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문제(Question)) |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center><h3 class="subheader">클래스('''Class''')</h3></center> | <center><h3 class="subheader">클래스('''Class''')</h3></center> | ||
---- | ---- | ||
− | <cente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험(Exam)]]}}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 | + | <cente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험(Exam)]]}}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문제(Question)|문제(Questi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답안(Answer)]]}}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권(Sigwon)|시권(Sigw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방목(Bangmok)]]}}<br/><br/>{{버튼클릭|참고서(Reference)}} {{버튼클릭|작품(Work)}} {{버튼클릭|간본(Publication)}} {{버튼클릭|문집(Collection)}} <br/><b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인물(Person)|인물(Pers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장소(Place)|장소(Place)]]}} {{버튼클릭|기관(Institution)}}</center> |
<br/><br/> | <br/><br/> | ||
<center><h3 class="subheader">속성('''Attribute''')</h3></center> | <center><h3 class="subheader">속성('''Attribute''')</h3></center>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width:100%; background:#F0F8FF;"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width:100%; background:#F0F8FF;" |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Source (A)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Target (B) !! style="width:6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Relationship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Source (A)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Target (B) !! style="width:6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white"|Relationship | ||
+ | |- | ||
+ | | 시험(Exam) || 시험(Exam)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험(Exam)|○시험('''Exam''')→시험('''Exam''')]]: '시험'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시험(Exam)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간(Time)|○시험('''Exam''')→시간('''Time''')]]: '시험'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시험(Exam)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간(Time)|○시험('''Exam''')→시간('''Time''')]]: '시험'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시험(Exam) || 장소(Plac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장소(Place)|○시험('''Exam''')→장소('''Place''')]]: '시험'과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문제(Question) || 시험(Exam)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문제(Question)→시험(Exam)|○문제('''Question''')→시험('''Exam''')]]: '문제'와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답안(Answer) || 문제(Question)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문제(Question)|○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시권(Sigwon) || 답안(Answer)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권(Sigwon)→답안(Answer)|○시권('''Sigwon''')→답안('''Answer''')]]: '시권'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방목(Bangmok) || 시험(Exam)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시험(Exam)|○방목('''Bangmok''')→시험('''Exam''')]]: '방목'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방목(Bangmok)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시간(Time)|○방목('''Bangmok''')→시간('''Time''')]]: '방목'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인물(Person) || 답안(Answer)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인물(Person)→답안(Answer)|○인물('''Person''')→답안('''Answer''')]]: '인물'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시간(Time)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장소(Place) || 장소(Plac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장소(Place)→장소(Place)|○장소('''Place''')→장소('''Place''')]]: '장소'와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 | ||
|} | |} | ||
63번째 줄: | 83번째 줄: | ||
<br/> | <br/> | ||
===='''시험(Exam)'''==== | ===='''시험(Exam)'''==== | ||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Description</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시험(Exam)</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시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행년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대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r/> | ||
+ | ○시험일자의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복시를 기준으로 정리했는데, 본 연구의 경우 시험의 개별 정보(초시/복시) 시행일자를 찾아서 연월일을 최대한 구분해서 입력한다. 구체적 월/일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목 정보'에 기재된 시험일을 기준으로 입력한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A(sortA) || 분류B(sortB) || 분류C(sortC) | ||
+ | |- | ||
+ | | 분류D(sortD) || 분류E(sortE) || 출처(Resource) ||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E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① 소과: 1393년_식년시소과_진사 / 1624년_증광시소과_초시<br/>② 대과: 1835년_증광시대과_종장<br/>③ 중시 : 예외적으로 1407년_중시_초장 (SortA에는 대과로 구분)<br/>④ 발영시, 진현시, 제주별시 등의 이름은 일단 나와있는대로 입력.<br/>⑤ 친시-별시, 회시-복시가 혼동될 경우 ‘친시’, ‘복시’(한중연 기준)로 입력<br/><br/> | ||
