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조해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400px ==인물 소개== *1941년 4월 18일 만주 출생 *1945년 해방과 함께 귀국 *1965년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 *1973년 동 대학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조해일.jpg|400px]]
+
[[파일:조해일.jpg|300px]]
  
 
==인물 소개==
 
==인물 소개==
 +
본명은 조해룡(趙海龍). 1941년 4월 18일 만주 출생. 1945년 귀국한 이후 서울에서 성장했다. 1961년 보성고를 거쳐 1965년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였고, 1973년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여 명예교수로 남았다. <ref>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ref>
  
*1941년 4월 18일 만주 출생
+
==업적==
 +
1970년 단편 「매일 죽는 사람」이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이후 「뿔」(1972), 「아메리카」(1972), 「무쇠탈」(1973), 「지붕 위의 남자」(1977), 「갈 수 없는 나라」(1978), 「낮꿈」(1980) 등 현실 풍자적이고 비판적인 작품을 계속 발표하였다.
  
*1945년 해방과 함께 귀국
 
  
*1965년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
+
==평가==
 +
그의 소설은 폭력배, 개도살장 백정, 지게꾼, 기지촌 창녀, 육군 병정, 임꺽정 등 다양한 계층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사건의 사소한 국면을 기발하게 포착하여 현실의 부조리‧불합리를 풍유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무자비한 폭력의 횡포에 대한 공포감을 즐겨 주제로 삼는 그의 작품은, 다양한 수법을 통해 현실의 고통을 미학적으로 융화시키는 능력을 보이고 있다. 그의 대부분의 소설들은 평균적 일상과 삶으로부터 일탈한 인간이 보여 줄 수 있는 ‘비극적인 아이러니’의 표정들을 머금고 있다. 그 인물들이 한결같이 표정짓고 있는 모습들은 칙칙한 회색의 이미지들로, 1960년대나 1970년대 초 도시(그렇다. 그의 소설의 감성이 기반하고 있는 것은 도시적 그것이다) 변두리의 궁색한 삶을 밑그림으로 하며, 그 발원지의 자양을 공급하는 것은 뿌리를 내리지 못한 하층민들이다. 그런데 그들로부터 작가가 흡수하는 것은 그 가난, 삶의 고통, 비애, 가난의 반복·재생산이지만, 그것을 착색하는 과정에서 보여 주는 동화적인 발상이 조해일 소설 문법의 주요한 기율을 이루고 있다. <ref>[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code_value=H&vvm_seq=8825&ccm_code=H041&ccm_subcode=H741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문학)]</ref>
  
*1973년 동 대학원 졸업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
==황순원과의 관계==
 +
* 황순원이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일하였던 시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현재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
* 황순원과 제자들인 경희대 국문과 출신 작가들이 네가지 테마별 작품을 엮은 소설집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집필에 참여하였다.
  
*1970년 단편소설 「매일 죽는 사람」이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 등단
 
  
 
+
==각주==
==수상내역==
+
<references/>
 
 
*1970년 「매일 죽는 사람」이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
 
 
 
 
 
==대표작==
 
 
 
*뿔
 
 
 
*아메리카
 
 
 
*왕십리
 
 
 
*겨울여자
 
 
 
*매일 죽는 사람
 
 
 
*우요일
 
 
 
*지붕 위의 남자
 
 
 
*엑스
 
 
 
*임꺽정에 관한 일곱 개의 이야기
 

2020년 7월 1일 (수) 19:47 기준 최신판

조해일.jpg

인물 소개

본명은 조해룡(趙海龍). 1941년 4월 18일 만주 출생. 1945년 귀국한 이후 서울에서 성장했다. 1961년 보성고를 거쳐 1965년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였고, 1973년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여 명예교수로 남았다. [1]

업적

1970년 단편 「매일 죽는 사람」이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이후 「뿔」(1972), 「아메리카」(1972), 「무쇠탈」(1973), 「지붕 위의 남자」(1977), 「갈 수 없는 나라」(1978), 「낮꿈」(1980) 등 현실 풍자적이고 비판적인 작품을 계속 발표하였다.


평가

그의 소설은 폭력배, 개도살장 백정, 지게꾼, 기지촌 창녀, 육군 병정, 임꺽정 등 다양한 계층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사건의 사소한 국면을 기발하게 포착하여 현실의 부조리‧불합리를 풍유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무자비한 폭력의 횡포에 대한 공포감을 즐겨 주제로 삼는 그의 작품은, 다양한 수법을 통해 현실의 고통을 미학적으로 융화시키는 능력을 보이고 있다. 그의 대부분의 소설들은 평균적 일상과 삶으로부터 일탈한 인간이 보여 줄 수 있는 ‘비극적인 아이러니’의 표정들을 머금고 있다. 그 인물들이 한결같이 표정짓고 있는 모습들은 칙칙한 회색의 이미지들로, 1960년대나 1970년대 초 도시(그렇다. 그의 소설의 감성이 기반하고 있는 것은 도시적 그것이다) 변두리의 궁색한 삶을 밑그림으로 하며, 그 발원지의 자양을 공급하는 것은 뿌리를 내리지 못한 하층민들이다. 그런데 그들로부터 작가가 흡수하는 것은 그 가난, 삶의 고통, 비애, 가난의 반복·재생산이지만, 그것을 착색하는 과정에서 보여 주는 동화적인 발상이 조해일 소설 문법의 주요한 기율을 이루고 있다. [2]


황순원과의 관계

  • 황순원이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일하였던 시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 황순원과 제자들인 경희대 국문과 출신 작가들이 네가지 테마별 작품을 엮은 소설집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집필에 참여하였다.


각주

  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 문화포털 예술지식백과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