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9월 16일 (수) 19:30 최시남 (역사) [5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입력 작업중 분류:최시남)
- 2020년 9월 16일 (수) 18:4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 고치는 법 (역사) [1,65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의 현이 오래되면 소리가 어두워지니, 이때는 뽕나무 잎으로 현을 문지르면 바로 새 현처럼 회복된다. 다만 현에 이파리의 푸른 물이 드...)
- 2020년 9월 16일 (수) 18:3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 연주할 때 금기사항 (역사) [11,69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향을 피우면서 금을 연주할 때는 오직 향기가 맑고 연기가 적은 향을 피워야 한다. 만약 향의 진한 연기가 코를 찌르게 되면 좋은 흥취를...)
- 2020년 9월 16일 (수) 18:0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의 십우 (역사) [2,76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琴)의 십우(十友, 열 친구)== 빙현(氷絃)·옥진(玉軫, 옥으로 만든 진)·진함(軫函)181 ·옥족(玉足, 옥으로 만든 봉족)·융두(絨剅)182·금천...)
- 2020년 9월 16일 (수) 17:5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갑 (역사) [98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갑의 제도는 아래가 매우 작고 좁아서 간신히 이 금(琴)을 넣을 정도로 만들어야 한다. 대개 금갑 입구를 금(琴)이 들어갈 정도로 한 다...)
- 2020년 9월 16일 (수) 17:5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낭 (역사) [1,06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옛 사람들이 금낭을 만들 때에는 자주색이나 황색 2가지 색으로만 만들었을 뿐 다른 색을 사용하지 않았다. 《비설록(霏雪錄)<ref></ref>》<er...)
- 2020년 9월 16일 (수) 17:4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안 (역사) [5,66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안(琴案)<ref>금안(琴案):바닥에 앉은 채 금을 올려놓고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앉은뱅이상. 의자에 앉아서 연주할 때 쓰는 높은 탁자는...)
- 2020년 9월 16일 (수) 17:3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실 (역사) [2,37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옛 선배들은 간혹 땅속에 옹기를 묻어놓고, 그 위에서 금(琴)을 연주하기도 했는데, 이 설은 아마도 잘못 전해진 것 같다.<ref>옛……같다:...)
- 2020년 9월 16일 (수) 17:2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 부록(생황ㆍ적ㆍ종ㆍ경쇠):생황의 이름과 의미 (역사) [3,87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예기(禮記)》에 “여와씨(女媧氏)<ref>여와씨(女媧氏):중국 상고시대의 임금으로 알려진 복희씨(伏羲氏)의 누이. 복희씨의 뒤를 이어 임...)
- 2020년 9월 16일 (수) 17:15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 부록(생황ㆍ적ㆍ종ㆍ경쇠):적의 이름과 의미 (역사) [2,44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적(笛)<ref>적(笛):넓은 뜻으로는 젓대, 즉 가로로 부는 횡적(橫笛)과 세로로 부는 종적(縱笛)을 총칭하고, 좁은 뜻으로는 맥락에 따라 당...)
- 2020년 9월 16일 (수) 17:06 적의 이름과 의미 (역사) [4,54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적의 이름과 의미[笛名義] </strong>는 적(笛)의 명칭에 담긴 의미를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
- 2020년 9월 16일 (수) 16:35 생황의 이름과 의미 (역사) [5,12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생황의 이름과 의미[笙簧名義] </strong>는 생황의 명칭에 담긴 의미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서유구(徐有...)
- 2020년 9월 16일 (수) 16:05 생황 (역사) [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현금(玄琴, 거문고) </strong>는 애초에 진(晉)나라 사람이 칠현금(七絃琴)을 고구려에 보내왔다. 이때 제...)
- 2020년 9월 16일 (수) 15:56 금실 (역사) [4,62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실(琴室, 금 연주실)</strong>은 금을 연주하는 방이나 큰 암석 아래 공간을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 2020년 9월 16일 (수) 15:21 금안 (역사) [4,69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안(琴案)</strong>은 금을 연주할 때 올려놓는 탁자로 금상(琴牀)이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 2020년 9월 16일 (수) 12:46 형비포치 (역사) [1,436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운지(怡雲志) 목차 <br> 이운지 권제1 怡雲志 卷第一 임원십육지 99 林園十六志 九十九 <br> 은거지[衡泌]의 배치 衡泌舗置<br> 1. 총론...)
