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FuBiXingOfShijingDat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속성(Attribute))
(분석 결과)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br/><br/><br/>
 
<br/><br/><br/>
 
<html>
 
<html>
<center><font color="black" size="7"><b>『시경』에 나타나는 부비흥 문체 분석</b></font></center><br />
+
<center><font color="black" size="7"><b>『시경』에 나타나는 문체 및 소재 분석</b></font></center><br />
 
</html>
 
</html>
 
<br /><br/>
 
<br /><br/>
10번째 줄: 10번째 줄:
 
=='''연구 목적'''==
 
=='''연구 목적'''==
 
<br/>
 
<br/>
『시경』은 오경 중 하나로, 작품들의 내용이 풍부하고 문학사적 평가도 높으며, 상고의 사료로서도 귀중하다. 그러나, 『시경』과 관련한 연구, 논문 등을 살펴보았을 때 수사상 부(賦)·비(比)·흥(興)으로 분류가 가능하지만 이에 기거한 내용 분석은 찾아볼 수 없었다. <br/>
+
『시경』은 오경 중 하나로, 작품들의 내용이 풍부하고 문학사적 평가도 높으며, 상고의 사료로서도 귀중하다. 그러나, 『시경』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 등을 살펴보았을 때 수사상 부(賦)·비(比)·흥(興)으로 분류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기반한 내용 분석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시경의 작품들을 부(賦)·비(比)·흥(興)의 문체와 그 문체에서 이용한 소재 및 대상에 따라 분류 빛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체와 소재 대상 간의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br/><br/>
이에 시경의 작품들을 부(賦)·비(比)·흥(興)의 문체와 그 문체에서 이용한 소재, 그리고 이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구분 분석함으로써 문체별로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소재에 따라 나타내는 바가 상이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br/><br/>
 
  
 
=='''연구 대상'''==
 
=='''연구 대상'''==
 
<br/>
 
<br/>
연구 대상을 『시경』으로 선정한 이유는 무엇보다 현재 시경 수업을 수강하고 있어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부비흥의 경우 비슷한 부류의 소재더라도 나타내고자 하는 바는 다르다고 판단되어 이를 알아보는 것이 유의미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br/><br/>
 
 
 
『시경』이란<br/>
 
『시경』이란<br/>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오경(五經)의 하나로, 본래는 3,000여 편이었다고 전하나 공자에 의해 305편으로 간추려졌다.『사기』에 의하면 공자가 311편을 가려냈다 하나 이 중 여섯 편은 제목만 전한다. <br/><br/>
+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오경(五經)의 하나로, 본래는 3,000여 편이었다고 전해지나 공자에 의해 305편으로 간추려졌다. 『사기』에 의하면 공자가 311편을 가려냈다 하나 이 중 여섯 편은 제목만 전한다. 『시경』에 실린 노래들은 철기의 보급으로 농경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봉건제가 정착되어 사상과 예술이 처음으로 활짝 피던 주왕조 초에서 전국 중기에 불려졌다. 분포 지역은 황하를 중심으로 한 주나라 직할 경역이었으리라 추정된다.<br/>
『시경』에 실린 노래들은 철기의 보급으로 농경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봉건제가 정착되어 사상과 예술이 처음으로 활짝 피던 주왕조 초에서 전국 중기에 불려졌다. 분포 지역은 황하를 중심으로 한 주나라 직할 경역이었으리라 추정된다.<br/><br/>
+
『시경』 305편은 풍(風)·아(雅)·송(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풍은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며 여러 제후국에서 채집된 민요·민가이다. 사랑의 시가 대부분으로, 남녀간의 애틋한 정과 이별의 아픔 등이 아주 원초적인 목청으로 소박하게 그려져 있다. 아는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누어진다. 궁궐에서 연주되는 곡조에 붙인 가사로 귀족풍을 띠고 있다. 송은 종묘의 제사에 쓰이던 악가(樂歌)로, 주송(周頌)·노송(魯頌)·상송(商頌)이 있다. 풍·아·송에 부(賦)·비(比)·흥(興)을 더한 것이 이른바 육의(六義)인데, 논란이 있기는 하나 대개 전자는 내용·체재상의 구분이고 후자는 수사상의 분류로 본다.<br/>
『시경』 305편은 풍(風)·아(雅)·송(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풍은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며 여러 제후국에서 채집된 민요·민가이다. 사랑의 시가 대부분으로, 남녀간의 애틋한 정과 이별의 아픔 등이 아주 원초적인 목청으로 소박하게 그려져 있다. 아는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누어진다. 궁궐에서 연주되는 곡조에 붙인 가사로 귀족풍을 띠고 있다. 송은 종묘의 제사에 쓰이던 악가(樂歌)로, 주송(周頌)·노송(魯頌)·상송(商頌)이 있다. 풍·아·송에 부(賦)·비(比)·흥(興)을 더한 것이 이른바 육의(六義)인데, 논란이 있기는 하나 대개 전자는 내용·체재상의 구분이고 후자는 수사상의 분류로 본다.
+
고대 제왕들은 먼 지방까지 채시관(採詩官)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치에 참고로 삼았다고 하며, 조정의 악관(樂官)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에 힘썼다고 한다. 악보가 전해지지 않아 시의 곡조는 알 수 없다.<br/>
고대 제왕들은 먼 지방까지 채시관(採詩官)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치에 참고로 삼았다고 하며, 조정의 악관(樂官)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에 힘썼다고 한다. 악보가 전해지지 않아 시의 곡조는 알 수 없다.<br/><br/>
+
본 연구에서는 『시경』 중 풍(風)에 속하는 8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풍(風)은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의 15국풍 16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풍(鄭風)의 고구(羔裘)편까지 다루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
29번째 줄: 26번째 줄:
 
