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謝申大丈敎授愚息澄

red

이규보 작품 목록

고전번역원 자료

원문과 번역문

「謝申大丈敎授愚息澄」 「신(申) 대장(大丈)이 내 아들 징(澄)을 가르치는 데 사례함」
我家第三兒曰澄。性不可雕如朽木。 내 셋째아들 징은, 썩은 나무 같아 새길 수 없네
行年壯大不解書。此是飯囊空貯粟。 장성한 나이인데 글을 알지 못하니, 밥주머니가 되어 곡식만 축내누나
易子而敎古所聞。無人爲發醯鷄覆。 자식 바꿔 가르친단 옛말이 있지만, 초파리 같은 놈 깨우칠 이 없었다오
大丈年耆學更精。孝先經笥便便腹。 그대는 늙을수록 학문 더욱 정심(精深)하여, 경서 상자로 배가 뚱뚱했던 효선과 같구나.
骨淸神朗眼如鏡。五經寫作蠅頭讀。 정신이 맑고 깨끗하며 눈도 거울 같아, 오경을 깨알같이 베껴 써서 읽네.
童蒙來求不敢拒。學子成林家有塾。 동몽들이 배우기를 청하면 거절하지 않으니, 학생이 모여들어 서숙(書塾)을 이루었네
鳥雀爭附鸞凰飛。螟蛉幸逢蜾蠃祝。 참새는 다투어 난봉을 따라 날고, 뽕벌레는 다행히 나나니벌 만나 닮기를 비네
不嫌阿兒鋒刃鈍。着手磨礱期切玉。 내 자식 우둔함을 혐의치 않고, 갈고 다듬어 옥 만들기를 기약하누나
感君厚意何以報。但願長生鬢還綠。 그대의 후의를 무엇으로 갚을까, 장수하여 머리털 다시 검기만 바랄 뿐일세
吾聞魯國有申公。居家敎授老彌篤。 들으니 노 나라 신공은, 집에서 학동을 가르치며 늙을수록 부지런하여
虎皇重學蒲輪徵。八十方食大夫祿。 한 무제(漢武帝)가 학문을 중히 여겨 포륜으로 부르니, 팔십에 비로소 대부의 녹을 먹었다네
先生家世豈其孫。欲振祖風將大復。 선생은 어쩌면 그의 자손으로, 조상의 풍도를 크게 일으키려 하심인지
束帛加璧召未晚。暮年榮貴行可卜。 폐백(幣帛)으로 부를 날 멀지 않으리니, 모년의 영귀를 쉬 기약하리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작품 : 신 대장이...(중략)...사례함 구절 : 大丈年耆學更精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작품 : 신 대장이...(중략)...사례함 구절 : 孝先經笥便便腹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작품 : 신 대장이...(중략)...사례함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작품 : 신 대장이...(중략)...사례함 구절 : 五經寫作蠅頭讀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구절 : 五經寫作蠅頭讀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구절 : 孝先經笥便便腹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구절 : 孝先經笥便便腹 구절 : 大丈年耆學更精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표현 : 骨淸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표현 : 神朗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표현 : 眼如鏡 구절 : 骨淸神朗眼如鏡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글자 : 표현 : 骨淸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글자 : 표현 : 神朗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글자 : 표현 : 眼如鏡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글자 : 표현 : 眼如鏡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글자 : imagery : 맑음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글자 : imagery : 밝음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글자 : imagery : 눈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글자 : imagery : 거울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