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

pungseok
민철기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18일 (금) 14:5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운지(怡雲志) 목차

이운지 권제1 怡雲志 卷第一 임원십육지 99 林園十六志 九十九

은거지[衡泌]의 배치 衡泌舗置

1. 총론 總論
1) 산골 거주지의 7가지 빼어난 경치 山居七勝
2) 산골에 사는 4가지 방법 居山四法
3) 집 지어 노후 즐기기 卜築娛老
4) 매화 심고 학(鶴) 기르기 種梅養鶴說
5) 작은 봉래산 小蓬萊
6) 고아한 배치와 속된 배치 論位置雅俗

2. 원림과 연못 園林、 澗沼
1) 장취원(將就園, 이상향의 정원)
2) 용도서[龍圖墅, 하도(河圖)를 본뜬 별장]
3) 구문원[龜文園, 낙서(洛書)를 본뜬 정원]
4) 정원에 울타리 치는 법 籬園法
5) 구경에 나무 심는 법 九徑種樹法
6) 큰 못과 작은 못 大小池塘
7) 흙을 구워 못 만드는 법 燔土作池法
8) 분지(盆池, 항아리를 이용한 못) 만드는 법 作盆池法
9) 못의 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법 池水禁涸法
10) 못 주변에 석가산(石假山, 돌로 만든 인공산) 만드는 법 池邊石假山法
11) 샘물 끌어들이는 법 引泉法
12) 가산으로 뱀을 물리치고 안개 일으키는 방법 假山辟蛇起霧方


3. 임원 삶터의 여러 건축물과 정자 齋寮亭榭
1) 서재 書齋
2) 원실 圜室
3) 온각 熅閣
4) 다료 茶寮
5) 약실 藥室
6) 금실 琴室
7) 장서각(藏書閣, 도서실)
8) 취진당(聚珍堂, 출판하는 곳)
9) 영빈관(迎賓館)
10) 의숙(義塾, 교육기관)
11) 사정(射亭, 활쏘기 하는 정자)
12) 망행정(望杏亭, 농사 살피는 정자)
13) 첨포루(瞻蒲樓, 추수 살피는 누각)
14) 춘경료(春鶊寮, 누에방)와 추솔와(秋蟀窩, 길쌈방)
15) 전어사(佃漁社, 가축우리 및 양어장과 고기잡이 시설) 16) 포정(圃亭, 텃밭 정자)
17) 계정(溪亭, 시냇가 정자)
18) 강루(江樓, 강가 누각)
19) 수사(水榭, 저수지가 정자)
20) 죽정(竹亭, 대나무 정자)
21) 회백정(檜柏亭, 향나무 정자)
22) 모정(茆亭, 띠풀로 만든 정자)
23) 송헌(松軒, 소나무 사이에 세운 헌)
24) 택승정(擇勝亭, 이동식 정자)
25) 관설암 觀雪庵
26) 차여택 此予宅


4. 궤(几)와 탑(榻)과 문구(文具)의 배치 几榻、 文具
1) 좌궤(坐几, 작은 탁자)
2) 앉는 데 쓰이는 가구 坐具
3) 서가(書架)와 책궤 架橱
4) 그림 걸기 懸畫
5) 향로(香罏) 배치 置罏
6) 꽃병 배치 置缾
7) 작은 방의 가구 배치 小室位置
8) 침실[臥室]의 가구 배치 臥室位置
9) 창실의 가구 배치 敞室位置
10) 정자의 가구 배치 亭榭位置


휴양(休養)에 필요한 도구 怡養器具

1. 상(牀)과 탑(榻) 牀榻
1) 이의상(二宜牀, 여름·겨울에 모두 알맞은 평상)
2) 죽탑(竹榻, 대나무 평상)
3) 고배(靠背, 등받이)
4) 고궤(靠几, 안석)
5) 의상(欹床, 비스듬히 기대어 책 보는 평상)
6) 취상(醉床, 술 마시기 좋은 평상)
7) 단탑(短榻, 길이가 짧은 평상)
8) 등돈(藤墩, 등나무 걸상)
9) 포돈(蒲墩, 부들 걸상)
10) 곤등(滾凳, 발 굴림 걸상)
11) 선의(仙椅, 명상용 의자)
12) 은궤(隱几, 기대는 궤)
13) 나판(懶版, 나른해질 때의 휴식용 평상)
14) 천연탑(天然榻, 천연 그대로의 평상)
15) 선의(禪椅, 참선용 의자)