====클래스(Class)====
 
====클래스(Class)====
 
<br/>
 
<br/>
작품<br/>
+
{|class="wikitable"
장<br/>
+
! 명칭 || 설명
문체<br/>
+
|-
소재<br/>
+
| 작품 || 연구대상인 시경 내의 80편의 작품들
특성<br/>
+
|-
속성<br/><br/>
+
| 장구 || 각 작품마다 구성하고 있는 장. 보통 한 작품당 3장 또는 4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
|-
작품, 장, 문체, 소재, 특성 그리고 속성으로 클래스를 구성하였다.
+
| 소재 || 장구에서 언급한 소재
먼저 『시경』에 수록된 약 60편의 작품들을 선정한 뒤 작품들을 장으로 구분하고 각 장에 이용된 문체와 소재 그리고 나타내고자 하는 특성을 설명하는 구조이다. <br/>
+
|-
동일한 작품 내에서도 장별로 쓰여진 문체와 소재가 다른 경우가 적지 않아 위와 같이 작품과 별도로 '장'이라는 클래스를 만들었다. <br/>
+
| 대상 || 각 소재가 가리키는 실제 대상
또. 문체와 소재를 각각 다룸으로써 문체별 특징과 소재별 특징, 그리고 문체와 소재 간의 연관 관계를 찾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체와 소재라는 클래스를 별도로 만들었다. 다만, 앞으로의 연구 과정에서 문체와 소재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찾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br/>
+
|-
속성의 경우, 클래스에서 별도로 다루지 않는 풍, 아, 송 등의 내용 및 체제에 따른 분류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br/><br/>
+
| 속성 || 장구의 문체와 대상의 특성을 가려내기 위해 설정함
 +
|}
 +
<br/>
  
 
====관계(Relation)====
 
====관계(Relation)====
 
<br/>
 
<br/>
consistsOf - 구성되어있다 : 작품이 각각 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br/>
+
{|class="wikitable"
wasWrittenBy - 쓰여졌다 : 각각의 장은 부, 비, 흥 셋 중 하나의 문체로 쓰여짐<br/>
+
! 명칭 || 명령어 || 설명
uses - 이용하다 : 문체는 어떤 소재를 이용하고 있음<br/>
+
|-
expresses - 보여준다 : 그 소재는 이러한 특성을 보여줌<br/>
+
| 구성되어_있다 || consistsOf || 작품이 각각 장구로 구성되어 있음
hasAttribute - 속성을가지다 : 각 작품은 풍, 아, 송 중 하나에 속함<br/><br/>
+
|-
 +
| 언급하다 || mentions || 각각의 장구는 하나 이상의 소재를 언급함
 +
|-
 +
| 상응하다 || correspondsTo || 각각의 소재는 실제하는 대상과 상응함
 +
|-
 +
| 속성을_가지다 || hasAttribute || 장구의 문체 대상의 종류 및 분류를 설명함
 +
|}
 +
<br/>
  
 
====속성(Attribute)====
 
====속성(Attribute)====
『시경』 305편은 풍()·아()·송()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풍은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며 여러 제후국에서 채집된 민요·민가이다. 사랑의 시가 대부분으로, 남녀간의 애틋한 정과 이별의 아픔 등이 아주 원초적인 목청으로 소박하게 그려져 있다.아는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누어진다. 궁궐에서 연주되는 곡조에 붙인 가사로 귀족풍을 띠고 있다. 송은 종묘의 제사에 쓰이던 악가(樂歌)로, 주송(周頌)·노송(魯頌)·상송(商頌)이 있다. <br/><br/>
+
<br/>
 +
{|class="wikitable"
 +
|+ 장구 속성<ref>주희(朱熹), 『시집전(詩集傳)』</ref>
 +
! 문체 || style="width:70%;" | 설명
 +
|-
 +
| 부() || 그 사실을 펼치어 곧바로 말하는 것
 +
|-
 +
| 비() || 저 물건을 가지고 이 물건을 비유한 것
 +
|-
 +
| 흥() || 먼저 다른 물건을 말해서 읊으려고 하는 바의 말을 이끌어 일으키는 것
 +
|}
 +
<br/>
 +
{|class="wikitable"
 +
|+ 대상 속성1
 +
! 종류(kind) || style="width:70%;" | 설명
 +
|-
 +
| 동물 || 물수리, 말 등 생물권 중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생물로부터 양분을 얻어 살아가는 생물
 +
|-
 +
| 식물 || 노랑머리연꽃, 도꼬마리 등 생물권 중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하고, 옮겨 다니지 않고 한 자리에서 자라는 생물
 +
|-
 +
| 사물 || 동물, 식물과 같이 생명을 지니지 않고 자연에서 나지 않아 타의적으로 생긴 존재
 +
|-
 +
| 자연물 || 생명을 지니지 않으나 자연계에 있는, 저절로 생긴 물체
 +
|}
 +
<br/>
 +
{|class="wikitable"
 +
|+ 대상 속성2
 +
! 분류(sort) || style="width:70%;" | 설명
 +
|-
 +
| 포유류(동물) || -
 +
|-
 +
| 조류(동물) || -
 +
|-
 +
| 어류(동물) || -
 +
|-
 +
| 곤충(동물) || -
 +
|-
 +
| 풀(식물) || -
 +
|-
 +
| 꽃(식물) || -
 +
|-
 +
| 나무(식물) || -
 +
|-
 +
| 열매(식물) || -
 +
|-
 +
| 대기권(자연물) ||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지구를 싸고 있는 공기층
 +
|-
 +
| 암석권(자연물) ||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각 표층부
 +
|-
 +
| 수권(자연물) ||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기권의 수증기를 제외한 지구상의 물이 존재하는 곳으로 지구 표면에 해양 · 호소 · 하천 · 얼음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물의 범위
 +
|}
 +
<br/>
  