+ | <big><b>○분류A(sortA)</b></big><br/>대과(Big) / 소과(Small) 구분.<br/><br/> | ||
+ | <big><b>○분류B(sortB)</b></big><br/>생원(Scripture) / 진사(Literature) 구분.<br/><br/> | ||
+ | <big><b>○분류C(sortC)</b></big><br/>식년시, 증광시, 별시 등 시험종류 구분.<br/><br/> | ||
+ | <big><b>○분류D(sortD)</b></big><br/>초시(First) / 복시(Second) / 전시(ThrID) 구분.<br/><br/> | ||
+ | <big><b>○분류E(sortE)</b></big><br/>초장(1) / 중장(2) / 종장(3) 구분.<br/><br/> | ||
+ | <big><b>○출처(Resource)</b></big><br/>-방목, 연구서, 사료, 문집 가운데 해당 시험정보의 출처가 되는 정보를 입력.<br/>-연구서는 세부 Page 기재, 사료와 문집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사 URL 기재.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문제(Question)'''==== | ||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Description</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문제(Questi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문제)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시험(Exam) 정보를 기준으로 그에 해당하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대범주(category1) || 문체소범주(category2) || 요약(abstract) | ||
+ | |- | ||
+ | | 내용(content) || 출처(source) || 출처링크(sourceURL) || 해제(description)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① 소과 입력 원칙: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 초장(1)/중장(2)/종장(3)/모름(0) + 1소(1)/2소(2)/모름(0) + 문제순서(1부터 일괄 적용)/모름(0)<br/>② 대과 입력원칙: 기본적으로 소과의 방식을 따르되 전시 혹은 1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되는 시험들(정시,알성시,춘당대시 등)의 경우 모름 자체도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입력. →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까지만 입력.<br/>③ 京/鄕으로 구분되는 경우 우선 1/2로 입력 (일괄 변경 예정)<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초/중/종장, 시험 장소, 문체 등의 정보에 대해서 기재하지 않음. 예시: 1803년_증광시소과_초시_문제<br/><br/> | ||
+ | <big><b>○문체대범주(category1)</b></big><br/>시험 문제의 가장 큰 문체 범주(賦, 義, 疑, 策 등)를 입력. 예시: 策<br/><br/> | ||
+ | <big><b>○문체소범주(category2)</b></big><br/>오경의(五經義)와 같이 하위 범주가 있을 때 세부 과목명을 입력. 예시: 易義<br/><br/> | ||
+ | <big><b>○요약(abstract)</b></big><br/>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br/>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미입력.<br/><br/> | ||
+ | <big><b>○내용(content)</b></big><br/>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br/>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전문 입력.<br/><br/> | ||
+ | <big><b>○출처(source)</b></big><br/>방목출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요약(abstract)이나 내용(contents)을 웹 상에서 찾아보고 복수의 출전이 발견될 경우 모두 입력.<br/><br/> | ||
+ | <big><b>○출처링크(sourceURL)</b></big><br/>출처가 사료/문집의 경우 해당 자원을 제공하는 기관 아카이브의 URL을 입력.<br/><br/> | ||
+ | <big><b>○해제(description)</b></big><br/>문제에 관한 해제(해설)를 작성해서 입력. | ||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시권(Sigwon)'''==== | ||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Description</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을 기록한 답안지로서 <b>시권(Sigw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 권익문(權益文) 시권)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시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r/>○시권에 실린 답안(Text)에 관한 내용은 별도로 '답안(Answer)' 클래스에 정리한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분류(sort) || 설명(description) | ||
+ | |- | ||
+ | | 점수(grade) || 등제(rank) || 세로(height) || 가로(width) || 제공처(provider) | ||
+ | |- | ||
+ | | 원소장처(owner) || 제공링크(webURL) || ||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S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예시: S17100511SS125.<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한글이름(한자이름) + 시권. (답안 작성 논리에 의거). 예시: 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 | ||
+ | 권익문(權益文)_시권<br/><br/> | ||
+ | <big><b>○작성연대(year)</b></big><br/>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br/><br/> | ||
+ | <big><b>○분류(sort)</b></big><br/>소과 / 대과로 분류.<br/><br/> | ||
+ | <big><b>○설명(description)</b></big><br/>시권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기술. 예시: 1710년 증광시 소과 복시에서 유학 권익문(權益文)이 작성한 답안지<br/><br/> | ||
+ | <big><b>○점수(grade)</b></big><br/>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次下<br/><br/> | ||
+ | <big><b>○등제(rank)</b></big><br/>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三之二十<br/><br/> | ||
+ | <big><b>○세로(height)</b></big><br/>시권 원자료의 세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72.0<br/><br/> | ||
+ | <big><b>○가로(width)</b></big><br/>시권 원자료의 가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220.0<br/><br/> | ||
+ | <big><b>○제공처(provider)</b></big><br/>시권 원자료 제공 기관을 입력. 예시: 국립민속박물관<br/><br/> | ||
+ | <big><b>○원소장처(owner)</b></big><br/>시권 원자료를 원해 소장하고 있던 가문/개인을 입력. 예시: 광주 이장동 장흥고씨 수촌후손가<br/><br/> | ||
+ | <big><b>○제공링크(webURL)</b></big><br/>시권 원자료 실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URL. 예시: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501500100242400000<br/><br/> | ||
+ | |||