2. 침구류 枕褥
1) 베개 枕
2) 서침(書枕, 서재용 베개)
3) 포화욕(蒲花褥, 부들꽃 요)
4) 노화피(蘆花被, 갈대꽃 이불)
5) 은낭(隱囊, 몸을 기대는 자루)
6) 자리[簟]
7) 좌단(坐團, 둥근 방석)

3. 병풍과 장막 屛、 帳
1) 병풍 屛
2) 침두병풍(枕頭屛風, 머릿병풍)
3) 장막 帳
4) 무루장(無漏帳, 틈이 없는 장막)
5) 매화지장(梅花紙帳, 매화를 장식한 종이 장막)

4. 여러 휴대용 도구 動用諸具
1) 띠쇠[鉤, 물건 거는 고리] 鉤
2) 불진 拂塵
3) 여의 如意
4) 단선 團扇
5) 쟁(鎗, 술을 데우는 그릇)
6) 편제(偏提, 술 주전자)
7) 급수(急須, 술 데우는 그릇)
8) 화호(火壺)
9) 생황호(笙簧壺, 생황 모양의 휴대용 술통)

5. 이구 餌具
1) 찬합 饌盒
2) 죽발 竹鉢
3) 향연반 香櫞盤

6. 음주 도구 飮具
1) 술그릇 총론 酒器統論
2) 치이 鴟夷
3) 고·준·호·병 觚、 尊、 壺、 甁
4) 표 杯杓 배표(杯杓, 여러 형태의 술잔)





이운지 권제2 怡雲志 卷第二 임원십육지 100 林園十六志 一百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 山齋淸供(上)
1. 차 茶供
1) 물의 품등 水品
2) 땔감의 품등 薪品
3) 찻물의 징후 湯候
4) 끓인 물 붓는 법 點法
5) 씻는 법 滌法
6) 소금으로 간을 맞추다 論調鹽
7) 차와 과일 論茶果
8) 차 마시는 법 飮法
9) 다구 茶具
풍로 風爐 │ 광주리 筥 │ 탄과 炭檛 │ 화협 火筴 │ 솥 鍑 │ 교상 交牀 │ 집게 夾 │ 지낭 紙囊 │ 연 碾 │ 나합 羅合 │ 찻숟가락 則 │ 수방 水方 │ 녹수낭 漉水囊 │ 표주박 瓢 │ 죽협 竹夾 │ 차궤 鹺簋 │ 숙우 熟盂 │ 다완 盌 │ 둥구미 畚 │ 찰 札 │ 척방 滌方 │ 재방 滓方 │ 다건 巾 │ 구열 具列 │ 도람 都籃

2. 향 香供
1) 이름과 뜻 名義
2) 품등 品第
3) 만드는 법 製法
강남이왕 장중향 江南李王帳中香 │ 당 화도사 아향 唐化度寺牙香 │ 옹문철랑중 아향 雍文徹郞中牙香 │ 연안군공 예향 延安郡公蕊香 │ 공불 습향 供佛濕香 │ 아향 牙香 │ 인향 印香 │ 매화향 梅花香 │ 구자향 毬子香 │ 신령향 信靈香 │ 설중춘범향 雪中春泛香 │ 춘소식 春消息 │ 독누향 篤耨香 │ 설란향 雪蘭香 │ 납매향 蠟梅香 │ 야화향 野花香 │ 장춘반혼매향 藏春返魂梅香 │ 행화향 杏花香 │ 소룡연향 小龍涎香 │ 옥화향 玉華香 │ 취선향 聚仙香 │ 침속향 沈速香 │ 황향병 黃香餠 │ 인향 印香 │ 만춘향 萬春香 │ 살별란향 撒 蘭香 │ 부용향 芙蓉香 │ 용루향 龍樓香 │ 새룡연병자 賽龍涎餠子 │ 사기향병 四棄香餠 │ 동국부용향 東國芙蓉香
4) 향료 香料
용뇌향 龍腦香 │ 사향 麝香 │ 침수향 沈水香 │ 단향 檀香 │ 소합향 蘇合香 │ 안식향 安息香 │ 울금향 鬱金香 │ 정향 丁香 │ 유향 乳香 │ 목향 木香 │ 강진향 降眞香 │ 애납향 艾蒳香 │ 감송 甘松 │ 영릉향 零陵香 │ 감람향 橄欖香 │ 모산세경창출 茅山細梗蒼朮 │ 빈랑태 檳榔苔 │ 철면향·생향 鐵面香、生香 │ 갑향 甲香 │ 기남향 棋楠香 │ 암팔향 唵叭香 │ 운향 芸香 │ 배초향 排草香 │ 방향 芳香 │ 회향 蘹香 │ 난향 蘭香 │ 백교향 白膠香 │ 모향 茅香 │ 백모향 白茅香 │ 작두향 雀頭香 │ 용연 龍涎
5) 향 묻는 법 窨香法
6) 여러 향 처리하는 법 諸香治法
단향 처리하기 治檀香 │ 곽향·감송·영릉과 같은 향류 처리하기 治藿香、 甘松、 零陵之類 │ 모향 처리하기 治茅香 │ 갑향 처리하기 治甲香 │ 비장뇌 飛樟腦
7) 꿀 졸이는 법 煉蜜法
8) 숯 만드는 법 煉炭法
9) 보관하는 법 藏法
10) 향 연기 잘 모으는 법 聚香煙法
11) 향 연기 잘 나누는 법 分香煙法
12) 연기 끌어다 호리병에 넣는 법 引煙入葫蘆法
13) 향전 만드는 법 香篆法
14) 향수 만드는 법 香獸法
15) 수부향 만드는 법 水浮香法
16) 향병 만드는 법 香餠子法
17) 재 만드는 법 灰法
18) 향로 香爐
19) 향합 香盒
20 향시(香匙)와 향저(香筯) 匙筯
21) 사금파리 격화(隔火)
22) 향반 香盤
23) 향궤(香几)
24) 향 관련 모든 물품을 보관하는 향갑 香都總匣