 
==='''데이터 샘플링'''===
 
==='''데이터 샘플링'''===
90번째 줄: 147번째 줄:
 
| 규목 3장 || 흥 || 식물 || 성격
 
| 규목 3장 || 흥 || 식물 || 성격
 
|}
 
|}
 +
<br/><br/>
 +
위 분석 결과 미비한 점 발견<br/>
 +
* 표현방식에 따라 장구를 세분화할 필요 있음<br/>
 +
* 동물, 식물 이외의 소재 또는 대상의 종류가 필요함<br/>
 +
* 감정, 성격 등의 모호한 특성보다는 소재 또는 대상에 따라 분류할 것<br/>
 +
* 유의미한 관계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 필요<br/><br/>
  
 
=='''연구 데이터'''==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
==='''데이터의 범위'''===
 +
[[파일:전체graph.png|가운데]] <br/>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Node
 +
| 작품 || 장구 || 소재 || 대상
 +
|-
 +
| 80 || 264 || 204 || 204
 +
|}
 
<br/>
 
<br/>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Link
 +
| 작품-장구 || 장구-소재 || 소재-대상
 +
|-
 +
| 264 || 360 || 204
 +
|}
 +
<br/>
 +
총 752개의 개별 Node와 828개의 Link 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
 +
<br/><br/>
 +
 +
==='''데이터 수집 및 처리 방법'''===
 +
 +
○ 데이터 가공 과정에서 사용한 기준
 +
* 소재 데이터에서의 기준 <br/>
 +
- 문체에 영향을 끼친 것을 최우선적으로 소재로 선정 ex) 연상관계를 이루는 '규목' <br/>
 +
- 특정한 관계를 이루지 않는 경우 감정을 촉발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소재로 선정 <br/>
 +
 +
* 대상 데이터에서의 종류 및 분류의 기준 <br/>
 +
- 대상의 종류(kind)는 생물을 두 가지로 나누어 동물과 식물 그리고 자연물, 사물로 구분 <br/>
 +
- 대상의 분류(sort)는 동물과 식물은 특성에 따라 각각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등) / (풀, 꽃, 나무, 열매 등) 으로 나누었고 자연물의 경우 지구 영역에 기초해 대기권, 암석권, 수권, 생물권으로 나누었다. 다만 생물권의 경우 이미 동물과 식물로 구성되어 제외. 사물은 구체적인 특성으로 나누기 모호하다고 판단 이 역시 제외함 <br/>
 +
 +
<br/>
 +
 
=='''연구 결과'''==
 
=='''연구 결과'''==
(내용 서술)
+
==='''Cypher Query''' 작성===
 +
<big>
 +
● 문제의식1: <span style="color: blue">특정 '''장구'''가 어떠한 '''문체'''로 언급되는 데 있어서 그 장구에서 사용한 '''소재'''가 어떠한 특정의 '''유형'''일 수도 있지 않을까?</span><br/>
 +
- 특정 장구의 문체 출력 : match (a:Verse{style:"흥(興)"}) / match (a:Verse{style:"부(賦)"}) / match (a:Verse{style:"비(比)"})<br/>
 +
- 특정 장구가 사용한 소재 출력 : match (a:Verse) - [r:mentions] -> (b:Subject) return a, r, b<br/>
 +
- 해당 소재가 상응하는 대상 출력 : match (a:Subject) - [r:corresondsTo] -> (b:Object) return a, r, b<br/>
 +
- 특정 대상의 유형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 <br/>
 +
<br/>
 +
최종정리 : ‘흥(興)’을 문체로 하는 장구가 사용한 소재와 그에 해당하는 대상 가운데 유형이 ‘동물’인 것만 출력<br/>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A) return a, r, b, q, c'''''<br/><br/>
 +
수정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 return a, r, b, q, c <br/>
 +
- node 대상의 class를 object로 수정하여 '흥'을 문체로 하는 장구가 사용한 소재와 그에 해당하는 대상을 한번에 본 후 <br/>
 +
- return 부분을 조금 수정하여 대상의 종류를 살펴보도록 쿼리 추가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 return c.label <br/><br/>
 +
● 문제의식2: <span style="color: blue">특정 '''문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상'''의 '''종류(sort)'''가 있지 않을까?</span><br/>
 +
- 특정 장구의 문체 출력 : match (a:Verse{style:"흥(興)"}) / match (a:Verse{style:"부(賦)"}) / match (a:Verse{style:"비(比)"})<br/>
 +
- 특정 장구가 사용한 소재 출력 : match (a:Verse) - [r:mentions] -> (b:Subject) return a, r, b<br/>
 +
- 해당 소재가 상응하는 대상 출력 : match (a:Subject) - [r:corresondsTo] -> (b:Object) return a, r, b<br/>
 +
- 특정 대상의 종류 출력 : match (a:ObjectA{sort:"조류"}) / match (a:ObjectP{sort:"풀"})<br/><br/>
 +
최종정리 : 특정 문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상의 종류 출력<br/>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A{sort:“조류”}) return a, r, b, q, c<br/>'''''
 +
수정 : 그래프가 아닌 표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판단. 위의 쿼리를 사용하되 다음의 쿼리를 이용해 좀 더 간단하게 결과 도출<br/>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N) return c.sort '''''
 +
<br/><br/>
 +
 