- 2020년 9월 16일 (수) 12:42 이운지 (역사) [17,53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운지(怡雲志) 모착 이운지 권제1 怡雲志 卷第一 임원십육지 99 林園十六志 九十九 은거지[衡泌]의 배치 衡泌舗置 1. 총론 總論 1) 산...)
- 2020년 9월 16일 (수) 12:23 금의 십우 (역사) [6,99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의 십우[琴壇十友] </strong>는 비단을 꼬아 진(軫)에 묶고 현을 연결하는 실인 융두(絨剅), 금(琴) 아...)
- 2020년 9월 16일 (수) 12:1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건성 (역사) [44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② 건성(建城) 【얼룩조릿대[篛]로 대바구니를 만든다. 그 안에 차를 봉해서 높은 선반에 보관한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
- 2020년 9월 16일 (수) 12:0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고절군 (역사) [1,20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다기를 모두 담는 7개의 다구는 다음과 같다. <br> ①고절군(苦節君)<ref>고절군(苦節君):송나라 때 만들어지기 시작해서 명나라...)
- 2020년 9월 16일 (수) 12:05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수오 (역사) [39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⑯수오(受汚) 【그릇을 닦는 다건이다. 사발을 깨끗하게 할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 2020년 9월 16일 (수) 12:0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납경 (역사) [39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⑮납경(納敬) 【대나무 찻잔 받침이다. 찻잔을 내려놓을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
- 2020년 9월 16일 (수) 12:0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요운 (역사) [38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⑭요운(撩雲) 【대나무 찻숟가락이다. 과일을 건질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
- 2020년 9월 16일 (수) 11:5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철향 (역사) [38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⑬철향(啜香) 【자기로 만든 사발이다. 차를 마실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
- 2020년 9월 16일 (수) 11:5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감둔 (역사) [39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⑫감둔(甘鈍) 【나무 침돈(碪墩, 찻상)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류:다구(茶具)...)
- 2020년 9월 16일 (수) 11:5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운봉 (역사) [38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⑪운봉(運鋒) 【과일을 깎는 칼이다. 과일을 자를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분...)
- 2020년 9월 16일 (수) 11:20 금 고치는 법 (역사) [3,56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고치는 법[醫琴法] </strong>은 금에서 소리가 잘 나지 않을 때 뜨거운 모래 속에 금을 묻거나 시루에...)
- 2020년 9월 16일 (수) 10:2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고금(古琴) 판별법 (역사) [6,84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은 뱀의 배 비늘무늬가 있는 것을 고금으로 여긴다. 《동파지림(東坡志林)<ref>동파지림(東坡志林):중국 송(宋)나라 소식(蘇軾)이 당시...)
- 2020년 9월 16일 (수) 10:1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백랍금 (역사) [3,54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백랍금(百衲琴, 나무 조각을 붙여 만든 금)== 중국 호남(湖南)<ref>호남(湖南):중국 양자강 중류의 남쪽에 위치한 호남성(湖南省) 일대.</re...)
- 2020년 9월 16일 (수) 10:0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 보호법 (역사) [2,26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일반적으로 하인에게 금(琴)을 들게 할 때 금을 옆으로 눕혀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들면 많은 경우 전방에 장애물을 만나 운아(雲...)
- 2020년 9월 15일 (화) 16:01 금 보호법 (역사) [3,51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금 보호법[護琴法] </strong>은 금을 손상되지 않게 하는 법, 오염되지 않게 하는 법, 습기에 젖지 않도록...)
- 2020년 9월 15일 (화) 15:3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백랍금 (역사) [1,48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백랍금(百衲琴, 나무 조각을 붙여 만든 금)== 중국 호남(湖南)<ref>호남(湖南):중국 양자강 중류의 남쪽에 위치한 호남성(湖南省) 일대.</re...)
- 2020년 9월 15일 (화) 15:2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고금(古琴) 판별법 (역사) [5,63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은 뱀의 배 비늘무늬가 있는 것을 고금으로 여긴다. 《동파지림(東坡志林)<ref>동파지림(東坡志林):중국 송(宋)나라 소식(蘇軾)이 당시...)