3. 금·검(부록:생황·적·종·경쇠) 琴劍供(附:笙、 笛、 鍾、 磬)
1) 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 論書室不可無琴
2) 재목 고르기 擇材
3) 진(軫)의 품등 軫品
4) 휘(徽)의 품등 徽品
5) 현(絃)의 품등 絃品
6) 금 만드는 법 製法
7) 금의 양식 樣式
8) 현금 玄琴
9) 번금 番琴
10) 고금(古琴) 판별법 古琴辨
11) 9덕(九德, 금의 9가지 덕목)
12) 백랍금 百衲琴
13) 금(琴) 보호법 護法
14) 금(琴) 보관법 蓄法
15) 금(琴) 고치는 법 醫法
16) 금(琴) 연주할 때 금기사항 彈琴宜忌
17) 금(琴)의 십우 琴壇十友
18) 금갑 琴匣
19) 금낭 琴囊
20) 금안 琴案
21) 금실 琴室
22) 생황(笙簧)의 이름과 의미 笙簧名義
23) 생황 만드는 법 製法
24) 생황 보관법 藏法
25) 적(笛)의 이름과 의미 笛名義
26) 적(笛) 만드는 법 製法
27) 종(鍾)
28) 경(磬)
29) 풍경 風磬
30) 서재에는 검을 걸어두어야 한다 論齋閣宜掛劍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 一百一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하) 山齋淸供(下)
1. 꽃과 돌 花、 石供
1) 분경(盆景) 총론 盆景統論
2) 분경의 품등 盆景品第
3) 화분의 품등 盆品
4) 병 꽃꽂이 총론 甁花統論
5) 꽃병의 품등 甁品
6) 꽃의 품등 花品
7) 가지 꺾기 折枝
8) 꽃꽂이 插貯
9) 병에서 꽃 기르기 滋養
10) 여러 가지 꽃 꽂는 법 諸花插法
매화 梅花 │ 모란 牡丹 │ 작약 芍藥 │ 연꽃 荷花 │ 치자 梔子 │ 해당화 海棠 │ 접시꽃 蜀葵 │ 수선화 水仙花 │ 봉선화 鳳仙花 │ 부용화 芙蓉花 │ 영지 靈芝 │ 여러 가지 꽃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 諸花總法
11) 꽃 씻기 沐花
12) 꽃이 꺼리는 것 花忌
13) 꽃병 관리 護甁
14) 취우호 翠羽壺
15) 윤회매 輪回梅
16) 종이꽃 紙花
17) 납화감 蠟花龕
18) 괴석怪石) 살펴보는 법 怪石相法
19) 돌 위에 이끼 나게 하는 법 石上生苔法
20) 돌 염색법 染石法
21) 수석취미 泉石供
22) 물로 괴석 기르는 법 水養怪石法
23) 겨울에 돌 관리하는 법 冬月護石法
24) 괴석 운반하는 법 運怪石法
25) 중국 돌의 품등 中國石品
영벽석 靈壁石 │ 청주석 靑州石 │ 임려석 林慮石 │ 태호석 太湖石 │ 무위군석 無爲軍石 │ 임안석 臨安石 │ 무강석 武康石 │ 곤산석 崑山石 │ 도주석 道州石 │ 사계석 思溪石 │ 개화석 開化石 │ 영석 英石 │ 계천석 桂川石 │ 강주석 江州石 │ 원석 袁石 │ 평천석 平泉石 │ 연주석 兗州石 │ 습경석 襲慶石 │ 역산석 嶧山石 │ 뇌양석 耒陽石 │ 양양석 襄陽石 │ 진강석 鎭江石 │ 청계석 淸溪石 │ 형석 形石 │ 구지석 仇池石 │ 변산석 卞山石 │ 길주석 吉州石 │ 전주석 全州石 │ 소주석 韶州石 │ 융석 融石 │ 천석 川石 │ 소유동 천석 小有洞天石
26) 우리나라 돌의 품등 小有洞天石
경천석 敬天石 │ 신계석 新溪石 │ 안산석 安山石 │ 수락석 水落石 │ 풍천석 豐川石 │ 단양석 丹陽石 │ 덕적석 德積石 │ 금강석 金剛石 │ 낭간석 琅玕石 │ 종유석 鍾乳石 │ 옥순석 玉筍石 │ 물상석 物象石

