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論語集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一章, AAA010101)
(一章, AAA0101)
9번째 줄: 9번째 줄:
 
<br/>
 
<br/>
 
<big>
 
<big>
===='''AAA01010101'''====
+
===='''AAA010101'''====
 
<big>○學之爲言, 效也. 人性皆善, 而覺有先後,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big>
 
<big>○學之爲言, 效也. 人性皆善, 而覺有先後,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big>
===='''AAA01010102'''====
+
===='''AAA010102'''====
 
○習,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也.
 
○習,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也.
===='''AAA01010103'''====
+
===='''AAA010103'''====
 
○說, 喜意也, 旣學而又時時習之, 則所學者熟而中心喜說, 其進, 自不能已矣.
 
○說, 喜意也, 旣學而又時時習之, 則所學者熟而中心喜說, 其進, 自不能已矣.
===='''AAA01010104'''====
+
===='''AAA010104'''====
 
○程子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又曰, "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悅."<br/>
 
○程子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又曰, "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悅."<br/>
===='''AAA01010105'''====
+
===='''AAA010105'''====
 
○謝氏<ref>謝氏: 사량좌(謝良佐). 1050∼1103. 자(字)는 顯道, 이정(二程)의 문하에서 배웠다. 유초(游酢), 여대림(呂大臨), 양시(楊時)와 함께 정문사선생(程門四先生)으로 일컬어졌으며, 상채학파(上蔡學派)의 비조이며 상채선생(上蔡先生)으로 불렸다.</ref>曰, "時習者, 無時而不習, 坐如尸, 坐時習也, 立如齊, 立時習也."<ref>坐如尸, 立如齊: 『禮記』「曲禮」</ref>
 
○謝氏<ref>謝氏: 사량좌(謝良佐). 1050∼1103. 자(字)는 顯道, 이정(二程)의 문하에서 배웠다. 유초(游酢), 여대림(呂大臨), 양시(楊時)와 함께 정문사선생(程門四先生)으로 일컬어졌으며, 상채학파(上蔡學派)의 비조이며 상채선생(上蔡先生)으로 불렸다.</ref>曰, "時習者, 無時而不習, 坐如尸, 坐時習也, 立如齊, 立時習也."<ref>坐如尸, 立如齊: 『禮記』「曲禮」</ref>
 
<br/><br/>
 
<br/><br/>
===='''AAA01010106'''====
+
===='''AAA010106'''====
 
○朋, 同類也, 自遠方來, 則近者可知.<br/>
 
○朋, 同類也, 自遠方來, 則近者可知.<br/>
===='''AAA01010107'''====
+
===='''AAA010107'''====
 
○程子曰,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又曰, "說, 在心, 樂, 主發散, 在外."
 
○程子曰,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又曰, "說, 在心, 樂, 主發散, 在外."
 
<br/><br/>
 
<br/><br/>
===='''AAA01010108'''====
+
===='''AAA010108'''====
 
○慍, 含怒意. 君子, 成德之名.<br/>
 
○慍, 含怒意. 君子, 成德之名.<br/>
===='''AAA01010109'''====
+
===='''AAA010109'''====
 
○尹氏<ref>尹氏: 윤순? 윤돈?(尹焞). 1071-1142년. 북송 하남(河南) 사람. 자는 언명(彦明) 또는 덕충(德充)이고, 호는 화정(和靖)이며, 윤원(尹源)의 손자다. 젊었을 때 정이(程頤)를 사사(師事)했다. 원우(元祐) 4년(1089) 거인(擧人)이 되어 응거(應擧)했는데, 시제(試題)가 원우(元祐)의 제신(諸臣)들을 주륙(誅戮)해야 한다는 것을 보고 포기하고 돌아와 다시는 응시하지 않았다. 흠종(欽宗) 정강(靖康) 초에 종사도(種師道)가 천거하여 경사(京師)에 와 화정처사(和靖處士)란 호를 하사받았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초에 숭정전설서(崇政殿說書)와 예부시랑(禮部侍郞) 겸 시강(侍講), 휘유각대제(徽猷閣待制) 등을 역임했다. 상서하여 금나라와의 화의를 극력 반대하다가 치사(致仕)를 요청했다. 학문적으로는 내성함양(內省涵養)을 중시하고 박람(博覽)을 추구하지 않았다. 저서에 『논어맹자해(論語孟子解)』와 『화정집(和靖集)』, 『문인문답(門人問答)』이 있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ref>曰, "學, 在己, 知不知, 在人, 何慍之有."<br/>
 