+ | <big><b>○요약(abstract)</b></big><br/>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 ||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방목(Bangmok)'''====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big>○ Description</big><br/> | <big>○ Description</big><br/> | ||
{{글상자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방목(Bangmok)</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경인증광사마방목(庚寅增廣司馬榜目)) |
}} | }} | ||
<big>○ Attribute</big><br/> | <big>○ Attribute</big><b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답안(Answer)'''==== | ||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Description</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답안(Answer)</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답안)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시권에 담긴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br/>○시권은 남아 있지 않지만, 문집이나 참고서에 기록된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br/>○방목의 시험 실시 정보와 함께 시권에 기재된 답안 작성자의 나이 기준도 동시에 검토한다.<br/>○초시의 경우, 방목에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문제와 답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향시(鄕試)일 가능성이 크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작자(writer) || 분류(sort) | ||
|- | |- | ||
− | | | + | | 원문(contentsO) || 번역(contentsT) || 요약(abstract)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A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구별번호의 경우 중복이 없으면 1, 중복이 생기면 시권목록의 A(번호)열을 중심으로 계산. 예시: A17100511SS125.<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답안. 예시: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답안<br/><br/> | ||
+ | <big><b>○작성연대(year)</b></big><br/>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br/><br/> | ||
+ | <big><b>○작자(writer)</b></big><br/>답안 작성자의 성명을 한글(한자) 형식으로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br/><br/> | ||
+ | <big><b>○분류(sort)</b></big><br/>소과 / 대과로 분류.<br/><br/> | ||
+ | <big><b>○원문(contentsO)</b></big><br/>답안의 원문 텍스트를 입력.<br/><br/> | ||
+ | <big><b>○번역(contentsT)</b></big><br/>답안의 번역문 텍스트를 입력.<br/><br/> | ||
+ | <big><b>○요약(abstract)</b></big><br/>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인물(Person)'''==== | ||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Description</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인물(Pers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권익문(權益文))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기본적으로는 과거시험의 합격자(합격답안 작성자)가 중심이 되겠으나, 응시자(불합격자)와 시험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괄한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이칭(alias) | ||
+ | |- | ||
+ | | 자字(courtesyname) || 호號(pseudonyms) || 생년(birthYear) || 몰년(deathYear) || 본관(origin) | ||
+ | |- | ||
+ | | 성씨(clan) || 거주지(residence) || ||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Pe + 출생연도 + 구별번호 + 이니셜(알파벳). 예시: PE166100KIM<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대표 이름으로 한글(한자) 병기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br/><br/> | ||
+ | <big><b>○한글명(korname)</b></big><br/>한글명 입력. 예시: 권익문<br/><br/> | ||
+ | <big><b>○한자명(chiname)</b></big><br/>한자명 입력. 예시: 權益文<br/><br/> | ||
+ | <big><b>○이칭(alias)</b></big><br/>정규적인 이름 외에 별명이나 별호 또는 족보상의 이름이 다를 경우 입력.<br/><br/> | ||
+ | <big><b>○자字(courtesyname)</b></big><br/>자字 입력. 예시: 숙빈(叔彬)<br/><br/> | ||
+ | <big><b>○호號(pseudonyms)</b></big><br/>호號 입력. 예시: 중심당(中心堂);두암(蠹庵)<br/><br/> | ||
+ | <big><b>○생년(birthYear)</b></big><br/>해당 인물이 태어난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661<br/><br/> | ||
+ | <big><b>○몰년(deathYear)</b></big><br/>해당 인물이 죽은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712<br/><br/> | ||
+ | <big><b>○본관(origin)</b></big><br/>해당 인물의 본관 정보를 입력. 예시: 안동<br/><br/> | ||
+ | <big><b>○성씨(clan)</b></big><br/>해당 인물의 성씨를 본관 + 성씨 형식으로 입력. 예시: 안동권<br/><br/> | ||
+ | <big><b>○거주지(residence)</b></big><br/>방목의 합격자 정보에 함께 기록된 거주지 정보를 입력. 예시: 한성(京)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시간(Time)'''==== | ===='''시간(Time)'''==== | ||
---- | ---- | ||
− | <br/><br/>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 + | <big>● Description</big><br/>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시간(Time)</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05월11일) | ||
+ | }} | ||
+ | <big>● Context</big><br/> | ||
+ | {{글상자 | ||
+ | |내용=<big>○시험의 일자(date) 정보를 연-월-일 단위로 나누어 입력한다.<br/>○월과 일 단위의 간지 정보는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생활천문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음양력 변환 데이터]를 이용한다.</big> | ||
+ | }} | ||
+ | <big>● Attribute</big><br/>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sort) || 연(year) || 월(month) | ||
+ | |- | ||
+ | | 일(day) || 연간지(y_sc) || 월간지(m_sc) || 일간지(d_sc) || 윤달(intercalary) | ||
+ | |- | ||
+ | | 양력(solar) || || ||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T + 연월일 정보 + 윤달여부(L). 예시: T13930503<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띄어쓰기 없이 이어서 작성. 예시: 1393년05월03일<br/><br/> | ||
+ | <big><b>○ 분류(sort)</b></big><br/>연(year), 월(month), 일(day) 가운데 확인되는 가장 세부적인 정보 입력. 예시: day<br/><br/> | ||