2. 조수(鳥獸)와 물고기 禽魚供
1) 상학법 相鶴法
2) 순학법 馴鶴法
3) 양학법 養鶴法
4) 학에게 춤 가르치는 법 敎鶴舞法
5) 양계칙법 養鸂鶒法
6) 양록법 養鹿法
7) 사슴의 병 치료법 醫鹿病法
8) 금붕어 품평 金魚品第
9) 금붕어 기르는 법 養金魚法
10) 먹이로 붕어 색깔 바꾸는 법 飼魚變色法
11) 유리 어항에 금붕어 기르는 법 玻瓈盒養金魚法
12) 거북의 등에 녹색 털 나게 하는 방법 養龜生綠毛方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一百一 서재의 고상한 벗들(상) 文房雅製(上) 1. 붓 筆 임원경제지 이운지2 지은이 교 정 옮기고 쓴 이 펴낸 곳

1) 털의 품등 毫品 2) 붓대의 품등 管品 3) 붓 만드는 법 製法 4) 붓 씻는 법 滌法

2) 붓대의 품등 3) 붓 만드는 법 4) 붓 씻는 법 풍석 서유구 추담 서우보 [ 심영환, 정명현, 강민우, 민철기, 정정기, 김현진, 김수연, 김광명, 최시남, 김용미] 원문 및 번역 전체 정리:정명현 자료정리:고윤주 감수:최원경(이아서실) 펴낸 이:신정수 진행:진병춘, 박정진 진행지원:박소해 전화:02)6959-9921 E-mail :pungseok@naver.com 일러스트 이함렬 편집디자인 펴낸 날 ISBN 아트퍼블리케이션 디자인 고흐 초판 1쇄 2019년 8월 19일 979-11-89801-18-2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 (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종합목록 구축시스템(http://kolis-net.nl.go.kr)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CIP2019033002) ✽ 표지그림:문방도 병풍,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사진 사용을 허락해주신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수목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도일(道一)스님(《칠현금경》 저자), 김태연(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블로그 도화원 (https://blog.naver.com/keypin777), 블로그 한시앙(https://blog.naver.com/xorkftm86)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5) 붓 보관하는 법 藏法 6) 붓걸이 筆格 7) 붓통 筆筒 8) 붓받침 筆牀 9) 필선 筆船 10) 필점 筆覘 11) 필세 筆洗 12) 필병 筆屛 5) 붓 보관하는 법 6) 붓걸이 7) 붓통 8) 붓받침 9) 필선(筆船) 10) 필점(筆覘) 11) 필세(筆洗, 붓 빠는 그릇) 12) 필병(筆屛) 2. 먹 墨 1) 먹은 반드시 우수한 것으로 골라야 한다 論墨必擇精 2) 먹의 품질 변별하기 辨品 3) 제후 製候

 2) 먹의 품질 변별하기  

3) 제후(製候, 먹 만들기 좋은 시기) 4) 송연(松煙, 소나무 그을음) 얻는 방법 5) 유연(油煙, 기름 그을음)을 얻는 방법 4) 송연 얻는 방법 取松煙法 5) 유연 얻는 방법 取油煙法