 +
● 문제의식3: <span style="color: blue">'''대상'''의 '''라벨링(label)'''에 따라 많이 사용된 문체가 있지 않을까?</span><br/>
 +
○ 질의어 수정 : '''''대상의 라벨링(label)을 이용해 어떤 대상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지 확인'''''<br/>
 +
- 대상의 라벨링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br/>
 +
- 라벨링이 ObjectA/P/N/T 인 대상을 표현한 소재 출력 :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return a, r, b<br/>
 +
- 그 소재가 언급된 장구 출력 : match (b:Subject) - [q:mentions] - (c:Verse)<br/>
 +
<br/>
 +
최종정리 : 특정 라벨링의 대상이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한 장구의 문체<br/>
 +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return a, r, b, q, c'''''
 +
<br/><br/>
 +
● 문제의식4: <span style="color: blue">작품을 기준으로 어떤 '''대상'''의 '''라벨링(label)'''이 제일 많이 사용되었을까?</span><br/>
 +
- 대상의 라벨링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br/>
 +
- 라벨링이 ObjectA/P/N/T 인 대상을 표현한 소재 출력 :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return a, r, b<br/>
 +
- 그 소재가 언급된 장구 출력 : match (b:Subject) - [q:mentions] - (c:Verse)<br/>
 +
- 해당 장구로 구성된 작품 출력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 [p:consistsOf] - (d:Work) <br/>
 +
<br/>
 +
최종정리 : 특정 라벨링의 대상이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한 장구의 문체<br/>
 +
'''''match (a:ObjectT) - [r:correspondsTo]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 [p:consistsOf] - (d:Work) return a, r, b, q, c, p, d'''''
 +
<br/><br/>
 +
 
 +
==='''분석 결과'''===
 +
<gallery mode="packed" caption="질의어1"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흥A.png|섬네일|가운데| 흥(興) - ObjectA <br/> 장구 25개, 대상 15개
 +
파일:흥P.png|섬네일|가운데| 흥(興) - ObjectP <br/> 장구 36개, 대상 24개
 +
파일:흥T.png|섬네일|가운데| 흥(興) - ObjectT <br/> 장구 7개, 대상 4개
 +
파일:흥N.png|섬네일|가운데| 흥(興) - ObjectN <br/> 장구 18개, 대상 12개
 +
파일:비A.png|섬네일|가운데| 비(比) - ObjectA  <br/> 장구 12개, 대상 6개
 +
파일:비P.png|섬네일|가운데| 비(比) - ObjectP  <br/> 장구 7개, 대상 7개
 +
파일:비T.png|섬네일|가운데| 비(比) - ObjectT  <br/> 장구 12개, 대상 13개
 +
파일:비N.png|섬네일|가운데| 비(比) - ObjectN  <br/> 장구 17개, 대상 15개
 +
파일:부A.png|섬네일|가운데| 부(賦) - ObjectA <br/> 장구 27개, 대상 16개
 +
파일:부P.png|섬네일|가운데| 부(賦) - ObjectP <br/> 장구 47개, 대상 38개
 +
파일:부T.png|섬네일|가운데| 부(賦) - ObjectT <br/> 장구 41개, 대상 47개
 +
파일:부N.png|섬네일|가운데| 부(賦) - ObjectN <br/> 장구 18개, 대상 12개
 +
</gallery>
 +
<br/>
 +
수정<br/>
 +
[[파일:질의어1수정.png]]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흥(興)
 +
| ObjectA || ObjectP || ObjectN || ObjectT
 +
|-
 +
| 13 || 23 || 12 || 11
 +
|}
 +
[[파일:질의어1수정2.png]]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비(比)
 +
| ObjectA || ObjectP || ObjectN || ObjectT
 +
|-
 +
| 6 || 7 || 16 || 12
 +
|}
 +
[[파일:질의어1수정3.png]]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부(賦)
 +
| ObjectA || ObjectP || ObjectN || ObjectT
 +
|-
 +
| 16 || 37 || 16 || 41
 +
|}
 +
<br/>
 +
결론<br/>
 +
* 흥(興)은 ObjectP 즉 식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br/>
 +
* 비(比)는 ObjectN 즉 자연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br/>
 +
* 부(賦)는 ObjectT 즉 사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br/><br/>
 +
 
 +
<div style="text-align:center;">'''질의어2''' </div>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흥(興)
 +
! Object || sort || 개수
 +
|-
 +
| ObjectA || 조류 || 7
 +
|-
 +
| ObjectA || 포유류 || 18
 +
|-
 +
| ObjectA || 전설 || 3
 +
|-
 +
| ObjectA || 어류 || -
 +
|-
 +
| ObjectA || 곤충 || -
 +
|-
 +
| ObjectP || 풀 || 24
 +
|-
 +
| ObjectP || 꽃 || 4
 +
|-
 +
| ObjectP || 나무 || 14
 +
|-
 +
| ObjectP || 열매 || -
 +
|-
 +
| ObjectN || 대기권 || 12
 +
|-
 +
| ObjectN || 암석권 || -
 +
|-
 +
| ObjectN || 수권 ||  6
 +
|}
 