+ | <big><b>○ 연(year)</b></big><br/>해당 시간의 연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393<br/><br/> | ||
+ | <big><b>○ 월(month)</b></big><br/>해당 시간의 월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5<br/><br/> | ||
+ | <big><b>○ 일(day)</b></big><br/>해당 시간의 일자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3<br/><br/> | ||
+ | <big><b>○ 연간지(y_sc)</b></big><br/>해당 시간의 연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酉<br/><br/> | ||
+ | <big><b>○ 월간지(m_sc)</b></big><br/>해당 시간의 월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巳<br/><br/> | ||
+ | <big><b>○ 일간지(d_sc)</b></big><br/>해당 시간의 일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甲戌<br/><br/> | ||
+ | <big><b>○ 윤달(intercalary)</b></big><br/>윤달 여부를 확인해서, 윤달일 경우 ‘윤달’ 기재. 윤달이 아닐 경우 기재 안함.<br/><br/> | ||
+ | <big><b>○ 양력(solar)</b></big><br/>-음력 1582.09.18(선조15년 9월 18일)까지는 율리우스력 날짜를 기재.<br/>-음력 1582.09.19일부터는 그레고리력 날짜(양력 1582년 10월 15일)를 기재.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 | |||
+ | ===='''장소(Place)'''==== | ||
----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 + | <big>● Description</big><br/> |
+ | {{글상자 | ||
+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장소(Place)</b>를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예조(禮曹)) | ||
+ | }} | ||
+ | <big>● Context</big><br/> | ||
{{글상자 | {{글상자 | ||
− | |내용=<big> | + | |내용=<big>○방목 자료 등을 참고해서 시험장별 장소(건물)을 입력한다.<br/>○대과의 경우 시험 장소가 1소와 2소 구분되어 기재된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입력 정보에 반영한다.</big> |
}} | }} | ||
− | <big> | + | <big>● Attribute</big><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분류(sort) |
|- | |- | ||
− | | | + | | 위도(latitude) || 경도(longitude) || 출처(source) || || |
|- | |-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 | ||
+ | <big><b>○식별자(id)</b></big><br/>L + 세자리숫자번호(예:001) 형식으로 구성.<br/><br/> | ||
+ | <big><b>○대표명(name)</b></big><br/>장소 한글명(한자명). 예시: 비천당(丕闡堂)<br/><br/> | ||
+ | <big><b>○한글명(korname)</b></big><br/>장소 한글명. 예시: 비천당<br/><br/> | ||
+ | <big><b>○한자명(chiname)</b></big><br/>장소 한글명. 예시: 丕闡堂<br/><br/> | ||
+ | <big><b>○분류(sort)</b></big><br/>궁궐, 군영, 별당 등 지식백과 정의를 기준으로 입력. 분류 기준이 애매모호할 경우 우선 ‘건물’로 입력<br/><br/> | ||
+ | <big><b>○위도(latitude)</b></big><br/>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37.57792418344439<br/><br/> | ||
+ | <big><b>○경도(longitude)</b></big><br/>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126.97716607372911<br/><br/> | ||
+ | <big><b>○출처(source)</b></big><br/>장소가 적힌 출처를 기재. 예시: 숭정기원후5을유식년사마방목(崇禎紀元後五乙酉式年司馬榜目)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122번째 줄: | 372번째 줄: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black; width:100%; height:3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black; width:100%; height:3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 | ||
<br/> | <br/> | ||
+ | ===='''시험(Exam)→시험(Exam)'''====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ncludes'''</span> B : A는 B를 부속하다</big> | ||
+ | }} | ||
+ | <br/><br/> | ||
+ | |||
===='''시험(Exam)→시간(Time)'''==== | ===='''시험(Exam)→시간(Time)'''==== | ||
---- | ---- | ||
{{글상자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On'''</span> B : A는 B에 시행되다</big> |
+ | }} | ||
+ | <br/><br/> | ||
+ | |||
+ | ===='''시험(Exam)→장소(Place)'''====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At'''</span> B : A는 B에서 거행되다</big><br/><span style="color:red">※1소와 2소를 구분할 수 있을 경우, 1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1"로, 2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2"로 부여.</span> | ||
+ | }} | ||
+ | <br/><br/> | ||
+ | |||
+ | ===='''문제(Question)→시험(Exam)'''====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GivenIn'''</span> B : A가 B에서 출제되다</big> | ||
+ | }} | ||
+ | <br/><br/> | ||
+ | ===='''답안(Answer)→문제(Question)'''====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ResponseTo'''</span> B : A는 B의 답안이다</big> | ||
+ | }} | ||
+ | <br/><br/> | ||
+ | ===='''시권(Sigwon)→답안(Answer)'''====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contains'''</span> B : A가 B를 담다</big> | ||
+ | }} | ||
+ | <br/><br/> | ||
+ | |||
+ | ===='''방목(Bangmok)→시험(Exam)'''====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RecordOf'''</span> B : A는 B의 기록이다</big> | ||
+ | }} | ||
+ | <br/><br/> | ||
+ | ===='''방목(Bangmok)→시간(Time)'''====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AnnouncedOn'''</span> B : A는 B에 발표되다</big> | ||
+ | }} | ||
+ | <br/><br/> | ||
+ | |||
+ | ===='''인물(Person)→답안(Answer)'''====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WriterOf'''</span> B : A가 B의 작성자다</big> | ||
}} | }} | ||
<br/><br/> | <br/><br/> | ||
+ | |||
+ | ===='''시간(Time)→시간(Time)'''====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hasPart'''</span> B : A는 B를 포함하다</big> | ||
+ | }} | ||
+ | <br/><br/> | ||
+ | ===='''장소(Place)→장소(Place)'''==== | ||
+ | ---- | ||
+ | {{글상자 | ||
