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DisciplesOfConfuciu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13명의 제자(사과십철(四科十哲)+3명)
 
|+ 13명의 제자(사과십철(四科十哲)+3명)
! width = "14%" style="background:lightgray;"|실명(實名) || width = "17%" style="background:lightgray;"| 자(字)<ref>실제의 이름(實名, 本名)이 아닌 부명(副名)으로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붙이는 이름. 말하는 측에서도 윗사람에 대해서는 자신의 실명을 말하지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래의 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에도 자를 사용하나, 손아랫사람인 경우, 특히 어버이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에는 실명을 사용하였다.</ref> ||" style="background:lightgray;" |나이(공자와 비교) || " style="background:lightgray;"| 출세여부|| " style="background:lightgray;"|공자 사후 7대 제자 포함 여부||" style="background:lightgray;"|언급횟수||" style="background:lightgray;"|사과(四科)
+
! width = "14%" style="background:lightgray;"|실명(實名) || width = "17%" style="background:lightgray;"| 자(字)<ref>실제의 이름(實名, 本名)이 아닌 부명(副名)으로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붙이는 이름. 말하는 측에서도 윗사람에 대해서는 자신의 실명을 말하지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래의 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에는 자를 사용하나, 손아랫사람인 경우, 특히 어버이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에는 실명을 사용하였다.</ref> ||" style="background:lightgray;" |나이(공자와 비교) || " style="background:lightgray;"| 출세여부|| " style="background:lightgray;"|공자 사후 7대 제자 포함 여부||" style="background:lightgray;"|언급횟수||" style="background:lightgray;"|사과(四科)
 
|-
 
|-
 
|顔回(안회) || 顔淵(안연) || 30살 아래 || X || X(사망) || 20회 || 덕행(德行)
 
|顔回(안회) || 顔淵(안연) || 30살 아래 || X || X(사망) || 20회 || 덕행(德行)
84번째 줄: 84번째 줄:
 
| 대화주제(키워드) || style="text-align:left"| 대화의 주제를 통해 제자의 특성, 공자의 평가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직까지는 대화의 주제를 해당 구절의 내용 요약 수준으로만 정리하였으며 추후에 핵심 키워드로 정리해볼 예정이다.
 
| 대화주제(키워드) || style="text-align:left"| 대화의 주제를 통해 제자의 특성, 공자의 평가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직까지는 대화의 주제를 해당 구절의 내용 요약 수준으로만 정리하였으며 추후에 핵심 키워드로 정리해볼 예정이다.
 
|-
 
|-
| 대화형식 ||  style="text-align:left"|  대화의 형식은 크게 '공자의 말씀', '공자와 제자간의 문답', '제자의 말', '대화'로 분류해볼 수 있다.
+
| 대화형식 ||  style="text-align:left"|  대화의 형식은 크게 '공자의 말씀', '공자와 제자간의 문답', '제자의 말'로 분류해볼 수 있다.
*'''말씀''' : 공자의 말씀을 의미하며, 제자에 대한 평가, 가르침 등등 문답, 제자의 말, 대화가 아니면 모두 '말씀'으로 분류하였다.
+
*'''말씀''' : 공자의 말씀을 의미하며, 제자에 대한 평가, 가르침 등등 문답, 제자의 말이 아니면 모두 '말씀'으로 분류하였다.
*'''문답''' : 제자와 공자간의 문답, 제자와 다른 제자간의 문답, 제자와 다른 인물과의 문답 모두를 포함한다.
+
*'''문답''' : 제자와 공자간의 대화(문답), 제자와 다른 제자간의 문답, 제자와 다른 인물과의 문답 모두를 포함한다.
 
*'''제자의 말''' : 제자가 독백으로 한 말, 제자가 공자를 평가하는 말 등을 포함한다.
 
*'''제자의 말''' : 제자가 독백으로 한 말, 제자가 공자를 평가하는 말 등을 포함한다.
*'''대화''' : 문답이 아닌 서로간의 의견을 토의하는 대화 형식을 의미한다.
 
 
|-
 
|-
 
| 관계(relation) || style="text-align:left"| 제자와 해당 구절간의 연관 관계를 의미한다. 제자가 언급된 구절들을 '평가(valuate)', '특성(define)', '언행(behaviour)', '일화(story)', '가르침(teach)', '제자의 평가'로 분류해볼 수 있다.
 
| 관계(relation) || style="text-align:left"| 제자와 해당 구절간의 연관 관계를 의미한다. 제자가 언급된 구절들을 '평가(valuate)', '특성(define)', '언행(behaviour)', '일화(story)', '가르침(teach)', '제자의 평가'로 분류해볼 수 있다.