- 2020년 9월 15일 (화) 15:1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번금 (역사) [4,40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번금(番琴, 양금)》<ref>번금(番琴, 양금):번금의 番은 ‘藩’(번국)의 뜻일 것이다. 양금(洋琴, 중국에서는 揚琴, dulcimer)을 말한다. 사다...)
- 2020년 9월 15일 (화) 15:0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의 9덕 (역사) [2,96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琴)이 갖추어야 할 9가지 덕목== 첫째는 기(奇)이니, 경(輕)·송(鬆)·취(脆)·활(滑)이 이것이다. 경(輕)은 금을 만드는 재목이 가벼움을...)
- 2020년 9월 15일 (화) 14:4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진의 품등 (역사) [1,48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옥으로 만든 진은 화려하게 만들지 않는다.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면 쉽게 돌릴 수 있으며 수수하면 때를 타지 않는다. 자단(紫檀)이나 무...)
- 2020년 9월 15일 (화) 14:31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 (역사) [9,17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서재에 금(琴)<ref>금(琴):여기서는 중국금을 말한다. 거문고·가야금처럼 길다란 판에 줄을 걸고, 왼손으로 짚어 음높이를 조절하고 오...)
- 2020년 9월 15일 (화) 14:1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 만드는 법 (역사) [9,55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나(소식)의 집에 금이 있는데, 그 악(嶽)<ref>악(嶽):악(岳), 악산(嶽山), 또는 임악(臨岳)이라고도 하며, 브리지(bridge)이다. 금의 이마 쪽에...)
- 2020년 9월 15일 (화) 14:01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주춘 (역사) [38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⑩주춘(注春) 【자기로 된 찻주전자이다. 차를 따를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
- 2020년 9월 15일 (화) 13:5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정불 (역사) [41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⑨정불(靜沸) 【대나무 받침대이니 곧 《다경(茶經)》의 지복(支鍑, 솥지지대)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 2020년 9월 15일 (화) 13:5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녹진 (역사) [39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⑧녹진(漉塵) 【다세(茶洗, 차 씻는 그릇)이다. 차를 씻을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
- 2020년 9월 15일 (화) 13:5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휘의 품등 (역사) [2,76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휘(徽)<ref>휘(徽):금의 줄을 고르는 자리를 표시하기 위해 금의 위판 한 쪽에 자개나 금옥(金玉) 등을 일렬로 박아 넣은 것. 총 13개이다.<...)
- 2020년 9월 15일 (화) 13:55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단풍 (역사) [39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⑦단풍(團風) 【무늬 없는 대나무 부채이다. 불을 일으킬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
- 2020년 9월 15일 (화) 13:5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현의 품등 (역사) [2,91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현사(絃絲, 금의 줄로 쓰는 실)는 촉중(蜀中)<ref>촉중(蜀中):중국 사천성(四川省) 중부 지역. 춘추전국 시대에 진(秦)나라의 영토가 있던...)
- 2020년 9월 15일 (화) 13:5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집권 (역사) [40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⑥집권(執權) 【차를 재는 저울이다. 구기의 물 2승(升)씩에 차 1냥을 넣는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 2020년 9월 15일 (화) 13:4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강홍 (역사) [39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⑤강홍(降紅) 【구리로 만든 부젓가락이다. 불을 모을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
- 2020년 9월 15일 (화) 13:41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의 양식 (역사) [3,77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금의 양식<ref>금의 양식:오사카본에는 원문 아래에 금의 여러 양식이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 내용은 차후 정리 과정에서 《임원...)
- 2020년 9월 15일 (화) 13:3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체화 (역사) [41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④체화(遞火) 【구리로 만든 화두(火斗, 불 담는 구기)이다. 불을 옮길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 2020년 9월 15일 (화) 13:3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분영 (역사) [38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③분영(分盈) 【구기[杓]이다. 물의 분량을 헤아릴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茶)...)
- 2020년 9월 15일 (화) 13:3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귀결 (역사) [39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②귀결(歸潔) 【대나무 솔빗자루이다. 찻주전자를 씻을 때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차(...)