+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LocatedIn'''</span> B : A는 B에 위치하다</big> | ||
+ | }} | ||
+ | <br/><br/>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 ||
133번째 줄: | 450번째 줄: | ||
<br/> | <br/> | ||
<big> | <big> | ||
− | |||
{{NetworkGraph | title=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 {{NetworkGraph | title=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 ||
− | + | <br/><br/> | |
+ | {{NetworkGraph | title=SampleDataViz01.lst}} | ||
+ | <br/><br/> | ||
+ | {{NetworkGraph | title=SampleDataViz02.lst}} | ||
+ | <br/><br/> | ||
+ | {{NetworkGraph | title=SampleDataViz03.lst}} | ||
</big> | </big>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br/><br/><br/><br/> | <br/><br/><br/><br/> | ||
147번째 줄: | 467번째 줄: | ||
</font> | </font> | ||
==='''<span style="color:skyblue">Google Spreadsheet</span>'''=== | ==='''<span style="color:skyblue">Google Spreadsheet</span>'''=== | ||
+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링크)]<br/>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html><iframe width="100%" height="600" seamless frameborder="3" src="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iframe></html> | <html><iframe width="100%" height="600" seamless frameborder="3" src="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iframe></html> | ||
<br/><br/><br/> | <br/><br/><br/> | ||
− | ====<span style="color:skyblue">○ 스프레드시트 입력방법</span>==== | + | |
+ | |||
+ | <!-- | ||
+ | ====<span style="color:skyblue">○ 데이터 편찬 과업 구분</span>==== | ||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 ||
+ | 데이터 편찬은 1-3단계 과업으로 나누어 작업을 진행한다. | ||
+ | <br/><br/> | ||
+ | ○ 전체 작업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br/> | ||
+ | →1단계 : 2023년 05월부터 2023년 07월까지. 시험에 관한 기본 정보와 시간(년·월·일) 정보를 입력.<br/> | ||
+ | →2단계 : 2023년 09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시험과 관련된 정보(인물·장소·문체·문제 등등)를 입력.<br/> | ||
+ | <span style="color:red">※윤선영 선생님이 맡으신 '시권' 추가 입력 및 시험문제 출전 입력은 1-2단계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완료된 이후 진행할 계획.</span><br/> <br/> | ||
+ | ○ 준비물<br/> | ||
+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br/> | ||
+ | → 엑셀 데이터(1차년도 연구 결과물: 과시문제 파일)<br/> | ||
+ | → 몇 가지 참고자료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078602 『조선시대 문과백서』(송준호, 송만호 저)], [http://people.aks.ac.kr/index.aks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한중연)〉],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조선왕조실록』] 및 [https://sjw.history.go.kr/main.do 『승정원일기』] | ||
+ | <br/><br/> | ||
+ | ○ <span style="color: blue"><b>1차 과업 (2023.05-2023.07)</b></span> : 내용<br/><br/> | ||
+ | ○ <span style="color: blue"><b>2차 과업 (2023.0731.-2023.0827.)</b></span> : 내용.<br/><br/> | ||
+ | ○ <span style="color: blue"><b>3차 과업</b></span> : 내용<br/><br/> | ||
+ | </big> | ||
+ | <br/><br/> | ||
+ | |||
+ | ====<span style="color:skyblue">○ 1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방법</span>====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163번째 줄: | 508번째 줄: | ||
<br/><br/> | <br/><br/> | ||
− | ====<span style="color:skyblue">○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span>==== | + | ====<span style="color:skyblue">○ 1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span>====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big> | <big> | ||
− | ○ | + | ○ 검토 및 입력 대상<br/>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과 : 1,700여건<br/> | → 소과 : 1,700여건<br/> | ||
→ 대과 : 1,676여건<br/> | → 대과 : 1,676여건<br/> | ||
192번째 줄: | 529번째 줄: | ||
|05월15일 - 05월26일 || 1393년부터<br/>1397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445년부터<br/>1449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495년부터<br/>1504년까지<br/><small><b>(10년)</b></small> || 1595년부터<br/>16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695년부터<br/>17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795년부터<br/>18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05월29일 | |05월15일 - 05월26일 || 1393년부터<br/>1397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445년부터<br/>1449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495년부터<br/>1504년까지<br/><small><b>(10년)</b></small> || 1595년부터<br/>16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695년부터<br/>17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795년부터<br/>1804년까지<small><b>(10년)</b></small> || 05월29일 | ||
|- | |- | ||
− | |05월29일 - 06월09일 || | + | |05월29일 - 06월09일 || 1398년부터<br/>1402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450년부터<br/>1454년까지<br/><small><b>(5년)</b></small> || 1505년부터<br/>1514년까지<br/><small><b>(10년)</b></small> || 1605년부터<br/>161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705년부터<br/>1714년까지<small><b>(10년)</b></small> || 1805년부터<br/>1814년까지<small><b>(10년)</b></small> || 06월12일<br/><small>'''전체 검토회의'''</small> |
|- | |- | ||