2020년 10월 13일 (화) 17:38 기준 최신판

탐구의 목적

공자의 제자들은 총 3000명이 넘어갈 정도로 많았으며 그 중 72명이 우수했다고 한다. 『사기(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는

“공자의 제자는 3000명이었는데 몸소 육례(六藝)에 통달한 제자는 72인이었다.”라 하였다.

그리고 같은 책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에서는 실제로는 77인이라 하고 그 명단을 수록하고 있다. (칠십이제자해(七十二弟子解)에는 76인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으나 대동소이하다.) 학생들이 많았기에 그 수 전부를 공자가 가르칠 수는 없었으며 1대 제자가 2대 제자를 가르치는 식으로 가르침이 전파되었다. 다음 구절을 통해서 이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里仁(이인편) 제 15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참(參)아! 나의 도(道)는 하나의 이치가 꿰뚫고 있다.” 증자(曾子)가 “예.” 하고 대답하였다. 공자(孔子)께서 나가시자, 문인(門人)들이 “무슨 말씀입니까?” 하고 물으니, 증자(曾子)가 대답하였다. “선생님의 도(道)는 충(忠)과 서(恕)일 뿐이다.”

따라서 77제자가 공자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주요 핵심 인물이었고 이 중에서 29명의 제자가 『논어(論語)』에 언급된다. 모든 제자를 분석하기 보다는 먼저 그 중에서 핵심적인 제자 13명을 분석해본다. 다음 구절에서 언급되는 10명의 제자와 공자 사후 3명의 제자(증자, 자장, 유자)를 분석한다.

先進篇(선진편) 제 2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진(陳)나라와 채(蔡)나라에서 나를 따르던 자들이 지금 모두 문하(門下)에 있지 않구나.” 덕행(德行)에는 안연(顔淵)‧민자건(閔子騫)‧염백우(冉伯牛)‧중궁(仲弓)이었고, 언어(言語)에는 재아(宰我)‧자공(子貢)이었고,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자로(子路)이었고, 문학(文學)에는 자유(子游)‧자하(子夏)였다.

『논어』에서 발견되는 공자와 13명의 제자들 사이의 대화를 모두 수집해서 각 제자의 특징적인 면모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공자가 어느 제자를 좀 더 아끼고 좋게 평가하였는지를 알아본다. 사과십철(四科十哲) 중에서 어디과를 더 맘에 들어했으며, 어느 제자를 편애했는지에 따라 공자의 가치관, 삶의 모습을 파악해 볼 수 있고 그들을 향한 공자의 인간적 모습 또한 함께 재구성해본다.

탐구의 대상

논어에서는 총 29명의 제자가 등장한다. 이 중 先進篇(선진편) 제 2장에 주목해 공자가 진채(陳蔡)의 들판에서 위난을 당했을 때 함께 있던 제자들 10명(孔門十哲)과 공자 사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3명(증자,자장,유자)을 추가하여 분석한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 까지 공자에게 제사를 지낸다면 공자 문하 13명의 현자를 포함하여 제사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13명의 제자(사과십철(四科十哲)+3명)
실명(實名) 자(字)[1] 나이(공자와 비교) 출세여부 공자 사후 7대 제자 포함 여부 언급횟수 사과(四科)
顔回(안회) 顔淵(안연) 30살 아래 X X(사망) 20회 덕행(德行)
冉雍(염옹) 仲弓(중궁) 29살 아래 O(계씨의 가신일) X(기록X) 4회 덕행(德行)
冉耕(염경) 冉伯牛(염백우) 기록 없음 X X(사망) 2회 덕행(德行)
閔損(민손) 閔子騫(민자건) 13살 아래 X X(기록X) 5회 덕행(德行)
仲由(중유) 子路(자로), 季路(계로) 9살 아래 O(계씨의 가신일) X(사망) 41회 정사(政事)
冉求(염구)
존칭:冉子(염자)
冉有(염유) 29살 아래 O(계씨의 가신일) X(기록X) 14회 정사(政事)
言偃(언언) 子游(자유) 46살 아래 X O 8회 문학(文學)
商(복상) 子夏(자하) 44살 아래 X O 19회 문학(文學)
端木賜(단목사) 子貢(자공) 31살 아래 O(노나라의 대신) O 34회 언어(言語)
宰予(재여) 宰我(재아) 기록 없음 X O 5회 언어(言語)
曾參(증삼)
존칭:曾子(증자)
子輿(자여) 46살 아래 X O 15회 덕행(德行)-추정
顓孫師(전손사) 子張(자장) 48살 아래 X O 19회 정사(政事)-추정
有若(유약)
존칭:有子(유자)
子有(자유) 43살 아래 X O 4회 덕행(德行)-추정

탐구의 방법

자료의 수집

술이편(述而) 23장의 구절을 보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내가 숨기는 게 있다고 여기는가? 나는 너희들에게 숨기는 것이 없다. 무엇을 하든 너희들에게 보여주지 않음이 없는 사람이 바로 나이다."