<br/>
 
<br/>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비(比)
 +
! Object || sort || 개수
 +
|-
 +
| ObjectA || 조류 || 4
 +
|-
 +
| ObjectA || 포유류 || 5
 +
|-
 +
| ObjectA || 전설 || -
 +
|-
 +
| ObjectA || 어류 || 1
 +
|-
 +
| ObjectA || 곤충 || 3
 +
|-
 +
| ObjectP || 풀 || 2
 +
|-
 +
| ObjectP || 꽃 || -
 +
|-
 +
| ObjectP || 나무 || 6
 +
|-
 +
| ObjectP || 열매 || -
 +
|-
 +
| ObjectN || 대기권 || 16
 +
|-
 +
| ObjectN || 암석권 || -
 +
|-
 +
| ObjectN || 수권 ||  9
 +
|}
 +
<br/>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부(賦)
 +
! Object || sort || 개수
 +
|-
 +
| ObjectA || 조류 || 24
 +
|-
 +
| ObjectA || 포유류 || 3
 +
|-
 +
| ObjectA || 전설 || 2
 +
|-
 +
| ObjectA || 어류 || 2
 +
|-
 +
| ObjectA || 곤충 || 4
 +
|-
 +
| ObjectP || 풀 || 39
 +
|-
 +
| ObjectP || 꽃 || -
 +
|-
 +
| ObjectP || 나무 || 14
 +
|-
 +
| ObjectP || 열매 || 3
 +
|-
 +
| ObjectN || 대기권 || 9
 +
|-
 +
| ObjectN || 암석권 || 2
 +
|-
 +
| ObjectN || 수권 ||  8
 +
|}
 +
<br/><br/>
 +
결론<br/>
 +
* 흥(興)은 각각 조류, 풀, 대기권 / 비(比)는 조류, 나무, 대기권 / 부(賦)는 포유류, 풀, 대기권의 대상을 자주 언급하였다.<br/>
 +
* 문체와 상관없이 ObjectN 중 가장 많이 사용된 대상의 종류는 대기권이었다. <br/>
 +
* 대체로 문체가 무엇이든지 간에 ObjectP중 풀이 자주 사용되었다. <br/>
 +
* ObjectA에서 또한 문체와 별개로 대체로 조류가 많이 언급되었다. <br/><b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질의어3"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objectA.png|섬네일|가운데| 동물을 언급한 장구 64개
 +
파일:objectP.png|섬네일|가운데| 식물을 언급한 장구 90개
 +
파일:objectN.png|섬네일|가운데| 자연물을 언급한 장구 53개
 +
파일:objectT.png|섬네일|가운데| 사물을 언급한 장구 60개
 +
</gallery>
 +
<br/><br/>
 +
결론<br/>
 +
*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 및 대상의 종류는 objectP, 식물이다. <br/>
 +
* 자연물은 소재 및 대상의 종류 중 가장 적게 언급되었다. <br/><br/>
 +
<div style="text-align:center;">'''질의어4''' </div>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Object || 작품 개수
 +
|-
 +
| ObjectA || 31
 +
|-
 +
| ObjectP || 39
 +
|-
 +
| ObjectN || 26
 +
|-
 +
| ObjectT || 29
 +
|}
 +
<br/><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질의어4"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Animal.png|섬네일|가운데|동물을 언급한 작품 31편
 +
파일:Plant.png|섬네일|가운데|식물을 언급한 작품 39편
 +
파일:Nature.png|섬네일|가운데|자연물을 언급한 작품 26편
 +
파일:Thing.png|섬네일|가운데|사물을 언급한 작품 29편
 +
</gallery>
 +
<br/><br/>
 +
결론<br/>
 +
* 예상한 대로, Object P 즉, 식물이 소재 및 대상으로 같은 작품 내 장구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었다. <br/><br/>
 +
추가<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대상kind별 특성"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동물.png
 +
파일:식물.png
 +
파일:자연.png
 +
파일:사물.png
 +
</gallery>
 +
<br/>
 +
match (a:Object{label:"ObjectA"}) return a.nature<br/>
 +
match (a:Object{label:"ObjectP"}) return a.nature<br/>
 +
match (a:Object{label:"ObjectN"}) return a.nature<br/>
 +
match (a:Object{label:"ObjectT"}) return a.nature<br/>
 +
의 쿼리들을 이용하여 대상의 종류(kind)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
<br/><br/>
 +
엑셀 파일 또한 수정하였습니다.
 +
[[미디어:온톨로지설계 테이블정리 Neo4j활용 유선아 시경 ver0613.xlsx]]
 +
 +
==='''아쉬운 점'''===
 +
* 데이터의 양을 더 많이 했다면 시경을 총망라하여 살펴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br/>
 +
* 문체와 연관된 소재 또는 정서촉구/정보전달에 이용된 소재로 최대한 선정했으나 주관이 들어가는 부분이라 정확한 결과 도출에 방해가 된 것 같다.<br/>
 +
* 한자어와 실제 가리키는 대상이 다를 수 있음을 우려하여 소재와 대상을 분리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칡덩쿨 vs 칡 등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지나 한자어가 다르다는 이유로 두 가지의 다른 소재 및 대상으로 설정하여 어떤 소재 및 대상이 많이 언급됐는지 파악할 때 혼란이 생겼다. <br/>
 +
* 특정한 소재 및 대상이 많이 언급되었다면 그 소재 및 대상의 어떠한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까지 했다면 좀 더 바람직했을 것 같다. <br/>
 +
* 특히, 사물의 경우 실제로 해당 장구에서 유의미한 소재 및 대상인 것인지 확실하지 않아 그 데이터가 불확실하다.<br/><br/>
 +
 