− | |06월12일 - 06월23일 || | + | |06월12일 - 06월23일 || 1403년부터<br/>1422년까지<br/><small><b>(20년)</b></small> || 1455년부터<br/>1474년까지<br/><small><b>(20년)</b></small> || 1515년부터<br/>1554년까지<br/><small><b>(40년)</b></small> || 1615년부터<br/>1654년까지<small><b>(40년)</b></small> || 1715년부터<br/>1754년까지<small><b>(40년)</b></small> || 1815년부터<br/>1854년까지<small><b>(40년)</b></small> || 06월26일 |
|- | |- | ||
− | |06월26일 - 07월07일 || | + | |06월26일 - 07월07일 || 1423년부터<br/>1444년까지<br/><small><b>(20년)</b></small> || 1475년부터<br/>1494년까지<br/><small><b>(20년)</b></small> || 1555년부터<br/>1594년까지<br/><small><b>(40년)</b></small> || 1655년부터<br/>1694년까지<small><b>(40년)</b></small> || 1755년부터<br/>1794년까지<small><b>(40년)</b></small> || 1855년부터<br/>1894년까지<small><b>(40년)</b></small> || 07월10일<br/><small>'''전체 검토회의'''</small> |
− | |||
− | |||
− | |||
− | |||
|- | |- | ||
|} | |} | ||
</big> | </big> | ||
+ | <br/><br/> | ||
+ | |||
+ | ====<span style="color:skyblue">○ 2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방법</span>==== | ||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 ||
+ | </big> | ||
+ | <br/><br/> | ||
+ | ====<span style="color:skyblue">○ 2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span>==== | ||
+ |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
+ | <big> | ||
+ | </big> | ||
+ | --> | ||
+ | |||
<br/><br/><br/><br/><br/><br/> | <br/><br/><br/><br/><br/><br/> |
2024년 12월 21일 (토) 11:53 기준 최신판
수사문체와 논리구축 방식의 변천사 연구
through Building the DB System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Contents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과시(科試)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종합하여 목록화하고 DB로 구축함으로써 조선시대 과문의 특징을 파악하고 학술, 문학, 출판인쇄문화의 발달상을 이해하며, 나아가 수사문체 및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과거 문제 및 문체, ② 수험 결과물(시험 답안), ③ 수험 참고서 세 방면에서 DB를 구축하고 이를 문헌학적으로 연구하며, 이상을 토대로 ④ 조선시대의 수사문체와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⑤ 동아시아 과거 문화의 비교 연구 ⑥ 과거를 통한 지성사와 학술사의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단계 1년차 : 〈과거 문제 및 문체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방목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역사기록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1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1단계 2년차 : 〈수험 결과물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시권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2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1단계 3년차 : 〈수험 참고서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과거 참고서적, 운서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3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 2단계 :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기 구축한 DB에 대한 수정 보완과 추가 자료 보강 작업을 진행하면서, DB를 활용하여 아래의 주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매년 한 차례씩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총서를 출간한다. 2단계 1년차는 〈과거와 수사 문체 및 논리구축방식 연구〉, 2단계 2년차는 〈동아시아 과거 비교 연구〉, 2단계 3년차는 〈과거를 통한 조선시대 지성사와 학술사 연구〉를 진행한다.
Data Model
항목
클래스(Class)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Source (A) | Target (B) | Relationship |
---|---|---|
시험(Exam) | 시험(Exam) | ○시험(Exam)→시험(Exam): '시험'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험(Exam) | 시간(Time) | ○시험(Exam)→시간(Time): '시험'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험(Exam) | 장소(Place) | ○시험(Exam)→장소(Place): '시험'과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문제(Question) | 시험(Exam) | ○문제(Question)→시험(Exam): '문제'와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답안(Answer) | 문제(Question) | ○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권(Sigwon) | 답안(Answer) | ○시권(Sigwon)→답안(Answer): '시권'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방목(Bangmok) | 시험(Exam) | ○방목(Bangmok)→시험(Exam): '방목'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방목(Bangmok) | 시간(Time) | ○방목(Bangmok)→시간(Time): '방목'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인물(Person) | 답안(Answer) | ○인물(Person)→답안(Answer): '인물'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간(Time) | 시간(Time) | ○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장소(Place) | 장소(Place) | ○장소(Place)→장소(Place): '장소'와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클래스(Class)
시험(Exam)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시험(Exam)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
● Context
○시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행년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대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시험일자의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복시를 기준으로 정리했는데, 본 연구의 경우 시험의 개별 정보(초시/복시) 시행일자를 찾아서 연월일을 최대한 구분해서 입력한다. 구체적 월/일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목 정보'에 기재된 시험일을 기준으로 입력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A(sortA) | 분류B(sortB) | 분류C(sortC) |
분류D(sortD) | 분류E(sortE) | 출처(Resource) |
○식별자(id)
E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대표명(name)
① 소과: 1393년_식년시소과_진사 / 1624년_증광시소과_초시
② 대과: 1835년_증광시대과_종장
③ 중시 : 예외적으로 1407년_중시_초장 (SortA에는 대과로 구분)
④ 발영시, 진현시, 제주별시 등의 이름은 일단 나와있는대로 입력.
