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박지원의 「호곡장론(好哭場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본문)
(본문)
9번째 줄: 9번째 줄:
 
“[https://blog.naver.com/pdudskakk/60202468546 백탑(白塔)]이 보입니다.”
 
“[https://blog.naver.com/pdudskakk/60202468546 백탑(白塔)]이 보입니다.”
  
라고 했다. 태복은 정 진사(鄭進士)의 마두(馬頭: 역마에 관한 일을 맡은 사람)다. 그러나 산모롱이에 가려 백탑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 말을 채찍질하여 수 십 보를 가서 산모롱이를 벗어나자 안광(眼光)이 어른어른하는데 갑자기 검고 둥그런 덩어리 하나가 오르락내리락 하였다. 나는 오늘에야 처음으로 인생(人生)이란 아무런 의지하거나 붙일 곳 없이 하늘을 머리에 이고 땅을 밟으며 떠도는 것임을 알았다. 말을 세우고 시방을 둘러보다가 나도 모르게 손을 이마에 얹고 말하기를,
+
라고 했다. 태복은 정 진사(鄭進士)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1826&docId=89199&categoryId=41826 마두]다. 그러나 산모롱이에 가려 백탑은 아직 보이지 않았다. 말을 채찍질하여 수 십 보를 가서 산모롱이를 벗어나자 안광(眼光)이 어른어른하는데 갑자기 검고 둥그런 덩어리 하나가 오르락내리락 하였다. 나는 오늘에야 처음으로 인생(人生)이란 아무런 의지하거나 붙일 곳 없이 하늘을 머리에 이고 땅을 밟으며 떠도는 것임을 알았다. 말을 세우고 시방을 둘러보다가 나도 모르게 손을 이마에 얹고 말하기를,
  
 
“아! 울기 좋은 곳이로구나, 가히 한 번 울 만하구나.”
 
“아! 울기 좋은 곳이로구나, 가히 한 번 울 만하구나.”
19번째 줄: 19번째 줄:
 
라고 물었다. 내가 말하기를,
 
라고 물었다. 내가 말하기를,
  
“맞습니다, 맞습니다. 아닙니다. 아닙니다. 천고의 영웅들은 울기를 잘 하였고, 미인들도 눈물이 많았다지요. 그러나 그들은 몇 줄기 눈물을 소리 없이 옷깃에 굴려 떨어뜨렸을 뿐이지요. 그래서 천지에 가득 찬 울음, 쇠나 돌 같은 것으로부터 울려나오는 울음소리는 듣지 못했지요. 그리고 사람들은 다만 [https://www.youtube.com/embed/yxObeALUwUo 칠정(七情: 喜·怒·哀·樂·愛·惡·欲의 일곱 가지 감정)] 가운데 슬플 때만 우는 줄로 알고, 칠정 모두가 울 수 있는 줄은 모릅니다.
+
“맞습니다. 천고의 영웅들은 울기를 잘 하였고, 미인들도 눈물이 많았다지요. 그러나 그들은 몇 줄기 눈물을 소리 없이 옷깃에 굴려 떨어뜨렸을 뿐이지요. 그래서 천지에 가득 찬 울음, 쇠나 돌 같은 것으로부터 울려나오는 울음소리는 듣지 못했지요. 그리고 사람들은 다만 칠정(七情: 喜·怒·哀·樂·愛·惡·欲의 일곱 가지 감정) 가운데 슬플 때만 우는 줄로 알고, 칠정 모두가 울 수 있는 줄은 모릅니다.
  
 
기쁨이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노여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즐거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사랑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미움[惡]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욕심[欲]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가슴이 답답함을 풀어버림에는 소리(를 지르는 것)보다 더 빠른 것이 없으니, 울음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이지요. 지극한 정(情)이 우러나오는 것, 이것이 능히 이치에 맞는다면 울음과 웃음이 어찌 다르겠습니까?
 
기쁨이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노여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즐거움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사랑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미움[惡]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욕심[欲]도 극에 이르면 울게 되고, 가슴이 답답함을 풀어버림에는 소리(를 지르는 것)보다 더 빠른 것이 없으니, 울음은 천지간에 우레와도 같은 것이지요. 지극한 정(情)이 우러나오는 것, 이것이 능히 이치에 맞는다면 울음과 웃음이 어찌 다르겠습니까?

2019년 9월 24일 (화) 23:41 판

작품 목록으로 돌아가기

본문

Quote-left.png {{{1}}} Quote-right.png
출처: 박지원, 『도강록』().


워드 클라우드

호곡장론

데이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