=='''참고 자료'''==
 
=='''참고 자료'''==
(내용 서술)
+
朱憙, 『(懸吐完譯) 詩經集傳. 上』, 성백효 成百曉, 역,  傳統文化硏究會(1993), pp.1-260<br/>
 +
이채문. "시경소재와 부비흥(賦比興)." 中國文學硏究 12.1 (1994): 29-43.<br/>
 +
홍승직, 신현철.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를 통한 《時經》의 새로운 이해."-- (1999)<br/>
 
<br/>
 
<br/>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br/>
 
<br/>
 
[[분류: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1-1KU]]
 
[[분류: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1-1KU]]

2021년 6월 14일 (월) 02:36 기준 최신판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강의 페이지로 가기


『시경』에 나타나는 문체 및 소재 분석



연구 목적


『시경』은 오경 중 하나로, 작품들의 내용이 풍부하고 문학사적 평가도 높으며, 상고의 사료로서도 귀중하다. 그러나, 『시경』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 등을 살펴보았을 때 수사상 부(賦)·비(比)·흥(興)으로 분류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기반한 내용 분석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시경의 작품들을 부(賦)·비(比)·흥(興)의 문체와 그 문체에서 이용한 소재 및 대상에 따라 분류 빛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체와 소재 및 대상 간의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시경』이란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오경(五經)의 하나로, 본래는 3,000여 편이었다고 전해지나 공자에 의해 305편으로 간추려졌다. 『사기』에 의하면 공자가 311편을 가려냈다 하나 이 중 여섯 편은 제목만 전한다. 『시경』에 실린 노래들은 철기의 보급으로 농경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봉건제가 정착되어 사상과 예술이 처음으로 활짝 피던 주왕조 초에서 전국 중기에 불려졌다. 분포 지역은 황하를 중심으로 한 주나라 직할 경역이었으리라 추정된다.
『시경』 305편은 풍(風)·아(雅)·송(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풍은 국풍(國風)이라고도 하며 여러 제후국에서 채집된 민요·민가이다. 사랑의 시가 대부분으로, 남녀간의 애틋한 정과 이별의 아픔 등이 아주 원초적인 목청으로 소박하게 그려져 있다. 아는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누어진다. 궁궐에서 연주되는 곡조에 붙인 가사로 귀족풍을 띠고 있다. 송은 종묘의 제사에 쓰이던 악가(樂歌)로, 주송(周頌)·노송(魯頌)·상송(商頌)이 있다. 풍·아·송에 부(賦)·비(比)·흥(興)을 더한 것이 이른바 육의(六義)인데, 논란이 있기는 하나 대개 전자는 내용·체재상의 구분이고 후자는 수사상의 분류로 본다.
고대 제왕들은 먼 지방까지 채시관(採詩官)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치에 참고로 삼았다고 하며, 조정의 악관(樂官)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에 힘썼다고 한다. 악보가 전해지지 않아 시의 곡조는 알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경』 중 풍(風)에 속하는 8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풍(風)은 각기 15개국의 민요를 담고 있다. 단 주나라 본국의 민요의 경우, 주풍이 아니라, 왕풍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왕풍(王風)·정풍(鄭風)·제풍(齊風)·위풍(魏風)·당풍(唐風)·진풍(秦風)·진풍(陳風)·회풍(檜風)·조풍(曹風)·빈풍(豳風)의 15국풍 16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풍(鄭風)의 고구(羔裘)편까지 다루었다.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명칭 설명
작품 연구대상인 시경 내의 80편의 작품들
장구 각 작품마다 구성하고 있는 장. 보통 한 작품당 3장 또는 4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재 각 장구에서 언급한 소재
대상 각 소재가 가리키는 실제 대상
속성 장구의 문체와 대상의 특성을 가려내기 위해 설정함


관계(Relation)


명칭 명령어 설명
구성되어_있다 consistsOf 작품이 각각 장구로 구성되어 있음
언급하다 mentions 각각의 장구는 하나 이상의 소재를 언급함
상응하다 correspondsTo 각각의 소재는 실제하는 대상과 상응함
속성을_가지다 hasAttribute 장구의 문체 대상의 종류 및 분류를 설명함


속성(Attribute)


장구 속성[1]
문체 설명
부(賦) 그 사실을 펼치어 곧바로 말하는 것
비(比) 저 물건을 가지고 이 물건을 비유한 것
흥(興) 먼저 다른 물건을 말해서 읊으려고 하는 바의 말을 이끌어 일으키는 것


대상 속성1
종류(kind) 설명
동물 물수리, 말 등 생물권 중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생물로부터 양분을 얻어 살아가는 생물
식물 노랑머리연꽃, 도꼬마리 등 생물권 중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하고, 옮겨 다니지 않고 한 자리에서 자라는 생물
사물 동물, 식물과 같이 생명을 지니지 않고 자연에서 나지 않아 타의적으로 생긴 존재
자연물 생명을 지니지 않으나 자연계에 있는, 저절로 생긴 물체