⑤ 친시-별시, 회시-복시가 혼동될 경우 ‘친시’, ‘복시’(한중연 기준)로 입력
○분류A(sortA)
대과(Big) / 소과(Small) 구분.
○분류B(sortB)
생원(Scripture) / 진사(Literature) 구분.
○분류C(sortC)
식년시, 증광시, 별시 등 시험종류 구분.
○분류D(sortD)
초시(First) / 복시(Second) / 전시(ThrID) 구분.
○분류E(sortE)
초장(1) / 중장(2) / 종장(3) 구분.
-방목, 연구서, 사료, 문집 가운데 해당 시험정보의 출처가 되는 정보를 입력.
-연구서는 세부 Page 기재, 사료와 문집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사 URL 기재.
문제(Questi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문제(Questi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문제)
● Context
○시험(Exam) 정보를 기준으로 그에 해당하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대범주(category1) | 문체소범주(category2) | 요약(abstract) |
내용(content) | 출처(source) | 출처링크(sourceURL) | 해제(description) |
○식별자(id)
① 소과 입력 원칙: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 초장(1)/중장(2)/종장(3)/모름(0) + 1소(1)/2소(2)/모름(0) + 문제순서(1부터 일괄 적용)/모름(0)
② 대과 입력원칙: 기본적으로 소과의 방식을 따르되 전시 혹은 1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되는 시험들(정시,알성시,춘당대시 등)의 경우 모름 자체도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입력. →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까지만 입력.
③ 京/鄕으로 구분되는 경우 우선 1/2로 입력 (일괄 변경 예정)
○대표명(name)
초/중/종장, 시험 장소, 문체 등의 정보에 대해서 기재하지 않음. 예시: 1803년_증광시소과_초시_문제
○문체대범주(category1)
시험 문제의 가장 큰 문체 범주(賦, 義, 疑, 策 등)를 입력. 예시: 策
○문체소범주(category2)
오경의(五經義)와 같이 하위 범주가 있을 때 세부 과목명을 입력. 예시: 易義
○요약(abstract)
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
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미입력.
○내용(content)
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
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전문 입력.
○출처(source)
방목출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요약(abstract)이나 내용(contents)을 웹 상에서 찾아보고 복수의 출전이 발견될 경우 모두 입력.
○출처링크(sourceURL)
출처가 사료/문집의 경우 해당 자원을 제공하는 기관 아카이브의 URL을 입력.
문제에 관한 해제(해설)를 작성해서 입력.
시권(Sigw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을 기록한 답안지로서 시권(Sigw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 권익문(權益文) 시권)
● Context
○시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시권에 실린 답안(Text)에 관한 내용은 별도로 '답안(Answer)' 클래스에 정리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분류(sort) | 설명(description) |
점수(grade) | 등제(rank) | 세로(height) | 가로(width) | 제공처(provider) |
원소장처(owner) | 제공링크(webURL) |
○식별자(id)
S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예시: S17100511SS125.
○대표명(name)
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한글이름(한자이름) + 시권. (답안 작성 논리에 의거). 예시: 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
권익문(權益文)_시권
○작성연대(year)
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
○분류(sort)
소과 / 대과로 분류.
○설명(description)
시권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기술. 예시: 1710년 증광시 소과 복시에서 유학 권익문(權益文)이 작성한 답안지
○점수(grade)
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次下
○등제(rank)
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三之二十
○세로(height)
시권 원자료의 세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72.0
○가로(width)
시권 원자료의 가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220.0
○제공처(provider)
시권 원자료 제공 기관을 입력. 예시: 국립민속박물관
○원소장처(owner)
시권 원자료를 원해 소장하고 있던 가문/개인을 입력. 예시: 광주 이장동 장흥고씨 수촌후손가
○제공링크(webURL)
시권 원자료 실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URL. 예시: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501500100242400000
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방목(Bangmok)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방목(Bangmok)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경인증광사마방목(庚寅增廣司馬榜目))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
답안(Answer)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Answer)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답안)
● Context
○시권에 담긴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
○시권은 남아 있지 않지만, 문집이나 참고서에 기록된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
○방목의 시험 실시 정보와 함께 시권에 기재된 답안 작성자의 나이 기준도 동시에 검토한다.
○초시의 경우, 방목에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문제와 답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향시(鄕試)일 가능성이 크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작자(writer) | 분류(sort) |
원문(contentsO) | 번역(contentsT) | 요약(abstract) |
○식별자(id)
A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구별번호의 경우 중복이 없으면 1, 중복이 생기면 시권목록의 A(번호)열을 중심으로 계산. 예시: A17100511SS125.
○대표명(name)
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답안. 예시: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답안
○작성연대(year)
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
○작자(writer)
답안 작성자의 성명을 한글(한자) 형식으로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
○분류(sort)
소과 / 대과로 분류.
○원문(contentsO)
답안의 원문 텍스트를 입력.
○번역(contentsT)
답안의 번역문 텍스트를 입력.