 물동이 水盆 │ 기름잔 油 │ 그을음사발 煙盌 │ 등초 燈草 6) 체로 그을음 거르기 篩煙 鎔膠

6) 체로 그을음 거르기 7) 아교 녹이기 39 40 45 46 52 67 68 14 18 20 25 26 28 31 33 34 34 35 37 어표교 魚鰾膠 8) 약 쓰기 用藥

9) 그을음 반죽하기 10) 그을음반죽 찌기 9) 그을음 반죽하기 搜煙 10) 그을음반죽 찌기 蒸劑 11) 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12) 그을음반죽 무게 재기 13) 쇠망치로 두드리기 14) 둥근 반죽 늘이기 15) 모양 만들기 16) 무늬 만드는 법 17) 먹틀로 찍어내기 18) 재에 넣기[入灰] 19) 재에서 꺼내기[出灰] 20) 보관법 21) 사용법 19) 재에서 꺼내기 出灰 20) 보관법 藏法 21) 사용법 用法 22) 우리나라의 먹 만드는 법 東墨法 23) 묵갑 墨匣 24) 묵상 墨牀 22) 우리나라의 먹 만드는 법 23) 묵갑(墨匣) 24) 묵상(墨牀) 25) 주사(朱砂)로 먹 만드는 법 硃墨法 25) 주사(朱砂)로 먹 만드는 법 26) 주사를 섞어 점 찍거나 글씨 쓰는 법 調硃點書法 27) 자황(雌黃)으로 먹 만드는 법 雌黃墨法 28) 소분(韶粉)으로 먹자루 만드는 법 粉錠子法 26) 주사를 섞어 점 찍거나 글씨 쓰는 법 27) 자황(雌黃)으로 먹 만드는 법 28) 소분(韶粉)으로 먹자루 만드는 법 11) 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杵擣 12) 그을음반죽 무게 재기 稱劑 13) 쇠망치로 두드리기 鎚鍊 14) 둥근 반죽 늘이기 丸擀 15) 모양 만들기 樣製 16) 무늬 만드는 법 紋法 17) 먹틀로 찍어내기 印脫 18) 재에 넣기 入灰 78 87 90 91 94 95 96 99 100 103 107 111 113 115 118 121 121 122 125 125 126 3) 흡주(歙州) 벼루(흡연)의 품등 4) 중국 여러 지역 벼루의 품등 諸州硯品 5) 우리나라 벼루의 품등 東國硯品 6) 일본 벼루의 품등 倭硯品 7) 도기벼루[陶硯]의 품등 陶硯品 8) 특이한 벼루의 품등 異硯品 9) 모양 樣式 歙州) 벼루(흡연)의 품등 歙硯品 4) 중국 여러 지역 벼루의 품등 5) 우리나라 벼루의 품등 6) 일본 벼루의 품등 7) 도기벼루[陶硯]의 품등 8) 특이한 벼루의 품등 9) 모양 10) 손질하는 법 11) 잘 간수하는 법 10) 손질하는 법 治法 11) 잘 간수하는 법 養法 12) 깨진 벼루 보수하는 법 13) 벼룻집(연갑) 14) 벼루산(연산, 硯山) 15) 벼루병풍(연병, 硏屛) 16) 수적(水滴) 17) 수중승(水中丞) 18) 수우(水盂) 17) 수중승 水中丞 18) 수우 水盂 2. 종이 紙 1) 옛날과 지금의 종이 품등 古今紙品 2) 죽지(竹紙) 만드는 법 造竹紙法

2) 죽지(竹紙, 대나무종이) 만드는 법 3) 주본지(奏本紙) 만드는 법 3) 주본지(奏本紙) 만드는 법 造奏本紙法 4) 분지(粉帋) 만드는 법 造粉帋法 5) 상용지(常用帋) 만드는 법 造常用帋法 6) 마지(麻帋) 만드는 법 造麻帋法 4) 분지(粉帋, 쌀가루종이) 만드는 법 5) 상용지(常用帋) 만드는 법 6) 마지(麻帋, 삼종이) 만드는 법 이운지 권제4 怡雲志 卷第四 임원십육지 102 林園十六志一百二 서재의 고상한 벗들(하) 文房雅製(下) 1. 벼루 硯 1) 벼루 품등 총론 硯品統論 2 단계端溪) 벼루(단계연)의 품등 端硯品

