546 백탑(白塔)]이 보입니다.” | “[https://blog.naver.com/pdudskakk/60202468546 백탑(白塔)]이 보입니다.” | ||
− | 라고 했다. 태복은 정 진사(鄭進士)의 [마두]다. 그러나 산모롱이에 가려 백탑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 말을 채찍질하여 수 십 보를 가서 산모롱이를 벗어나자 안광(眼光)이 어른어른하는데 갑자기 검고 둥그런 덩어리 하나가 오르락내리락 하였다. [나는 오늘에야 처음으로 인생(人生)이란 아무런 의지하거나 붙일 곳 없이 하늘을 머리에 이고 땅을 밟으며 떠도는 것임을 알았다.] 말을 세우고 시방을 둘러보다가 나도 모르게 손을 이마에 얹고 말하기를, | + | 라고 했다. 태복은 정 진사(鄭進士)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199&cid=41826&categoryId=41826 마두]다. 그러나 산모롱이에 가려 백탑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 말을 채찍질하여 수 십 보를 가서 산모롱이를 벗어나자 안광(眼光)이 어른어른하는데 갑자기 검고 둥그런 덩어리 하나가 오르락내리락 하였다. [나는 오늘에야 처음으로 인생(人生)이란 아무런 의지하거나 붙일 곳 없이 하늘을 머리에 이고 땅을 밟으며 떠도는 것임을 알았다.] 말을 세우고 시방을 둘러보다가 나도 모르게 손을 이마에 얹고 말하기를, |
“아! 울기 좋은 곳이로구나, 가히 한 번 울 만하구나.” | “아! 울기 좋은 곳이로구나, 가히 한 번 울 만하구나.”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https://www.youtube.com/embed/nrVgO3HzHgg 기쁨이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노여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즐거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사랑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미움[惡]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욕심[欲]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가슴이 답답함을 풀어버림에는 소리(를 지르는 것)보다 더 빠른 것이 없으니, 울음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이지요. 지극한 정(情)이 우러나오는 것, 이것이 능히 이치에 맞는다면 울음과 웃음이 어찌 다르겠습니까?] | [https://www.youtube.com/embed/nrVgO3HzHgg 기쁨이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노여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즐거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사랑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미움[惡]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욕심[欲]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가슴이 답답함을 풀어버림에는 소리(를 지르는 것)보다 더 빠른 것이 없으니, 울음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이지요. 지극한 정(情)이 우러나오는 것, 이것이 능히 이치에 맞는다면 울음과 웃음이 어찌 다르겠습니까?] | ||
− | + | 살아가면서 일상의 감정(感情)이 모이더라도 이러한 지극한 것을 아직 경험하지 못하고서, 칠정을 교묘히 늘어놓으면서 슬픔에다 울음을 배치했으니, 이런 까닭으로 죽음에 임했을 때 비로소 억지로 울부짖는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embed/ptiaG1XVh2g 그러니 진실로 칠정에 감응(感應)하여 내는 지극하고 진실된 소리는 저 천지 사이에 참고 눌러서 천지 사이에 서리고 엉기어서 감히 펴내지 못하지요.] 저 가생(賈生: 한나라 문인 賈誼)은 울고 싶으나 울 곳을 얻지 못하고 참다가 별안간 선실(宣室 : 한나라 궁전)을 향해 한 마디 길게 울부짖었으니, 이 어찌 사람들이 놀라고 괴이하게 여기지 않으리오.” | |
라고 하니, 정 진사가 말하기를, | 라고 하니, 정 진사가 말하기를, |
2019년 9월 26일 (목) 22:43 판
본문
워드 클라우드
데이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