○尹氏<ref>尹氏: 윤순? 윤돈?(尹焞). 1071-1142년. 북송 하남(河南) 사람. 자는 언명(彦明) 또는 덕충(德充)이고, 호는 화정(和靖)이며, 윤원(尹源)의 손자다. 젊었을 때 정이(程頤)를 사사(師事)했다. 원우(元祐) 4년(1089) 거인(擧人)이 되어 응거(應擧)했는데, 시제(試題)가 원우(元祐)의 제신(諸臣)들을 주륙(誅戮)해야 한다는 것을 보고 포기하고 돌아와 다시는 응시하지 않았다. 흠종(欽宗) 정강(靖康) 초에 종사도(種師道)가 천거하여 경사(京師)에 와 화정처사(和靖處士)란 호를 하사받았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초에 숭정전설서(崇政殿說書)와 예부시랑(禮部侍郞) 겸 시강(侍講), 휘유각대제(徽猷閣待制) 등을 역임했다. 상서하여 금나라와의 화의를 극력 반대하다가 치사(致仕)를 요청했다. 학문적으로는 내성함양(內省涵養)을 중시하고 박람(博覽)을 추구하지 않았다. 저서에 『논어맹자해(論語孟子解)』와 『화정집(和靖集)』, 『문인문답(門人問答)』이 있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ref>曰, "學, 在己, 知不知, 在人, 何慍之有."<br/>
===='''AAA01010110'''====
+
===='''AAA010110'''====
 
○程子曰, "雖樂於及人, 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愚謂 及人而樂者, 順而易, 不知而不慍者, 逆而難. 故惟成德者能之. 然德之所以成, 亦由學之正, 習之熟, 說之深而不已焉耳."<br/>
 
○程子曰, "雖樂於及人, 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愚謂 及人而樂者, 順而易, 不知而不慍者, 逆而難. 故惟成德者能之. 然德之所以成, 亦由學之正, 習之熟, 說之深而不已焉耳."<br/>
===='''AAA01010111'''====
+
===='''AAA010111'''====
 
○程子曰, "樂, 由說而後得, 非樂, 不足以語君子."
 
○程子曰, "樂, 由說而後得, 非樂, 不足以語君子."
 
<br/><br/>
 
<br/><br/>

2020년 12월 8일 (화) 03:12 판

『논어』 페이지로 가기

「學而」


一章, AAA0101


AAA010101

○學之爲言, 效也. 人性皆善, 而覺有先後, 後覺者必效先覺之所爲, 乃可以明善而復其初也.

AAA010102

○習, 鳥數飛也, 學之不已, 如鳥數飛也.

AAA010103

○說, 喜意也, 旣學而又時時習之, 則所學者熟而中心喜說, 其進, 自不能已矣.

AAA010104

○程子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又曰, "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悅."

AAA010105

○謝氏[1]曰, "時習者, 無時而不習, 坐如尸, 坐時習也, 立如齊, 立時習也."[2]

AAA010106

○朋, 同類也, 自遠方來, 則近者可知.

AAA010107

○程子曰,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又曰, "說, 在心, 樂, 主發散, 在外."

AAA010108

○慍, 含怒意. 君子, 成德之名.

AAA010109

○尹氏[3]曰, "學, 在己, 知不知, 在人, 何慍之有."

AAA010110

○程子曰, "雖樂於及人, 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愚謂 及人而樂者, 順而易, 不知而不慍者, 逆而難. 故惟成德者能之. 然德之所以成, 亦由學之正, 習之熟, 說之深而不已焉耳."

AAA010111

○程子曰, "樂, 由說而後得, 非樂, 不足以語君子."

二章



「爲政」




주석, Footnote

  1. 謝氏: 사량좌(謝良佐). 1050∼1103. 자(字)는 顯道, 이정(二程)의 문하에서 배웠다. 유초(游酢), 여대림(呂大臨), 양시(楊時)와 함께 정문사선생(程門四先生)으로 일컬어졌으며, 상채학파(上蔡學派)의 비조이며 상채선생(上蔡先生)으로 불렸다.
  2. 坐如尸, 立如齊: 『禮記』「曲禮」
  3. 尹氏: 윤순? 윤돈?(尹焞). 1071-1142년. 북송 하남(河南) 사람. 자는 언명(彦明) 또는 덕충(德充)이고, 호는 화정(和靖)이며, 윤원(尹源)의 손자다. 젊었을 때 정이(程頤)를 사사(師事)했다. 원우(元祐) 4년(1089) 거인(擧人)이 되어 응거(應擧)했는데, 시제(試題)가 원우(元祐)의 제신(諸臣)들을 주륙(誅戮)해야 한다는 것을 보고 포기하고 돌아와 다시는 응시하지 않았다. 흠종(欽宗) 정강(靖康) 초에 종사도(種師道)가 천거하여 경사(京師)에 와 화정처사(和靖處士)란 호를 하사받았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초에 숭정전설서(崇政殿說書)와 예부시랑(禮部侍郞) 겸 시강(侍講), 휘유각대제(徽猷閣待制) 등을 역임했다. 상서하여 금나라와의 화의를 극력 반대하다가 치사(致仕)를 요청했다. 학문적으로는 내성함양(內省涵養)을 중시하고 박람(博覽)을 추구하지 않았다. 저서에 『논어맹자해(論語孟子解)』와 『화정집(和靖集)』, 『문인문답(門人問答)』이 있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