대상 속성2
분류(sort) 설명
포유류(동물) -
조류(동물) -
어류(동물) -
곤충(동물) -
풀(식물) -
꽃(식물) -
나무(식물) -
열매(식물) -
대기권(자연물)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지구를 싸고 있는 공기층
암석권(자연물)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각 표층부
수권(자연물) 지구의 영역 네 가지 중 하나. 기권의 수증기를 제외한 지구상의 물이 존재하는 곳으로 지구 표면에 해양 · 호소 · 하천 · 얼음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물의 범위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문체가 무엇인지에 따라 어떤 소재를 사용하는지와 상관없이 특정 특성을 자주 드러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샘플 데이터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賦(부)의 경우에는 소재와 상관없이 작중화자의 감정을 주로 묘사할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이런 식으로 각각 문체와 소재에 따라 드러내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문체와 소재 간의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샘플 데이터
작품 및 장 문체 소재 특성
관저 1장 동물 관계
관저 2장 식물 법도
관저 3장 식물 법도
갈담 1장 식물 성격
갈담 2장 식물 성격
갈담 3장 - -
권이 1장 식물 감정
권이 2장 동물 감정
권이 3장 동물 감정
권이 4장 동물 감정
규목 1장 식물 성격
규목 2장 식물 성격
규목 3장 식물 성격



위 분석 결과 미비한 점 발견

  • 표현방식에 따라 장구를 세분화할 필요 있음
  • 동물, 식물 이외의 소재 또는 대상의 종류가 필요함
  • 감정, 성격 등의 모호한 특성보다는 소재 또는 대상에 따라 분류할 것
  • 유의미한 관계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 필요

연구 데이터

데이터의 범위

전체graph.png

Node
작품 장구 소재 대상
80 264 204 204


Link
작품-장구 장구-소재 소재-대상
264 360 204


총 752개의 개별 Node와 828개의 Link 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처리 방법

○ 데이터 가공 과정에서 사용한 기준

  • 소재 데이터에서의 기준

- 문체에 영향을 끼친 것을 최우선적으로 소재로 선정 ex) 연상관계를 이루는 '규목'
- 특정한 관계를 이루지 않는 경우 감정을 촉발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소재로 선정

  • 대상 데이터에서의 종류 및 분류의 기준

- 대상의 종류(kind)는 생물을 두 가지로 나누어 동물과 식물 그리고 자연물, 사물로 구분
- 대상의 분류(sort)는 동물과 식물은 특성에 따라 각각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등) / (풀, 꽃, 나무, 열매 등) 으로 나누었고 자연물의 경우 지구 영역에 기초해 대기권, 암석권, 수권, 생물권으로 나누었다. 다만 생물권의 경우 이미 동물과 식물로 구성되어 제외. 사물은 구체적인 특성으로 나누기 모호하다고 판단 이 역시 제외함


연구 결과

Cypher Query 작성

● 문제의식1: 특정 장구가 어떠한 문체로 언급되는 데 있어서 그 장구에서 사용한 소재가 어떠한 특정의 유형일 수도 있지 않을까?
- 특정 장구의 문체 출력 : match (a:Verse{style:"흥(興)"}) / match (a:Verse{style:"부(賦)"}) / match (a:Verse{style:"비(比)"})
- 특정 장구가 사용한 소재 출력 : match (a:Verse) - [r:mentions] -> (b:Subject) return a, r, b
- 해당 소재가 상응하는 대상 출력 : match (a:Subject) - [r:corresondsTo] -> (b:Object) return a, r, b
- 특정 대상의 유형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

최종정리 : ‘흥(興)’을 문체로 하는 장구가 사용한 소재와 그에 해당하는 대상 가운데 유형이 ‘동물’인 것만 출력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A) return a, r, b, q, c

수정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 return a, r, b, q, c
- node 대상의 class를 object로 수정하여 '흥'을 문체로 하는 장구가 사용한 소재와 그에 해당하는 대상을 한번에 본 후
- return 부분을 조금 수정하여 대상의 종류를 살펴보도록 쿼리 추가 :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 return c.label

● 문제의식2: 특정 문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상종류(sort)가 있지 않을까?
- 특정 장구의 문체 출력 : match (a:Verse{style:"흥(興)"}) / match (a:Verse{style:"부(賦)"}) / match (a:Verse{style:"비(比)"})
- 특정 장구가 사용한 소재 출력 : match (a:Verse) - [r:mentions] -> (b:Subject) return a, r, b
- 해당 소재가 상응하는 대상 출력 : match (a:Subject) - [r:corresondsTo] -> (b:Object) return a, r, b
- 특정 대상의 종류 출력 : match (a:ObjectA{sort:"조류"}) / match (a:ObjectP{sort:"풀"})

최종정리 : 특정 문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상의 종류 출력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A{sort:“조류”}) return a, r, b, q, c
수정 : 그래프가 아닌 표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판단. 위의 쿼리를 사용하되 다음의 쿼리를 이용해 좀 더 간단하게 결과 도출
match (a:Verse{style:"흥(興)"}) - [r:mentions] -> (b:Subject) - [q:correspondsTo] -> (c:ObjectN) return c.sort

● 문제의식3: 대상라벨링(label)에 따라 많이 사용된 문체가 있지 않을까?
○ 질의어 수정 : 대상의 라벨링(label)을 이용해 어떤 대상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지 확인
- 대상의 라벨링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
- 라벨링이 ObjectA/P/N/T 인 대상을 표현한 소재 출력 :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return a, r, b
- 그 소재가 언급된 장구 출력 : match (b:Subject) - [q:mentions] - (c:Verse)