공자와 제자들간의 대화를 보면 대부분 거리낌이 없고 솔직하며 거짓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논어 집주』 에서는 그들의 기쁨과 노함, 웃음과 욕설을 감추지 않고 있고, 일상의 일들을 생생하게 적어놓고 있다. 예를 들면, 先進篇(선진편) 16장에서 염유가 공자를 화나게 하자 그는 학생들더러

“염유는 우리 무리가 아니니, 제자들아! 북을 울려 그의 죄를 성토(聲討)함이 옳다.” 라고 말한다.

따라서 제자의 특징, 모습들, 공자의 인간적인 면모를 알기 위해, 솔직함이 담겨있고 직설적인 『논어 집주』에 집중하여 탐색한다. 다른 텍스트는 배제하고 오직 『논어 집주』에 집중하여 먼저 제자가 언급된 부분을 전부 끄집어낸다. 일단 공자 문하 핵심 13인의 제자를 중심으로 하되 필요할시 나머지 16명의 제자또한 포함할 생각이다. 자료의 수집은 제자별로 나누어서 각 팀원들이 『논어 집주』에 제자의 이름이 언급된 구절들을 모두 뽑아 표 형태로 재구성하고 온톨로지를 설계하였다. 모든 구절을 뽑아낸 뒤에는 다양하게 자료를 재구성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자의 실명(實名)을 쓰는 상황, 자(字)를 쓰는 상황, 나이(이것은 외부 텍스트를 이용했음) 차이 여부가 대화에 미치는 영향, 출세여부(관직에 등용되었는지 여부와 이에 대한 공자의 평가), 『논어 집주』에서 언급 횟수 등등 다양하게 분류를 해보고 자료를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의미, 면모를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자료의 구성

논어 집주 전편(총 20편)
변수명(Variables) 세부 설명
제자(弟子) 『논어 집주』 에 등장하는 총 29명의 제자 중 13명의 제자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편(篇) 『논어 집주』 에서 해당 구절의 편(篇)
장(章) 『논어 집주』 에서 해당 구절의 장(章)
구절(句節) 동양고전종합DB에 있는 『논어 집주』의 해당 구절 URL
대화주제(키워드) 대화의 주제를 통해 제자의 특성, 공자의 평가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직까지는 대화의 주제를 해당 구절의 내용 요약 수준으로만 정리하였으며 추후에 핵심 키워드로 정리해볼 예정이다.
대화형식 대화의 형식은 크게 '공자의 말씀', '공자와 제자간의 문답', '제자의 말'로 분류해볼 수 있다.
  • 말씀 : 공자의 말씀을 의미하며, 제자에 대한 평가, 가르침 등등 문답, 제자의 말이 아니면 모두 '말씀'으로 분류하였다.
  • 문답 : 제자와 공자간의 대화(문답), 제자와 다른 제자간의 문답, 제자와 다른 인물과의 문답 모두를 포함한다.
  • 제자의 말 : 제자가 독백으로 한 말, 제자가 공자를 평가하는 말 등을 포함한다.
관계(relation) 제자와 해당 구절간의 연관 관계를 의미한다. 제자가 언급된 구절들을 '평가(valuate)', '특성(define)', '언행(behaviour)', '일화(story)', '가르침(teach)', '제자의 평가'로 분류해볼 수 있다.
  • 평가(valuate) : 공자가 직접 제자의 인성, 성격을 평가하는 구절
  • 특성(define) : 공자가 직접 말로 평가하지 않았으나 논어집주에서 평가한 제자의 특성이 나타나는 구절
    • Ex)선진편 2장 덕행(德行)에는 안연(顔淵)‧민자건(閔子騫)‧염백우(冉伯牛)‧중궁(仲弓)이었고, 언어(言語)에는 재아(宰我)‧자공(子貢)이었고,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자로(子路)이었고, 문학(文學)에는 자유(子游)‧자하(子夏)였다
  • 언행(behavior) : 독자가 제자의 언행을 보고 성격, 사상을 추측할 수 있는 구절(다소 주관적)
  • 일화(story) : 제자의 성격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나 공자와 제자와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는 구절
    • Ex)선진편 9장에서 공자가 안연의 죽음에 대해 통곡하는 구절
  • 가르침(teach) : 공자가 제자와의 대화(문답)를 통해 가르침을 전함
  • 제자의 평가(think) : 제자가 생각하는 공자