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인물(Pers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인물(Pers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권익문(權益文))
● Context
○기본적으로는 과거시험의 합격자(합격답안 작성자)가 중심이 되겠으나, 응시자(불합격자)와 시험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괄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이칭(alias) |
자字(courtesyname) | 호號(pseudonyms) | 생년(birthYear) | 몰년(deathYear) | 본관(origin) |
성씨(clan) | 거주지(residence) |
○식별자(id)
Pe + 출생연도 + 구별번호 + 이니셜(알파벳). 예시: PE166100KIM
○대표명(name)
대표 이름으로 한글(한자) 병기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
○한글명(korname)
한글명 입력. 예시: 권익문
○한자명(chiname)
한자명 입력. 예시: 權益文
○이칭(alias)
정규적인 이름 외에 별명이나 별호 또는 족보상의 이름이 다를 경우 입력.
○자字(courtesyname)
자字 입력. 예시: 숙빈(叔彬)
○호號(pseudonyms)
호號 입력. 예시: 중심당(中心堂);두암(蠹庵)
○생년(birthYear)
해당 인물이 태어난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661
○몰년(deathYear)
해당 인물이 죽은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712
○본관(origin)
해당 인물의 본관 정보를 입력. 예시: 안동
○성씨(clan)
해당 인물의 성씨를 본관 + 성씨 형식으로 입력. 예시: 안동권
방목의 합격자 정보에 함께 기록된 거주지 정보를 입력. 예시: 한성(京)
시간(Tim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시간(Time)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05월11일)
● Context
○시험의 일자(date) 정보를 연-월-일 단위로 나누어 입력한다.
○월과 일 단위의 간지 정보는 생활천문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음양력 변환 데이터를 이용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sort) | 연(year) | 월(month) |
일(day) | 연간지(y_sc) | 월간지(m_sc) | 일간지(d_sc) | 윤달(intercalary) |
양력(solar) |
○식별자(id)
T + 연월일 정보 + 윤달여부(L). 예시: T13930503
○대표명(name)
띄어쓰기 없이 이어서 작성. 예시: 1393년05월03일
○ 분류(sort)
연(year), 월(month), 일(day) 가운데 확인되는 가장 세부적인 정보 입력. 예시: day
○ 연(year)
해당 시간의 연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393
○ 월(month)
해당 시간의 월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5
○ 일(day)
해당 시간의 일자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3
○ 연간지(y_sc)
해당 시간의 연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酉
○ 월간지(m_sc)
해당 시간의 월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巳
○ 일간지(d_sc)
해당 시간의 일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甲戌
○ 윤달(intercalary)
윤달 여부를 확인해서, 윤달일 경우 ‘윤달’ 기재. 윤달이 아닐 경우 기재 안함.
-음력 1582.09.18(선조15년 9월 18일)까지는 율리우스력 날짜를 기재.
-음력 1582.09.19일부터는 그레고리력 날짜(양력 1582년 10월 15일)를 기재.
장소(Plac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장소(Place)를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예조(禮曹))
● Context
○방목 자료 등을 참고해서 시험장별 장소(건물)을 입력한다.
○대과의 경우 시험 장소가 1소와 2소 구분되어 기재된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입력 정보에 반영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분류(sort) |
위도(latitude) | 경도(longitude) | 출처(source) |
○식별자(id)
L + 세자리숫자번호(예:001) 형식으로 구성.
○대표명(name)
장소 한글명(한자명). 예시: 비천당(丕闡堂)
○한글명(korname)
장소 한글명. 예시: 비천당
○한자명(chiname)
장소 한글명. 예시: 丕闡堂
○분류(sort)
궁궐, 군영, 별당 등 지식백과 정의를 기준으로 입력. 분류 기준이 애매모호할 경우 우선 ‘건물’로 입력
○위도(latitude)
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37.57792418344439
○경도(longitude)
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126.97716607372911
장소가 적힌 출처를 기재. 예시: 숭정기원후5을유식년사마방목(崇禎紀元後五乙酉式年司馬榜目)
속성(Attribute)
식별자(id)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식별자 정보.
대표명(name)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대표명 정보.
관계(Relationship)
시험(Exam)→시험(Exam)
○ A includes B : A는 B를 부속하다
시험(Exam)→시간(Time)
○ A isHeldOn B : A는 B에 시행되다
시험(Exam)→장소(Place)
○ A isHeldAt B : A는 B에서 거행되다
※1소와 2소를 구분할 수 있을 경우, 1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1"로, 2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2"로 부여.
문제(Question)→시험(Exam)
○ A isGivenIn B : A가 B에서 출제되다
답안(Answer)→문제(Question)
○ A isResponseTo B : A는 B의 답안이다
시권(Sigwon)→답안(Answer)
○ A contains B : A가 B를 담다
방목(Bangmok)→시험(Exam)
○ A isRecordOf B : A는 B의 기록이다
방목(Bangmok)→시간(Time)
○ A isAnnouncedOn B : A는 B에 발표되다
인물(Person)→답안(Answer)
○ A isWriterOf B : A가 B의 작성자다
시간(Time)→시간(Time)
○ A hasPart B : A는 B를 포함하다
장소(Place)→장소(Place)
○ A isLocatedIn B : A는 B에 위치하다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Data
Google Spreadsheet
→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