최종정리 : 특정 라벨링의 대상이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한 장구의 문체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return a, r, b, q, c

● 문제의식4: 작품을 기준으로 어떤 대상라벨링(label)이 제일 많이 사용되었을까?
- 대상의 라벨링 출력 : match (a:ObjectA) / match (a:ObjectP) match (a:ObjectT) / match (a:ObjectN)
- 라벨링이 ObjectA/P/N/T 인 대상을 표현한 소재 출력 : match (a:ObjectA) - [r:correspondsTo] - (b:Subject) return a, r, b
- 그 소재가 언급된 장구 출력 : match (b:Subject) - [q:mentions] - (c:Verse)
- 해당 장구로 구성된 작품 출력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 [p:consistsOf] - (d:Work)

최종정리 : 특정 라벨링의 대상이 상응하는 소재를 사용한 장구의 문체
match (a:ObjectT) - [r:correspondsTo] - (b:Subject) - [q:mentions] - (c:Verse) - [p:consistsOf] - (d:Work) return a, r, b, q, c, p, d

분석 결과


수정
질의어1수정.png

흥(興)
ObjectA ObjectP ObjectN ObjectT
13 23 12 11

질의어1수정2.png

비(比)
ObjectA ObjectP ObjectN ObjectT
6 7 16 12

질의어1수정3.png

부(賦)
ObjectA ObjectP ObjectN ObjectT
16 37 16 41


결론

  • 흥(興)은 ObjectP 즉 식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비(比)는 ObjectN 즉 자연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부(賦)는 ObjectT 즉 사물에 속하는 대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질의어2
흥(興)
Object sort 개수
ObjectA 조류 7
ObjectA 포유류 18
ObjectA 전설 3
ObjectA 어류 -
ObjectA 곤충 -
ObjectP 24
ObjectP 4
ObjectP 나무 14
ObjectP 열매 -
ObjectN 대기권 12
ObjectN 암석권 -
ObjectN 수권 6


비(比)
Object sort 개수
ObjectA 조류 4
ObjectA 포유류 5
ObjectA 전설 -
ObjectA 어류 1
ObjectA 곤충 3
ObjectP 2
ObjectP -
ObjectP 나무 6
ObjectP 열매 -
ObjectN 대기권 16
ObjectN 암석권 -
ObjectN 수권 9


부(賦)
Object sort 개수
ObjectA 조류 24
ObjectA 포유류 3
ObjectA 전설 2
ObjectA 어류 2
ObjectA 곤충 4
ObjectP 39
ObjectP -
ObjectP 나무 14
ObjectP 열매 3
ObjectN 대기권 9
ObjectN 암석권 2
ObjectN 수권 8



결론

  • 흥(興)은 각각 조류, 풀, 대기권 / 비(比)는 조류, 나무, 대기권 / 부(賦)는 포유류, 풀, 대기권의 대상을 자주 언급하였다.
  • 문체와 상관없이 ObjectN 중 가장 많이 사용된 대상의 종류는 대기권이었다.
  • 대체로 문체가 무엇이든지 간에 ObjectP중 풀이 자주 사용되었다.
  • ObjectA에서 또한 문체와 별개로 대체로 조류가 많이 언급되었다.



결론

  •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 및 대상의 종류는 objectP, 식물이다.
  • 자연물은 소재 및 대상의 종류 중 가장 적게 언급되었다.

질의어4
Object 작품 개수
ObjectA 31
ObjectP 39
ObjectN 26
ObjectT 29





결론

  • 예상한 대로, Object P 즉, 식물이 소재 및 대상으로 같은 작품 내 장구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었다.

추가


match (a:Object{label:"ObjectA"}) return a.nature
match (a:Object{label:"ObjectP"}) return a.nature
match (a:Object{label:"ObjectN"}) return a.nature
match (a:Object{label:"ObjectT"}) return a.nature
의 쿼리들을 이용하여 대상의 종류(kind)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엑셀 파일 또한 수정하였습니다. 미디어:온톨로지설계 테이블정리 Neo4j활용 유선아 시경 ver0613.xlsx

아쉬운 점

  • 데이터의 양을 더 많이 했다면 시경을 총망라하여 살펴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 문체와 연관된 소재 또는 정서촉구/정보전달에 이용된 소재로 최대한 선정했으나 주관이 들어가는 부분이라 정확한 결과 도출에 방해가 된 것 같다.
  • 한자어와 실제 가리키는 대상이 다를 수 있음을 우려하여 소재와 대상을 분리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칡덩쿨 vs 칡 등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지나 한자어가 다르다는 이유로 두 가지의 다른 소재 및 대상으로 설정하여 어떤 소재 및 대상이 많이 언급됐는지 파악할 때 혼란이 생겼다.
  • 특정한 소재 및 대상이 많이 언급되었다면 그 소재 및 대상의 어떠한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까지 했다면 좀 더 바람직했을 것 같다.
  • 특히, 사물의 경우 실제로 해당 장구에서 유의미한 소재 및 대상인 것인지 확실하지 않아 그 데이터가 불확실하다.

참고 자료

朱憙, 『(懸吐完譯) 詩經集傳. 上』, 성백효 成百曉, 역, 傳統文化硏究會(1993), pp.1-260
이채문. "시경소재와 부비흥(賦比興)." 中國文學硏究 12.1 (1994): 29-43.
홍승직, 신현철.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를 통한 《時經》의 새로운 이해."-- (1999)

주석

  1. 주희(朱熹), 『시집전(詩集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