온톨로지의 설계

  • 데이터 전처리

Excel프로그램을 이용해 각자 조사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6 by 191 표 형태로 정리했다. 각 열의 필드에 기입된 값을 먼저 엑셀 필터기능을 이용해서 일치한 데이터는 '기계적'으로 동일한 값으로 모두 수정했다. 예를 들어, 제자들의 경우, 子路(자로)가 仲由(중유), 季路(계로), 자로(子路), 자로 등 다양한 값으로 필드에 기입되어 있었다. 그래서 제자들의 이름을 모두 논어집주에 주로 언급되는 부명(副名)으로 통일시켰다. 마찬가지로 편, 장, 대화형식, 관계 class의 열들도 모두 field값을 표준화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 데이터 추출 및 온톨로지 작성

엑셀을 이용해 엑셀파일을 각 열이 tab키로 구분된 txt파일로 변환했다.

온톨로지에서 요구하는 구문은 '요소1' tab '요소2' tab '요소3' ... 형태이다.

그래서 원본 데이터 파일에서 필요한 요소의 열들을 복사하여 새로운 엑셀파일을 생성했고, 이를 tab키로 열이 구분된 txt파일로 저장했다.

이를 이용해 쉽게 데이터를 추출하여 쉽게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할 수 있었다


1. Class

Class의 경우 엑셀파일 헤더 부분의 열을 기입했다.

엑셀에는 편, 장 , 제자, 구절, 대화주제, 대화형식, 관계가 있었지만 대화주제의 경우 데이터를 표준화시키기가 어렵고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Nodes를 모두 기입해야하기 때문에 시간관계상 생략했다.

또한 구절은 편장 node에서 하이퍼링크로 바로 볼 수 있도록 설계했다.


2. Relation

isPartOf : '장'은 '편'에 소속관계임을 표현하기 위해 '부분이다' relation을 사용했다.

hasAttribute : 각 '장'은 '대화형식'과 '관계'속성을 가지므로 '속성을 갖는다' relation을 사용했다.

mentioned : '제자'들은 각 장에 언급되므로 '언급된다' relation을 사용했다.


3. Nodes

논어집주에서는 '편'의 경우 총 20편이 존재한다. 각 편에 해당하는 node를 아래와 같이 모두 기입해줬다.

학이(學而) 편(篇) 학이(學而) null http://dh.aks.ac.kr/~red/images/books.png 1

각 편은 책 표지 형태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설정했다.


'장'은 각각의 편에 존재하므로 아래와 같이 '편'+'장' 모두 표현되도록 node를 작성했다.

계씨1장 장(章) 1장 http://db.cyberseodang.or.kr/front/alphaList/BookMain.do?bnCode=jti_1h0301&titleId=C421 http://dh.aks.ac.kr/~red/images/records.png 1

'장'의 경우 여러명의 제자가 언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모두 제거해줬다. 158개의 장에 대해서 동양고전종합DB에서 제공하는 각 장에 대한 url로 하이퍼링크를 추가했고, 그래프에서 책 내부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했다.


'제자'class에는 총 13개의 Node과 존재한다. 각 Node는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

顔淵(안연) 제자(弟子) 顔淵(안연) null http://dh.aks.ac.kr/~red/images/person_ico_black.png 1

각 제자들은 그래프에서 검은 사람 아이콘으로 표현되도록 설정했다.


4. Links


'편'과 '장', '장'과 '제자', '장'과 '대화형식', '장'과 '관계'를 서로 이어줬다.

각 Node를 잇기 위해 총 663개의 Link를 작성했다. 다음은 각 Link의 예시이다.