) 단계(端溪) 벼루(단계연)의 품등 132 135 7) 고경지(古經紙, 배접용종이) 만드는 법 8) 송전(宋箋)에 물들이는 법 9) 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 10) 종이 두드리는 법 7) 고경지(古經紙) 만드는 법 造古經紙法 8) 송전(宋箋)에 물들이는 법 造宋箋色法 9) 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 造諸色牋法 10) 종이 두드리는 법 搥紙法 11) 우리나라 종이의 품등 12) 북지(北紙) 만드는 법 13) 일본 종이의 품등 11) 우리나라 종이의 품등 東國紙品 12) 북지(北紙) 만드는 법 造北紙法 13) 일본 종이의 품등 倭紙品 14) 다루는 법 治法 229 241 248 249 249 249 250 251 252 263 265 269 270 276 12) 깨진 벼루 보수하는 법 補破硯法 13) 벼룻집(연갑) 硯匣 14) 벼루산(연산) 硯山 15) 벼루병풍(연병) 硏屛 16) 수적 水滴 147 163 176 180 182 185 191 206 207 213 214 216 219 221 225 22815) 보관법 藏法 16) 수간 手簡 17) 진지 鎭紙 18) 압척 壓尺 19) 비각 秘閣 20) 패광 貝光 21) 재도 裁刀 22) 가위 剪刀 23) 호두 糊斗 24) 납두 蠟斗 3. 도장 圖章 1) 도장의 품등 印品 2) 인뉴 印鈕

2) 인뉴(印鈕, 도장손잡이) 3) 전서(篆書) 쓰는 법 4) 도장 새기는 법 5) 도장 씻는 법 3) 전서(篆書) 쓰는 법 篆法 4) 도장 새기는 법 刻法 5) 도장 씻는 법 洗印法 6) 인주(印朱) 만드는 방법 6) 인주(印朱) 만드는 방법 印色方 기름을 햇볕에 쬐는 법 曬油法

 오종선(吳從先)의 인주기름 만드는 법 吳從先印油法 7) 도서갑 圖書匣 8) 인주합 印色池

7) 도서갑(圖書匣) 8) 인주합(印朱盒) 4. 서실의 기타 도구 書室雜器 1) 서상 書牀 2) 의안 欹案 3) 서등 書燈 4) 문갑 文匣 5) 안경 靉靆 (書牀, 책상) 2) 의안(欹案, 누워서 독서하는 책상) 3) 서등(書燈, 독서등) 4) 문갑(文匣, 문구갑) 5) 안경[靉靆, 애체] 292 294 295 296 303 305 330 332 일러두기 - 이 책은 풍석 서유구의 《임원경제지》를 표점, 교감, 번역, 주석, 도해한 것이다. - 저본은 정사(正寫) 상태, 내용의 완성도, 전질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으로 했다. - 현재 남아 있는 이본 가운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본 오사카 나카노시마부립도서관본을 교감하고, 교감 사항은 각주로 처리했으며, 각각 규장각본, 오사카본으로 약칭했다. - 교감은 본교(本校) 및 대교(對校)와 타교(他校)를 중심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교(理校)를 반영했으며 교감 사항은 각주로 밝혔다. 334 335 336 338 340 - 번역주석의 번호는 일반 숫자(9)로, 교감주석의 번호는 네모 숫자( 9 )로 구별했다. - 원문에 네모 칸이 쳐진 注, 法 등과 서유구의 의견을 나타내는 案, 又案 등은 원문의 표기와 유사하게 네모를 둘렀다. - 원문의 주석은 【 】로 표기했다. - 서명과 편명은 번역문에만 각각 《 》 및 〈 〉로 표시했다. - 표점 부호는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쌍점(:), 쌍반점(;), 인용부호(“ ”, ‘ ’), 가운뎃점(·), 모점(、), 괄호(( )), 서명 부호(《 》)를 사용했고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에는 밑줄을 그었다. - 字, 號, 諡號 등으로 표기된 인명은 성명으로 바꿔서 옮겼다. - 그림 및 사진의 출처는 해당 자료와 함께 표기하였다. 별도표기가 없는 경우, 바이두(Baidu.com)와 구글(Google.com)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16) 수간(手簡, 편지) 17) 진지(鎭紙) 18) 압척(壓尺) 19) 비각(秘閣) 20) 패광(貝光) 21) 재도(裁刀, 재단칼) 22) 가위 23) 호두(糊斗, 풀통) 24) 납두(蠟斗, 밀랍통) 278 278 282 285 286 287 288 289 290 29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