'편'과 '장' : 계씨1장 계씨(季氏) isPartOf

'장'과 '제자' : 공야장6장 子路(자로) mentioned

'장'과 '대화형식' : 공야장8장 문답 hasAttribute

'장'과 '관계' : 자장22장 제자의평가 hasAttribute

편찬 데이터

제자 대화주제 대화형식 관계
안연 공야장(公冶長) 8 안회를 자공보다 높게 평가함 문답 평가
안연 공야장(公冶長) 25 안회의 소망은 잘하는 것을 자랑하지 않고 자만하지 않는 것 문답 언행
안연 옹야(雍也) 9 안회는 가난하게 살아도 근심하지 않고 즐겁게 삶 말씀 평가
안연 선진(先進) 9 안회의 죽음으로 공자가 통곡함 말씀 일화
중궁 옹야(雍也) 4 염옹은 반듯하고 유능하니 틀림없이 크게 잘 쓰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말씀 평가
중궁 안연(顔淵) 2 염옹이 '인'에 대해서 질문하고 공자께서 말씀하신 것을 실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 문답 가르침
염백우 옹야(雍也) 8 공자가 염백우의 문병을 가 매우 안타까워함 말씀 일화
민자건 선진(先進) 2 민자건은 덕행(德行)이 있는 자였음 말씀 특성
민자건 선진(先進) 4 민자건을 효심이 지극하다고 평가 말씀 평가
자로 공야장(公冶長) 6 자로는 용맹하나 사리에 맞지 않다고 평가 말씀 평가
자로 공야장(公冶長) 7 자로는 군정(軍政)에 능하나 인(仁)한지 모르겠다고 평가 말씀 평가
자로 자한(子罕) 26 공자가 자로의 선함에 대해 고평가. 자로는 이에 대해 매우 기뻐함 말씀 평가
자로 자로(子路) 3 자로의 물음에 대한 공자의 답변이 세상물정모른다고 자로가 말하자, 공자가 자로를 나무람 문답 가르침+제자의 평가
자로 자로(子路) 28 선비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로의 물음과 답변 문답 가르침
염유 옹야(雍也) 3 염유가 자화에게 곡식을 줄 것을 공자에게 청하자, 공자가 답한 것에 비해 독단적으로 많은 양을 주었음 문답 언행
염유 옹야(雍也) 6 염유는 다재다능하여 정사를 보기에 충분하다고 공자가 평가 문답 평가
염유 계씨(季氏) 1 계씨가 올바르지 못한 일을 행하는 것을 막지 못하고 변명하는 염구를 나무람 문답 평가+언행
자유 위정(爲政) 9 효가 무엇잇지에 대한 문답 문답 가르침
자유 이인(里仁) 26 간언과 충고의 부작용 자유의 말 언행
자유 양화(陽貨) 4 백성이 도를 배우면 윗사람을 잘 따른다, 닭 잡는데 소 잡는 칼 문답 가르침
자하 팔일(八佾) 8 공자가 자하의 시에 대한 식견을 칭찬함 문답 평가
자하 선진(先進) 15 과유불급,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함 문답 평가
자하 자장(子張) 4 군자가 되기에 작은 기예(技藝)는 추천하지 않음 자하의 말 언행
자공 학이(學而) 15 공자가 자공에게 비로소 함께 시에 대해 논할 수 있겠다고 칭찬 문답 평가+가르침
자공 공야장(公冶長) 12 공자의 가르침에 대해, 인생철학은 배웠지만 성명론과 우주론은 들어보지 못함 자공의 말 제자의 평가
자공 선진(先進) 2 말을 잘하기로는 재아, 자공 말씀 특성
자공 헌문(憲問) 31 자공이 남을 품평하는것을 공자가 비꼼 말씀 언행
재아 공야장(公冶長) 9 낮잠을 자는 재아를 꾸짖을 가치도 없다고 나무람 말씀 평가
자여 학이(學而) 9 부모 상을 신중히 모시고 선조를 추모하면 백성의 덕 두터워짐 자여의 말 언행
자여 태백(泰伯) 4 맹경자가 문병을 옴. 자여가 존중해야 할 세 가지 덕을 말함 자여의 말 언행
자장 안연(顔淵) 14 정치란 게을리 하지 말고 충성스럽게 행하는 것 문답 가르침
자장 자장(子張) 2 도덕에 대한 신념에 대해 이야기함 자장의 말 언행
유약 학이(學而) 12 예(禮)를 시행할 때는 화기(和氣)가 중요 유약의 말 언행
유약 학이(學而) 13 약속은 의(義)에 맞게, 공손함은 예(禮)에 맞게, 주인(主人)을 정할 때에 친할 만한 사람으로 정할 것 유약의 말 언행

각주

  1. 실제의 이름(實名, 本名)이 아닌 부명(副名)으로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붙이는 이름. 말하는 측에서도 윗사람에 대해서는 자신의 실명을 말하지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래의 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에는 자를 사용하나, 손아랫사람인 경우, 특히 어버이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에는 실명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